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통일상

덤프버전 :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영웅칭호
공화국영웅
로력영웅
훈장
김일성훈장
김일성상
김일성
청년영예상
김일성
소년영예상
김정일훈장
김정일상
김정일
청년영예상
김정일
소년영예상
국기훈장
로력훈장
전사의
영예훈장
군사복무
영예훈장
군수공복무
영예훈장
조국해방전쟁
승리 60돐
기념훈장
철도복무
영예훈장
석탄광업복무
영예훈장
수산복무
영예훈장
3대혁명
붉은기훈장
친선훈장
조국통일상
폐지된 훈장
리순신장군훈장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한자: 祖國統一賞
영어: National Reunification Priz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ational_Reunification_Prize.jpg
[1]
1. 개요
2. 수상자 목록
2.1. 1990년 수상자
2.2. 1992년 수상자
2.3. 1993년 수상자
2.4. 1995년 수상자
2.5. 1998년 수상자
2.6. 1999년 수상자
2.7. 2000년 수상자
2.8. 2002년 수상자
2.9. 2003년 수상자
2.10. 2005년 수상자
2.11. 2007년 수상자
2.12. 2012년 수상자
2.13. 2016년 수상자



1. 개요[편집]


1990년 7월 25일 제정된 북한훈장. 한민족 혈통의 인사라면 누구에게나 수여할 수 있기 때문에, 수상자 중에는 남한인이나 해외 교포도 있다.

물론 이 중에는 종북주의자는 아닌데 수상자 의지와 상관 없이 일방적으로 시상한 경우도 있다. 한국 민주화 운동가였고 종북성향과는 거리가 멀었던[2] 계훈제, 강경대, 조봉암, 문익환[3]이나 독립운동가 였던 조소앙, 김구, 여운형, 김규식 등에게 시상한 것이 그 예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위 네 사람은 분단 당시 남한을 선택하고 북한을 비판했으며 특히 김구는 백색테러의 지시가 의심되는 강경우익 출신의 인물이다. 사실상 이승만을 제외하고 독립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했던 지도자격 인물들은 다 준 것. 그러면서도 사회주의자였던 이동휘는 수상 받지 못했다. 심지어는 통일교의 교주 문선명에게 까지 시상했다. 즉,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다. 애초에 북한에서는 기준을 공개하지 않고 있어서 애매하다. 이 외에도 하단의 시상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북한 체제를 추종한 바가 없는데도 시상당했다.


2. 수상자 목록[편집]


  • 강경대 (연도 불명. 명지대 학생운동가)
  • 김룡암 (1990. 한국전쟁 당시 조선로동당 충청북도위원회 위원장)
  • 심정웅 (1997 추정. 북한에 포섭된 고정간첩이었다.)
  • 오화영 (1990. 전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최고위원)


2.1. 1990년 수상자[편집]


1990년 8월 15일, 김일성 명의로 수여.


2.2. 1992년 수상자[편집]


1992년 4월 8일, 김일성 명의로 수여.
  • 리관술, 주병포, 박종근, 조병하, 리선우, 정석진, 길원팔, 손관일, 임진환, 송명현, 선동기, 박갑출, 조영래, 전종수, 강경구, 김갑철, 박천평, 박찬봉, 허근오, 김명곤, 강신수, 김재완, 박치우, 김백동, 윤가현, 리병로, 남도부, 구연상, 신장식, 백설학, 리순우, 김지회, 오필성, 오영관, 려병근, 권호산, 곽해봉, 양인섭. 배동욱, 함종각, 계월복, 정수복, 리치상, 리영, 김경배. 김광진, 류기찬, 리재호, 김귀정, 김기설.


2.3. 1993년 수상자[편집]


  • 최일천(1993.4.22), 리종환(1993.4.30).


2.4. 1995년 수상자[편집]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 리인모, 류미영, 백인준, 정신혁, 김춘삼, 성세창, 김창수, 리영옥, 김성규, 권태휘, 리혁영, 강성재, 고기준, 선우몽령, 김상오, 박종식, 박산윤, 정리근, 권중범, 홍종호, 김상봉, 최상호, 고진히, 김승원, 김인서, 함세환, 김영태, 김선명, 안학섭, 허영철, 김우택, 리두균, 리범영, 박승희, 전병완, 김남주, 허종만, 배병두, 김정수, 리종활, 안상택, 강일, 양영동, 전충림.


2.5. 1998년 수상자[편집]


1998년 4월 18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 김기현, 신동일, 신백현, 송을수, 정렬모, 리구훈, 송언필, 김홍기, 김삼흥, 김증두, 조남진, 리용범, 류기익, 김석훈, 김득모, 김경진, 량만철, 려연구, 김주영, 김운봉, 김상훈, 석인해, 정두환, 조동욱, 김성률, 강태무, 표무원.

1998년 8월 10일, 중앙인민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 리경희, 박진홍, 홍기무, 김태준, 정진구, 리영희, 김강현, 강형구, 유항림, 김석준, 한시영, 최민, 김태희, 전주설, 박태호, 리성봉, 홍화두, 장효섭, 백련욱, 최태규, 김영준, 로영호, 정민수, 리칠성, 리영선, 조성규, 김철, 장사균, 김관옥, 오환, 안경환, 차리호, 박현, 리복래, 장응진, 송재동, 박판쇠, 강철재, 서응석, 리영희, 김기성, 정정기, 손대수, 류필준, 손기운, 김흥복, 심일, 최현, 리히영, 최완규, 리영일, 백두흠, 남명근, 정창모, 윤태환, 강칠성, 김현삼, 김진구, 윤일대, 안명용, 정월영, 리중이, 리춘명, 김판성, 조철로, 강태민, 리상윤, 정장운, 김춘옥, 권순휘, 오형진, 최병조, 김기철, 최일수, 박문국, 전호언, 김완규, 김봉옥, 안병옥, 김범, 황갑성, 최재식, 최수룡, 성석균, 최경식, 박희덕, 정무진, 려성근, 송두만, 손정도, 리시구, 백종원, 남시우, 손진형, 정창섭, 려운각, 김만유, 리복남, 채홍렬, 강창수, 최영반, 서종실, 홍인흠, 김문경, 량수정, 김우종, 김광수, 백한기, 권석봉, 백태옥, 백종호, 채종만, 홍동근, 최정렬, 양은식, 유태영, 박용.


2.6. 1999년 수상자[편집]


1999년 8월 5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2.7. 2000년 수상자[편집]


2000년 9월 4일, 비전향장기수들을 대상으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 김선명, 리종환, 우용각, 김우택, 윤용기, 한장호, 방재순, 전진, 최선묵, 홍명기, 안영기, 리경구, 장병락, 강동근, 류한욱, 홍문거, 김명수, 최하종, 김인수, 송상준, 황용갑, 리경찬, 최수일, 김용규, 류운형, 김인서, 김영태, 함세환, 김동기, 고광인, 홍경선, 박완규, 리공순, 임병호, 장호, 신인영, 김종호, 리두균, 김은환, 양정호, 오형식, 김일진, 김창원, 김석형[5], 신인수, 리세균, 김영만, 조창손, 김영달, 리재룡, 한춘익, 김중종, 박문재, 류연철, 김용수, 리종, 윤희보, 전창기, 한백렬, 석용화, 손성모, 신광수, 한종호.


2.8. 2002년 수상자[편집]


2002년 4월 4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2.9. 2003년 수상자[편집]


2003년 9월 5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북한 건국 55주년을 기념하여 수훈.
  • 림무, 김재찬, 기승수, 하영순, 최동혁, 홍두원, 최태룡, 한정우, 박석정, 리용악, 리병인, 신남철, 권태양, 렴태준, 김영대, 강영섭, 장재언, 김덕현, 리종혁, 전금진, 허혁필, 윤봉구, 신홍식, 윤덕곤, 김태삼, 최석룡, 김 응환, 김순흠, 김창욱, 리동철.


2.10. 2005년 수상자[편집]


2005년 6월 3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 김용순, 강응진, 서령해, 리정구, 김동원, 곽이영, 최성세, 손성필, 주창준, 강련학, 려원구, 조종승 ,백상규, 신성균, 김의한, 장현식, 김상덕, 김중우, 길기우, 박제해, 송호경, 오홍택, 손종철, 김구식, 리명영, 김윤세, 김룡성, 곽칠성, 김성찬, 강억천, 변기재, 김삼천, 김용흡, 한구하, 남승우, 허남기, 전연식, 문동건, 윤상철, 리말상, 김태희, 홍봉수, 신상대, 정재필, 조령현, 맹동호, 리한수, 양인원, 황진생, 차상보, 석명손, 권천식.


2.11. 2007년 수상자[편집]


2007년 8월 25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 림동옥, 한웅식, 박렬, 윤성식, 정인석, 리우성, 정인보, 장병태, 김종식, 윤금석, 안흥갑, 한학수, 리중락, 김용술.


2.12. 2012년 수상자[편집]


2012년 3월 30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 김중린, 성기환, 려운희, 조운, 김봉점, 리욱휘, 서병곤, 백세빈, 조정호, 박동근, 오선학, 한길수, 주영일, 윤근.

9월 6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사망한 문선명에게 '위대한 김일성동지와 김정일동지의 민족대단결사상과 조국통일로선을 높이 받들고 민족의 화해와 단합, 나라의 평화적통일을 실현하며 민족공동의 번영을 위한 애국위업에 적극 기여'했다는 이유로 수여.


2.13. 2016년 수상자[편집]


2016년 8월 30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에 따라 수훈.
  • 김양건, 강관주, 리준성, 김류환, 김용관, 리종만, 정진환, 허홍식, 리우갑, 정규진, 채창국[6].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0:36:25에 나무위키 조국통일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문선명 사후 북한에서 수여한 조국통일상 훈장과 상장. 위키백과 자료.[2] 같은 반공주의자 범주에 들어간다해도 북한 북진론을 펼쳤던 이승만이나 북한 붕괴를 기다리는 보수층 일각과는 명백히 입장의 차이가 있는 인물들이다.[3] 언어 통일을 위해 방북을 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으나, 북한의 주체사상과 북한 체제에 대해서 비판적 입장을 취했다. 친북으로 단체들이 끌려가는 모습을 보이자 해체를 하기도 했다.[4] 로동신문에서 이렇게 보도했다. 오화영의 오타로 추정.[5] 역사학자 김석형과는 동명이인.[6] 통일전선부 부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