존 크릭팔루시

덤프버전 :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
1973년
1974년
맥스 플라이셔
데이브 플라이셔
월터 란츠
텍스 에이버리
프리즈 프레렝
1974년
1975년
척 존스
아트 배빗
윈저 맥케이
그림 네트윅
월트 디즈니
1975년
1976년
존 허블리
페이스 허블리
노먼 맥라렌
로버트 캐넌
휴 하먼
1976년
1977년
루돌프 이징
마이클 말테스
조지 팔
워드 킴볼
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
멜 블랭크
오스카 피싱거
빌 스콧
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
어브 아이웍스
딕 휴머
칼 스탈링
한스 콘리드
1979년
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
빌 멜렌데즈
매 퀘스텔
오토 메스머
올리 존스턴
1980년
1981년
프랭크 토머스
칼 하워드
폴 줄리안
라번 하딩
T. 히
1981년
1982년
빌 피트
빌 타이틀라
존 휘트니
켄 헤리스
켄 엔더슨
1982년
1983년
브루노 보제토
준 포레이
도날드 W. 그레이엄
마크 데이비스
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
클라렌스 내쉬
볼프강 레이더먼
레오 살킨
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
1984년
윌프레드 잭슨
다우스 버틀러
데이비드 핸드
잭 키니
마이클 라
1984년
1985년
로버트 매킴슨
리처드 윌리엄스
해밀턴 러스크
로버트 아벨
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
존 핼러스
스털링 홀러웨이
짐 맥도날드
필 먼로
1985년
1986년
벤 워셤
프레더릭 백
샤머스 컬해니
윌리엄 T. 허츠
이르벤 스펜스
1986년
1987년
에머리 호킨스
존 란즈베리
폴 드리센
잭 해나
빌 리틀존
1987년
1988년
모리스 노블
켄 오코너
노먼 퍼거슨
멜 쇼
랠프 박시
1988년
1989-1990년
밥 크렘펫
티사 데이비드
가와모토 기하치로
버질 로스
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
알렉스 로비
돈 메식
데즈카 오사무
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
허버트 클린
밥 커츠
유리 노르슈테인
조 시라쿠사
1991년
1992년
1993년
루스 키산
레스 클라크
스탠 프레버그
데이비드 힐버만
조지 더닝
1993년
1994년
로이 E. 디즈니
잭 잰더
에드 베네딕트
아서 데이비스
장 밴더 필
1995년
1996년
줄스 엥겔
반스 게리
댄 맥로린
메리 블레어
버니 매티슨
1996년
1997년
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
윌리스 H. 오브라이언
마이런 왈드먼
폴 윈첼
에위빈드 얼
1998년
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
어니스트 핀토프
레이 패터슨
마르셀 얀코비츠
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
호이트 커틴
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
2002년
빌 저스티스
피트 알바라도
밥 기븐스
진 하젤튼
플로이드 노먼
2002년
2003년
2004년
셔먼 형제
진 디치
존 헨치
썰 라벤스크로프트
돈 블루스
2004년
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
아놀드 스탱
코니 콜
프레드 크리펜
타이러스 웡
2006년
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
겐디 타르타콥스키
빌 플림턴
존 케인메이커
글렌 킨
2007년
2008년
2009년
존 크릭팔루시
마이크 저지
존 라세터
닉 파크
팀 버튼
2009년
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
브루스 팀
브래드 버드
에릭 골드버그
맷 그레이닝
2011년
2012년
월터 페리고이
뵈르게 링
로널드 설
테리 길리엄
오스카 그릴로
2012년
2013년
2014년
마크 헨
오토모 카츠히로
스티븐 스필버그
필 티페트
디디에 브루너
2014년
2015년
돈 러스크
리 멘델슨
조 랜프트
필 로먼
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
2017년
데일 베어
캐롤라인 리프
오시이 마모루
제임스 백스터
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
2018년
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
안드레아 로마노
프랭크 브랙스톤
곤 사토시
2019년
2020년
헨리 셀릭
론 클레먼츠
존 머스커
윌리 이토
수 C. 니콜스
2020년
2021년
2022년
브루스 W. 스미스
루벤 A. 아퀴노
릴리언 슈워츠
스즈키 토시오
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
크레이그 맥크라켄








존 크릭팔루시
John Kricfalusi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Johnkric.jpg

본명
마이클 "존" 크릭팔루시
(Michael "John" Kricfalusi)

출생
1955년 9월 9일 (68세)
퀘벡주 시쿠티미
국적
[[캐나다|

캐나다
display: none; display: 캐나다"
행정구
]]

신체
180cm
가족
아버지 마이크 크릭팔루시
학력
셰리든 대학교 (학사)
직업
애니메이터, 각본가, 배우, 블로거, 성우, 프로듀서
활동 시기
1979년 ~ 2020년
링크
파일:IMDb 로고.svg 파일:블로거(구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서명
1. 개요
2. 생애
3. 작품 목록
4. 논란 및 사건사고
4.1. 렌과 스팀피 에피소드 검열 및 니켈로디언 하차 사건
4.2. 렌과 스팀피 스태프들 사이의 갈등
4.3. 미성년자 성폭행 사건
5. 여담
6. 관련 인물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캐나다의 애니메이터, 애니메이션 각본가, 애니메이션 감독, 블로거, 성우,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렌과 스팀피의 제작자이자 연출가로써 유명하다.


2. 생애[편집]


우크라이나계 부친과 스코틀랜드계 모친 사이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엔 부친이 캐나다 공군에서 복무하는 동안 독일벨기에에서 살다가 7살 때 가족과 함께 캐나다로 이사했다. 집에서 TV로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등의 애니메이션들을 시청했을 땐 관련된 캐릭터의 그림을 그린 적도 있었고, 셰리든 대학교에 다닐 때 황금기미국 애니메이션에 관심을 가져 이니스 칼리지에서 개최한 주간 애니메이션 & 영화 상영회에 종종 참석해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감상했다. 그 작품들 중에서 밥 크렘펫, 텍스 에이버리가 연출한 작품들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며, 잦은 결석으로 인해 다니던 대학에서 퇴학 처리된 이후 애니메이터를 지망해 애니메이션 제작사들의 운영지인 로스엔젤레스로 이사를 했다.

이후 밀트 그레이의 애니메이션 클래스에 가입하여 당시 필메이션에서 일하던 밀트를 따라 필메이션으로 입사했다. 1970년대 후기부터 80년대 중기까진 필메이션,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DiC 엔터테인먼트[1]에서 애니메이터로 일했다. 비슷한 시기에 랠프 박시를 처음 만나 그와 같이 일하던 1986년, 롤링 스톤즈뮤직비디오 'Harlem Shuffle'의 애니메이션 시퀀스를 연출했으며, 1987년엔 랄프 박시가 책임 제작자를 맡은 마이티 마우스 TVA의 8편에서 디렉터로 참여했다. 마이티 마우스 TVA는 1980년대 당시에 제작되던 다수의 TVA와 비교해 스탭들이 창의성과 예술성을 연출할 여유가 많았던 작품이었으며, 제작 과정에서 크릭팔루시는 작품이 창의성을 발휘할 여지를 강조하면서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활약했다.

1988년 The New Adventures of Beany and Cecil의 감독을 맡았으나 존 본인이 원했던 유머 연출과 이에 반대한 방송국 ABC 측과의 의견 대립과 낮은 시청률로 인한 내우외환을 겪어 작품은 8개 에피소드만이 제작되었고 프로그램은 5개 회차까지만 방영한 후 중도에 종영되었다.[2] 같은 해에 짐 스미스, 밥 캠프, 린 네일러와 함께 애니메이션 제작사 Spümcø(스펌코)를 설립해, 1990년부터 제작에 들어간 렌과 스팀피 TVA의 시즌1, 시즌2 에피소드들이 1991년부터 니켈로디언에서 방영되며, 방송가에 본인의 인지도를 알리기 시작했다. 애니메이션 제작 현장에선 방송사인 니켈로디언 측과의 잦은 대립을 빚었으며, 1992년 가을에 해고당하여 니켈로디언을 떠난 사태가 빚어졌다.(자세한 사정은 렌과 스팀피 문서 참조.) 이후 몇년 간 프레드 시버트와의 공동 애니메이션 제작 작업 및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 인터넷 플래시 애니메이션 제작, 뮤직 비디오 애니메이션 제작에 주로 임하였다.

2001년엔 (1980년대 후기에 1차례 제작 시도를 했었던) The Ripping Friends를 제작해 폭스 키즈에서 방영됐으나 애니메이션 노선, 스타일, 제작 방식을 두고 여러 문제들이 빚어져 제작은 시즌1에 그쳤다. 2년 후 방영된 렌과 스팀피 성인판의 제작자를 맡아 시즌1을 제작하였으나 시리즈가 엇갈린 호불호를 얻었고 존 본인의 지연된 제작 기한과 스파이크 TV의 성인 TVA 흥행 실패로 인해 조기종영되었다. 2010년대 초부턴 종종 광고용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해 오면서 다시금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었으나 2018년 3월, 미성년자 성폭력 사건이 논란이 되자 사과문을 올렸다.

그리고 2019년 5월, 자신이 좋아하는 캐릭터 조지 리쿼르가 나오는 단편 애니메이션 Cans Without Labels를 완성해 DVD로 공개했지만 초기 예상보다 6년이나 늦어진 발매 기간, 킥스타터 모금액[3]에 절반도 못 미친 듯한 CG 퀄리티, 조지가 난데없이 조카들을 혼내다 딴 일을 하러 가는 등의 혼잡한 개연성 연출 등으로 대차게 까였다. 애니메이션 평론 유튜버 TheMysteriousEnter의 작품 리뷰

결국 2020년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은퇴를 선언하였다. 2018년에 제작이 완료되고 같은 해에 공개된 다큐멘터리 영화 Happy Happy Joy Joy: The Ren & Stimpy story에서 스스로 밝힌 자신의 과거에서(어린 시절) 가부장적인 가치관을 지닌 아버지의 훈육과 언어폭력으로 인해 상당한 트라우마를 오래토록 겪고 있었음을 고백한 바 있었다. 이로써 존이 애정하는 조지 리쿼르란 캐릭터의 전반적인 일면과 렌과 스팀피, 해나-바베라 웹 단편 애니메이션 등 자신의 작품들에서 아버지나 어른들의 고압적인 훈육이 담겨있는 장면이 곳곳에 담겨진 것으로 볼때 생애 속의 사건사고들도 본인의 과거 속 배경이 적지 않게 작용했음을 고찰할 수 있게 되었다. 렌과 스팀피 팬덤 내에서도 이런 캐릭터의 모습을 보고 내심껏 추측한 이들이 있었지만 영상자료 인터뷰에서의 공식적인 고백은 이 다큐멘터리가 처음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도 존 자신이 저지른 악행과 범죄에 대한 옹호는 불가능한 가해자가 된 피해자임이 확연히 밝혀진 것이었다.


3. 작품 목록[편집]


  • Harlem Shuffle(롤링 스톤즈) - 애니메이션 시퀀스 연출 (1986)
  • The New Adventures of Beany and Cecil TVA (1988)
  • Troop Beverly Hills - 영화 오프닝 애니메이션 시퀀스 연출 (1988)
  • 렌과 스팀피 TVA 1~2시즌 (1991 ~ 1992), "Adult Party Cartoon"(성인판, 2003)
  • 플래시 애니메이션 : The Goddamn George Liquor Program (1997), Weekend Pussy Hunt (2000)
  • The Ripping Friends TVA (2001)
  • 요기 베어 TVA 단편 애니메이션 : boo boo goes wild, A Day in the Life of Ranger Smith, Boo Boo and the Man (2001 ~2002)
  • 우주가족 젯슨 TVA 단편 애니메이션 : Father & Son Day, The Best Son (2001 ~ 2002)
  • Bart Stops to Smell the Roosevelts(심슨 가족 카우치 개그 시퀀스 2편 연출) (2010's)
  • 킥스타터 모금 단편 애니메이션 - Cans Without Labels (2019)

4.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4.1. 렌과 스팀피 에피소드 검열 및 니켈로디언 하차 사건[편집]


파일:ImagesCAFLFR63[1].jpg

에피소드 제목은 'Man's Best Friend.' 작가는 빈센트 월러[4]존 크릭팔루시였으며, 감독은 존 크릭팔루시 본인이 맡았다. 줄거리는 조지 리쿼르라는 폐인이 애완동물 가게에서 수상한 동물 2마리[5]를 구입해 투견 챔피언[6] 으로 만들기 위해 집으로 데려가서 혹독한 훈련을 시키다 결국은 두 투견 후보 중 렌이 진정한 투견 감이란 것을 알아차리는 내용이다. 이 에피소드는 보통의 아동 애니를 뛰어넘는 폭력적인 슬랩스틱과 성인 지향적 유머 연출 때문에 1992년 방송 예정이던 에피소드가 니켈로디언의 방송 중지 명령 때문에 11년 간 미공개 상태로 더미 테이프 안에 수록되어 있다가, 2003년에 출시된 성인판에서 첫 에피소드로 TV-MA-V 등급으로 방영되었다.[7]

1992년 가을, 니켈로디언은 크릭팔루시를 해당 편의 제작과 애니메이션 제작 기한이 시즌1에서부터의 연달은 지연으로 인한 제작 예산 초과 등(으로 인한 니켈로디언 측의 마찰과 스탭들과의 불화)을 이유로 해고하여 프로그램에서 하차시켰고 애니메이션 제작사도 스펌코(Spumco)[8]에서 게임즈 애니메이션(Games animations)[9]으로 교체됐다. 이러한 영향으로 3시즌부턴 주역들과 관련없는 일회성 조연, 단역 캐릭터의 등장이 늘어났고 난데없이 소동에 렌과 스팀피가 휘말리는 에피소드가 느는 등 성향이 변화되었다.

4.2. 렌과 스팀피 스태프들 사이의 갈등[편집]


렌과 스팀피를 제작할 당시 제작 스탭 간의 갈등이 빚어진 비화들도 유명한데 스팀피를 연기한 빌리 웨스트한 인터뷰에서 두번 다신 존이랑 일하기 싫단 의사를 표현한 것과 동시에 (관련된 인터뷰를 여러 차례 진행했을 때엔) 그한테 겪은 고통을 토로하면서 상당한 트라우마가 남아있음을 고백하기도 했었다. 2013년 처음 발행된 Thad Komorowski의 Sick little monkeys 관련 인터뷰에서 스태프 중 과거 존의 친구인 밥 캠프(Bob Camp)와 빌 레이(Bill Wray)는 그와 일하면서 겪어야 했던 온갖 나쁜 일들이 아직도 잊혀지지 않고 있다는 취지의 뉘앙스로 언급하기도 했다. 이외에 tvtropes의 관련 여담 문서를 (구글 번역으로 살펴)보면 존이 애니메이션 스탭들한테 벌였던 악행들에 대한 증언과 행각들이 서술되어 있다.

4.3. 미성년자 성폭행 사건[편집]


2018년 3월 30일자 버즈피드 기사의 내용에 의하면 렌과 스팀피의 팬이자 한때 스펌코에서 일했던 로빈 버드(Robyn Byrd), 케티 라이스(Katie Rice) 등은 크릭팔루시에게 1990년대 중반부터 신체적 성범죄(로빈)를 겪은 것과 연애 관계(케티, 로빈)를 가진 경험을 폭로하였다.

로빈은 1994년(당시 16살로 미성년자.) 자신이 꿈꾸던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내용을 촬영해 녹화한 비디오를 존에게 보냈고 2년 뒤 같이 여행을 갔을 때 강제로 성추행을 당했으며, 이듬해(1997년)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스펌코의 인턴 과정을 지냈던 로스엔젤레스이사해 몇 년간 일하다 스튜디오를 떠났다.[10]

케티는 14살 때 처음 크릭팔루시에게 편지를 보낸 이후 온라인 채팅 및 전화 등의 교류를 지속하다 스펌코에서 7년간(18살부터 25살까지) 근무했는데, 2002년 로빈이 스펌코 스튜디오를 떠난 뒤 크릭팔루시는 그녀에게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 자신에 대한 충성과 애정을 압박한 내용을 담은 전자 메일들을 보낸 적이 있었고, 위어드 알 얀코빅 뮤비 애니메이션 작업 중에 그의 성희롱이 더욱 심해졌다고 주장했다. 또한 두 차례 사건이 일어난 후 완전히 크릭팔루시를 떠나기로 결심했는데, 이중 첫 번째는 아동 포르노를 컴퓨터에서 발견한 것이라고 했으며 익명을 요구한 크릭팔루시의 전 여친은 2007년 자신의 컴퓨터에서 12~14세 나체 여아 사진들을 발견했다고 언급했다. 변호인을 통해 크릭팔루시는 그것들을 소유하지 않았으며 수사와 관련해 경찰과 만난 적도 없다고 말했으나, 2017년 말 케티는 이 사실을 경찰에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크릭팔루시의 혐의에 대해 2003년 렌과 스팀피 Adult Party Cartoon을 방영한 스파이크 TV의 모기업 파라마운트 네트워크는 관련된 보고를 받은 적이 없다고 밝혔으며, 카툰 네트워크는 그와 계약할 일은 앞으로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니켈로디언은 로빈과 케티의 폭로에 대한 언급을 거부했지만 이튿날(3월 31일) 사옥에 걸렸었던 크릭팔루시의 사진이 담긴 초상화를 내린 사실이 확인되었다. 빌리 웨스트같은해(2018년) 4월 3일 트윗에서 '그가 어떻게 협박했는지 알고 있었지만 이 정도일 줄은 미처 알지 못했다, 당신의 얘길 듣고 너무 충격적이고 미안하게 느껴졌다. 진실을 알려줘서 감사하다'고 피해자를 위로하기도 했다. 이후 5월 11일, 자신의 페이스북11페이지의 사과문을 게시했으나 반응은 싸늘했다. 크릭팔루시 본인의 범행에 대한 공소시효가 만료된 관계로 법적인 처벌을 받지는 못했지만, 이 사건은 크릭팔루시 스스로 업계에서 은퇴를 선언한 아킬레스건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5. 여담[편집]


  • 문서의 사진에서 보듯 60이 넘은 나이임에도 상당한 동안이다.


  • 심슨 가족의 27시즌 할로윈 특집(S27E05 Treehouse of Horror XXVI) 카우치 개그 애니메이션을 연출하기도 했다. 또 23시즌(S23E02 Bart Stops to Smell the Roosevelts) 카우치 개그도 담당했다. 다만 위 문단의 사건이 폭로된 뒤엔 FOX 애니메이션 유튜브 채널에서 영상이 비공개로 전환되었다.

파일:external/i40.tinypic.com/eqao6.jpg

  • 성격은 굉장히 까다롭고 깐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자신의 작품에 대해서는 가히 완벽주의에 가까울 정도의 집착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니켈로디언에서 렌과 스팀피 TVA를 제작할 당시에는 한도 끝도 없이 늘어지는 작업기간 때문에 마감을 지키지 못하는 일이 늘어나 니켈로디언과 수차례 불화를 빚었으며, 방송금지까지 먹은 Man's Best Friend 편처럼 매우 자극적인 연출 스타일을 고수하려는 고집을 꺾지 않아 1~2시즌까지만 제작하고 하차해야 했다. 실제로 렌과 스팀피 제작 당시에 업계에서 통용되던 제록스 기술을 일절 쓰지 않고 그 대신에 일일이 팬으로 그린 작화를 고집한 일과 현장에서 일하던 스탭들한테 협박, 폭언을 가하며 온갖 피해를 입혔던 일들[11]은 악명이 자자하다. 이런 점 때문인지 2003년 방영된 렌과 스팀피 성인판이 조기종영당한 뒤로 애니메이션 제작자로서의 활동량은 급격히 줄어들었다. TV Tropes에선 아예 돈 블루스, 리처드 윌리엄스랑 Fallen Creator(몰락한 제작자)의 Western animation 항목 내로 분류하였을 정도.

  • 렌과 스팀피에서는 렌의 목소리 연기도 담당했는데, 정작 스팀피의 성우인 빌리 웨스트와도 충돌이 있어 사이가 좋지는 못했다고 한다.[12] 빌리 웨스트가 끝내 렌과 스팀피 성인판에서 스팀피의 성우를 맡지 않은 것도 성인판의 내용에 대한 그의 거부감과 함께 이런 과거의 악연이 상당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존이 제작 현장에서 하차해 니켈로디언을 떠난 이후로는 빌리 웨스트가 렌의 목소리까지 맡게 된다.

  • 과격하고 허풍된 언행이 구설수에 오르기도 한다. 특히 80~90년대 애니메이션을 장난감 광고나 그림이 어색한 졸작 정도로 까내리기도 해서 논란이 되었다.[13] 칼아츠 스타일이란 명칭을 처음 작명해낸 이도 그이며, 가명으로 한 매거진에서 애니매니악스를 언급하며 비난하거나 2000년대의 일부 TVA 중에서도 자신의 관점에서 불호하는 작품들을 깎아내리며 언급한 일도 있었다. 사우스 파크 방영 초창기엔 트레이 파커맷 스톤이 만든 캐릭터 미스터 행키의 컨셉을 두곤 본인이 코미디 센트럴에 제안했다가 거절당한 Nutty Friendly Dump TVA 시리즈의 아이디어를 도용했다고 주장하여 둘에 대해 민사소송까지 고려하며 비난하는 사건이 있었는데, 이에 대해 먼저 코미디 센트럴의 당시 대변인이었던 토니 폭스가 트레이와 맷은 Nutty Friendly Dump에 대해 잘 알지도 못했다면서 이를 어처구니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였으며, 트레이와 맷도 Escape! How Animation Broke into the Mainstream in the 1990s에 수록된 인터뷰에서 렌과 스팀피에 대해 캐릭터가 너무 과장되고 성우의 연기도 짜증나서 2편만 보고 도로 관뒀었지, 우리는 렌과 스팀피의 팬이 아니라며 사건 당시에 먼저 연락을 걸며 비난했던 사람이 존 크릭팔루시였음을 언급하면서 반박한 바 있었다.

  • 여자 그리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실제로 그가 제작한 작품이나 그 외의 여타 일러스트에서는 쭉쭉빵빵한 몸매를 가진 여자 캐릭터들을 심심치않게 찾아볼 수 있다. 특히 렌과 스팀피 성인판은 존의 이러한 취향이 매우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 톰과 제리 등의 제작사로 유명한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서 일할 때도 쌔끈한 여자를 그리지 못하게 한다는 이유로 일을 때려치고 나와버렸다고 한다.

  • 정치적 올바름을 좋아하지 않는다. 렌과 스팀피 1~2시즌에서도 교황을 인질로 출연시키는 등 미미한 묘사가 있었지만 존 본인이 해고된 이후 1990년대 후기부터 제작한 작품들, 특히 렌과 스팀피 성인판에서 외국인에 대한 스테레오타입 묘사나 여성 캐릭터, 남성 동성애자 캐릭터에 대한 일관된 시점의 성적 묘사가 나오는 등의 보다 두드러진 면모를 보였다. 운영하는 블로그에서도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자신의 불호적인 관점을 나타낸 게시물을 올리기도 했었다.


  • 존 본인이 좋아하는 캐릭터는 조지 리쿼르(George Ligour)라고 밝힌 적이 있으며, 디자인은 자신의 아버지를 모티브로 만들어냈다고 한다. 원래 렌과 스팀피에서 조지가 주역으로 나오는 에피소드를 추가로 제작하려 했으나 니켈로디언에서 거부당한 끝에 시즌1에선 카메오로 격하당해 출언했으며, 2편밖엔 만들지 못했다. 해고당한 이후 제작한 'the goddamn george liquor program'이나 스펌코의 코믹(Comic) 만화 등에서 자주 출연시킨 것을 보면 이를 굉장히 아쉬워하는 듯.

  • 2006년 John K stuff란 블로그를 개설하여 2010년대 초까지 업로드가 활발했다가 2019년 초부터 업로드를 재개했다. 과거에 주로 올린 것은 193~60년대 황금기 미국 애니메이션 리뷰나 콘티스토리보드 이미지였다. 2019년엔 이 블로그를 제외한 모든 SNS 계정들을 블락시켰다.

  • 위 문단의 내용처럼 어린 시절 부친과의 관계에 대한 많은 불우한 경험이 있었음에도 그를 렌과 스팀피 성인판에서 조역 캐릭터의 성우를 맡게 해주고, 존 본인의 블로그에 부친에 대한 추억을 기념하는 게시물을 종종 올린 것으로 볼 때 (부친에 대해) 상당한 애증을 지닌 듯하다.

  • 과거 알코올 의존증을 앓은 영향으로 인해 목소리가 상당히 노화되었으며, 이는 1990년대 이후 존 본인이 (제작한 작품들에서 성우로) 맡은 캐릭터들의 음성으로 알아볼 수 있다. 또한 렌과 스팀피 TVA 제작 이전부터 양극성 장애ADHD를 앓고 있다고 언급한 적이 있었다.

  • 1994년 파라마운트 픽쳐스테리 툰즈가 과거 제작했던 단편 애니메이션 작품들 중 데푸티 도그(Deputy Dog)를 바탕으로 한 TV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자고 제안했지만 거부당했다. 그리고 또다른 자신의 오리지널 애니 Atomic pig He-Hog의 파일럿 에피소드를 만들어 MTV에 시리즈 제작을 제안하기도 했지만 거부당했다고 한다.


6. 관련 인물[편집]


  • 영향을 받은 인물
    • 밥 크렘펫[14]
    • 텍스 에이버리[15]
    • 맥스 플라이셔 & 데이브 플라이셔[16]
    • 랄프 박시[17]
    • 밀트 그로스(Milt Gross)
    • 피터 로리[18]
    • 커크 더글라스[19]
    • 척 존스
    • 빙 크로스비
    • The Three Stooges
    • 앨 존슨
    • 엘비스 프레슬리

  • (전) 동료[25]
    • 밥 캠프(Bob camp)[20]
    • 빌 레이(Bill Wray)[21]
    • 린 네일러(Lynne Naylor)[22]
    • 로빈 버드
    • 케티 라이스
    • 빌리 웨스트[23]
    • 제리 벡(Jerry Beck)[24]

  • 상사
    • 윌리엄 해나 & 조셉 바베라 - 존이 일하던 당시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작품들의 책임 제작자.
    • 바네사 커페이(Vanessa Coffey) - 렌과 스팀피 시즌1 ~ 시즌5 TVA의 책임 제작자.
    • 놈 프레스콧 & 루 샤이머 & 할 서덜랜드 - 존이 일할 당시 필메이션 작품들의 책임 제작자.
    • 앤디 헤이워드 & 해리엇 벡 - 존이 일할 당시 딕 엔터테인먼트 작품들의 책임 제작자.
    • 맷 그레이닝 - 존이 카우치 개그를 그려준 심슨 가족의 제작자이자 전 책임 제작자.

  • 기용한 애니메이터, 연출가
    • 밥 자크스(Bob Jaques) & 켈리 암스트롱(Kelly Armstrong)[26]
    • 빈센트 월러[27]
    • 크리스 르카르디(Chris Recarredi)[28]
    • 리차드 퍼셀(Richard Pursel)[29]
    • 에디 피츠제럴드(Eddie Fitzgerald)[30]
    • 짐 스미스(Jim Smith)[31]
  • 프레드 시버트(Fred Seabert)
  • 에릭 바우자
  • 마이클 파타키(Michael Pataki)[32]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5:45:38에 나무위키 존 크릭팔루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훗날 존 크릭팔루시는 블로그에서 딕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소감을 남겼는데, 요약하자면 "필메이션도 40년대 디즈니로 보이는 애니메이션 알못들의 모임" 정도. 1988년 방영된 The New Adventures of Beany and Cecil을 제작할 때 딕 엔터테인먼트와 같이 일했다.#[2] 이때 크릭팔루시는 작품의 노선을 완만하게 가고자 노력한 ABC 측과 대립하면서 공격적인 유머와 전개를 연출하려 시도하기도 했는데, 본작의 1962년판 원작 애니메이션(Beany and Cecil)을 담당한 감독 밥 크렘펫의 가족들은 존 크릭팔루시를 지지했다.[3] 총 136,723달러로 집계.[4] 네모바지 스폰지밥 시즌 4부터 제작에 참여 중인 스태프 중 1명이다. 현재는 스폰지밥 공동 총괄 프로듀서 중 한 명이다.[5] 렌과 스팀피.[6] 투견으로 만들기 위해 데려온 두 녀석 중 스팀피는 고양이다.[7] TV-MA는 한국으로 치면 '19세 이상 시청가'. 옆의 V는 '폭력'(Violence)의 앞글자.[8] 1988년 설립된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로 설립자 중 1명으로 존 크릭팔루시가 참여했다.[9] 현 니켈로디언 애니메이션 스튜디오(nickelodeon animation studio)의 전신격.[10] 위 주장에 대해 변호인은 크릭팔루시를 대신해 "90년대는 그에게 정신적, 감정적으로 불우함을 안겨주는 시기였으며, 그의 가장 소중한 창조물인 렌과 스팀피를 잃어 버렸고, 잠시 동안 그는 16살의 여자친구가 있었다. 수 년에 걸쳐 시달린 끝에 그는 2008년 정신병 진단을 받았으며, 그 시점부터 거의 술을 자기 치료에 의지하였고, 이후 자신의 정신 건강 문제에 열성적으로 일했으며 지난 10년 동안 자신의 삶을 안정화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이런 성과 덕분에 그는 이전에 기회가 없었던 방식으로 성숙할 기회를 얻었다."고 관련된 인터뷰에서 언급하며 반론하였다.[11] 관련 여담에 의한 여러 비화들론 빌리 웨스트는 존의 잦은 캐릭터 녹음 지시로 인한 성대 손상으로 성우 활동을 못할 위험에 처했던 일이 있으며, 한 아티스트가 그림을 그려오면 자신의 시선과 맞지 않는 그림을 죄다 찢어버린 일도 있었고, 한 스태프는 크릭팔루시가 해고된 이후 그에게 온갖 비방을 당한 일이 있었는데, Thad Komorowski가 집필해 2013년 출간된 Sick Little Monkeys에 존이 벌인 만행에 대해 당시 렌과 스팀피 TVA 제작 현장에서 일한 스탭들의 증언과 인터뷰 자료들이 수록되어 있다.[12] 정확하게는 존과 함께 일하면서 빌리한테 막대한 정신적 학대를 끼쳤던 것에 대해, 니켈로디언에서 해고당하자 빌리 웨스트에게 파업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빌리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수년여 간 존의 비방(과 존의 해고를 부당히 여기며 그에 동조한 업계인들과 지지자들의 비방)에 시달리던 중에 1995년 하워드 스턴 쇼란 프로그램에서 (존과) 공동 출연한 일도 있었으며, 한동안 렌과 스팀피에 대한 언급을 피했던 시기마저 있었다고.[13] 물론 80~90년대 당시의 애니메이션 제작 기획 구조나 내부 퀄리티가 무척 낮았던 상황을 고려하면 완전히 틀렸다고 하기는 모호하지만, 이러한 사정을 자세히 파악할 수 없었고 애니메이션을 어린 시절 감상해 추억보정이 남아있던 (작품의) 팬들 입장에선 충분히 비난받을 수위의 발언인 건 다름없었다.[14] 대학에서 퇴학당한 이후,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활동하던 초창기(1970년대 후반)에 그를 만나 1980년대 초반(1984년)에 밥이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활발히 교류, 렌과 스팀피 등의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애니메이션 연출과 감정 표현 기법 등에 막대한 영향을 받았다.[15] 존이 애니메이션 연출과 기법을 학습하던 시기에 주로 봤던 황금기의 미국 애니메이션들 중, 에이버리의 작품들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받았으며 그가 연출한 단편 중 The Ventriquesto cat(1950)을 좋아한다고 인터뷰에서 언급한 적도 있었다.[16] 존이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던 애니메이터. 1990년대 후기부터 2010년대 후기까지 (존이) 제작한 작품들에서 그들의 애니메이션 기법 & 연출의 오마주를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17] 존의 애니메이션 경력에 있어 중요한 멘토이자 업계에서 함께 일했던 동료.[18] 렌과 스팀피 DVD 코멘터리 부가영상에서 존의 발언에 의하면, 주인공 렌을 디자인했을 때 성격의 컨셉을 그가 영화에서 배역으로 출연한 장면에서 영감을 얻어 설정하였으며 위대하고 재미있는 배우라고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19] 렌과 스팀피 본편에서 렌이 손을 움켜쥐거나 스팀피한테 발악하는 등의 장면에서 커크가 출연한 장면들을 많이 참고하였다. 이는 해피해피 조이조이: 렌과 스팀피 스토리 다큐멘터리에서의 언급으로 밝혀졌다.[20]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스펌코의 공동 설립자이자 렌과 스팀피 제작에 참여함. 존이 해고된 이후 시즌3부터 시즌5까지 렌과 스팀피의 책임 제작자를 담당했으나 존과의 제작 과정과 (존의 해고 이후) 니켈로디언 측의 요구로 인한 나쁜 기억들을 지니며 밥 본인이 제작을 맡은 렌과 스팀피 에피소드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원래 스폰지밥 극장판에 삽입할 계획이었던 렌과 스팀피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 요청을 파라마운트 측이 성인판의 흥행 실패를 언급하면서 기각시킨 것 또한 언급하며 (성인판도)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었고, 본작의 문제점 중 상당수가 존을 포함한 스태프의 성급한 면에서 비롯된 것을 인정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었다. 제작진이 교체되면서 존이 개인적으로 본인을 후계자로 지목했지만, 한 잡지에서 종종 밥을 비난하였으며 DVD 세트 제작 과정에서도 참여하지 못했다. 이후 성인판의 흥행 실패와 2013년 sick little monkeys(도서) 발간으로 인해 밥이 제작자를 맡은 분량에 대해 내외적으로 많은 재평가를 받으면서 렌과 스팀피의 진정한 창조자로 인정받으면서 코믹콘 같은 동인 행사에도 여러 차례 초청받게 된다.[21] 시즌1부터 렌과 스팀피 TVA 제작에 참여한 배경 디자이너이자 애니메이터, 작품이 종영되기 전까지 제작 현장에서 활동. 제작 과정 중에 존한테서 많은 악연을 쌓게 되고 렌과 스팀피 후기 시즌이 많은 악평과 비난을 받자 이에 충격을 받아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은퇴하여 페인팅 노트 직종에서 일했으며 (애니메이션 업계로) 복귀할 때까지 수많은 세월이 걸렸다고 한다. 인터뷰에서 존에 대한 일화를 말할 때엔 (존을) 매우 불행하다고 말하면서 그와 친구였을 때 앓고 있던 정신적 질환과 우울증을 극복해 주려 소통했지만 진전되지 않았으며, 처음엔 sick little monkey에 대한 저자 thad의 인터뷰 요청을 거부하기도 했었다. 2019년 cans without labels가 유튜브에 유출되자 영상을 자신의 SNS 계정에 공유하면서 비평한 일이 있었다.[22] 존의 전 여자친구, 존이 업계에 메이저로 데뷔하기 전부터 오래토록 그와 함께했던 연인이었으나 모종의 사정으로 존와 결별한 뒤 크리스 르카르디와 결혼했다. 참여 작품 중 유명한 작품은 배트맨 TAS.[23] 스팀피의 성우, 렌과 스팀피 제작 당시에 받은 존의 비방과 학대에서 비롯된 정신적 충격으로 인해 한동안 렌과 스팀피에 대해 언급을 꺼렸던 시기도 있었다고 한다.[24] 미국 태생의 애니메이션 역사가(Animation Historian), 오래토록 서로 친밀하던 사이였으나 2013년 존의 악행을 다룬 책(Sick Little Monkeys)이 출간된 이후 책에서 증언한 내부고발자들에 대해 존이 마구잡이로 비난하자 절연함. 그가 운영 중인 웹사이트 카툰리서치 닷컴(Cartoon Research)에서 게재되는 업계인 & 평론가들의 글에서도 존의 작품에 대한 언급은 극히 미미하게 언급되고 있다.[25] 이들 중 상당수가 존이 렌과 스팀피 TVA 제작 현장에서 활동하던 당시, 존의 완벽주의와 그가 저지른 악행에서 받았던 트라우마로 인해 결별한 사람들이다.[26] 존이 고평가한 애니메이션 제작사 Carbunkle Cartoons의 설립자이자 애니메이터, 렌과 스팀피 시즌1~2 TVA 제작에 참여했으며 성인판 제작에도 참여. 네모바지 스폰지밥 TVA에선 2016년에서 2018년까지 제작에 참여함.[27] 렌과 스팀피 본편 제작부터 성인판 제작까지 존의 주요 작품들에 스탭으로 참여함. 시즌3 이후부터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주요 스탭이자 책임 제작자로 활동 중.[28] 렌과 스팀피 TVA 제작에서부터 애니메이션 경력을 시작한 애니메이터이자 Happy Happy Joy Joy를 작곡한 뮤지션, 린 네일러와 결혼하게 되자 존에 의해 제작 현장에서 해고당했지만 이후엔 별다른 문제를 빚진 않았었으며 2020년 심장마비로 사망.[29] 렌과 스팀피 본편과 성인판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션 각본가, 네모바지 스폰지밥 TVA 일부 에피소드의 각본들도 담당.[30] 렌과 스팀피 본편에서부터 존의 최후 작품(Cans Without Labels)까지 참여한 애니메이터, 렌과 스팀피 DVD 코멘터리 영상에도 출연함.[31] 렌과 스팀피 파일럿 편(Big House Blues)에서부터 Cans Without Labels까지 참여한 애니메이터, 마찬가지로 존과 서로 문제가 없었던 몇 안되는 인물.[32] 존이 애호하는 캐릭터 조지 리쿼르의 초대 성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