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보스

덤프버전 :



1. 개요
2. 갑각기생수 고마
3. 맹염고대용 킹 도동고
4. 전기회전충 배리네이드
5. 이차원악령 팬텀 가논
6. 작열용암용 밸버지아
7. 수생핵세포 모파
8. 암흑환영수 봉고봉고
9. 쌍생마도사 트윈노파
10. 대마왕 가논돌프
11. 가논


1. 개요[편집]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에 등장하는 보스 목록.

시리즈의 보스전이 확실히 바뀌었다.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검으로 기회를 봐서 공격해 나가던 전작들과 달리 이번에는 도구를 사용해 보스를 꼼짝 못하게 한 후 검으로 마구 공격하는 보스전이 이루어진다. 2D 탑뷰 시리즈에서도 이런 방식의 보스전을 벌이게 된다.

보스가 등장할 때 등장 연출이 나오면서 보스의 이명과 이름이 화면에 크게 뜬다. '쌍생마도사(双生魔導師) 트윈노파'처럼. 이후 시리즈에서 이런 식으로 보스가 작명된다[1]. 영어는 별 제약이 없다. 그리고 중요 인물은 이 규칙이 잘 적용되지 않는다.[2]


2. 갑각기생수 고마[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Gohma.png
甲殻寄生獣 ゴーマ/Parasitic Armored Arachnid: Gohma
데크나무님 속의 보스. 가논돌프가 데크나무에게 건 저주의 결정체로, ÷ 모양 눈동자의 외눈박이 거미의 모습이다. 계속 알을 낳으며 데크나무의 생명을 빨아먹고 있다.

처음에 보스 방에 들어가면 움직이는 소리만 들리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위를 바라보면 고마와 눈이 마주치며 전투가 시작된다. 링크에게 돌진하고 뒤로 돌아 벽을 타고 올라가 알을 낳고 다시 내려오는 패턴을 반복한다. 눈이 붉어졌을 때 새총으로 눈을 맞히거나 데크의 열매로 때리면 경직되어 공격할 수 있다. 눈만 뜨고 있다면 천장에 매달려 있든 링크에게 돌진해 오든 새총이 유효하다. 난이도는 정말 쉽다


3. 맹염고대용 킹 도동고[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Dodongo2.png
猛炎古代竜 キングドドンゴ/Infernal Dinosaur: King Dodongo
도동고 동굴의 보스. 도동고들의 왕으로 고론족들의 천적. 가논돌프에 의해 단체로 날뛰게 되어 데스마운틴의 골칫거리가 되었다.

거대한 몸으로 굴러오며 링크에게 돌진해오므로 빨리 도망쳐야 한다. 보스 방 가운데는 용암 바다이므로 가장자리에서만 공격이 가능하다. 하일리아의 방패가 있다면 엎드리기로 구르기를 피할 수 있다. 돌진하다 멈춘 후 숨을 크게 빨아들인 후 불꽃을 내뱉는데, 숨을 빨아들일 때 폭탄이나 폭탄꽃을 입에 던져 넣으면 경직되어 공격할 수 있다. 한 번 폭탄을 던졌을 때 한 방 밖에 먹이지 못하므로 점프베기를 쓰면 세 번 만에 해치울 수 있다. 처치하면 고통스러워 하다 알아서 용암에 빠져 녹아 가라앉는다.

일반 보스전과 다른 음악[3]이 흘러나온다.


4. 전기회전충 배리네이드[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Barinade.png
電撃旋回虫 バリネード/Bio-Electric Anemone: Barinade
자부자부의 배의 보스. 가논돌프가 자부자부에게 심어놓은 기생충으로, 상부에는 전기를 발사하는 거대 안테나같은 촉수와 천장에 고정하는 촉수들로 이루어져있고 하부에는 본체를 보호하는 바리들로 이루어진 기괴한 형태의 보스. 던전 곳곳에 보이는 '바리'의 거대형이다.

촉수로 위에 매달려 몸을 돌진시키고 전격을 날리는 공격을 해온다. 위의 촉수를 부메랑으로 모두 끊으면 떨어져 경직되어 공격할 수 있다. 그 후에는 몸을 회전시켜 날아오는데 이때는 부메랑 공격이 불가능하고 다가가도 위험하다. 배리네이드를 둘러싸고 있는 바리는 본체를 부메랑으로 경직시킨 다음 제거할 수 있다. 부메랑은 일일이 주목해 던져야 하지만 데크의 열매를 사용하면 한 번에 더 많은 수의 바리들을 제거할 수 있다. 처치하면 본체가 붉게 부풀어 오르다 터져버린다. 어린 시절 삼 던전 보스 중 그나마 난이도가 있다.


5. 이차원악령 팬텀 가논[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Phantom.png
異次元悪霊[4] ファントムガノン/Evil Spirit from Beyond: Phantom Ganon

숲의 신전의 보스. 가논돌프가 만들어놓은 자신의 분신. 보스 방에 있는 계단 위로 올라가면 멀리 떨어진 성채와 이어진 길을 묘사한 그림이 6개 걸린 방이 있는데, 들어서면 아무것도 나오지 않다가 나가려고 하면 문이 격자로 막히며 말에 탄 가논돌프가 나타난다. 주인공의 숙적 가논이 성장 이후 대면하는 첫 보스로 나온다는 것에 큰 인상을 주기도 했다.

6개 중 3개의 그림에서 팬텀 가논이 질주해 나온다. 그 중에 둘은 허상이고, 하나만이 진짜다. 요정의 활을 준비하고 3명을 보면 진짜는 가짜와 달리 그림 밖으로 나와 벼락을 날린다. 공격을 하기 전 화살을 날리면 대미지를 입고 다시 돌아간다.[5] 3번 대미지를 주면 타던 말을 버리고 직접 나와 링크와 전통의 1:1 배구 결투를 벌인다. 손에 든 창으로 마법탄을 날리는데 검으로 되받아쳐 팬텀 가논을 마비시켜야 한다. 원본도 똑같은 패턴을 사용하기에 일종의 연습전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원본과는 다르게 탄속이 점점 빨라져서 체감 난이도는 오히려 이쪽이 높다.

가끔씩 창을 겨누고 기운을 방출하며 돌진해오는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때는 타이밍을 잘 노려 회전베기를 시전해주면 된다. 마비시키면 팬텀 가논이 바닥으로 떨어져 움츠리면 공격할 수 있다. 팬텀 가논을 물리치면 진짜 가논이 링크를 의식하고 위협하며, 팬텀 가논에게 쓸모없다고 일갈하며 다른 차원으로 날려버린다.[6] 팬텀 가논은 고통으로 몸부림치다가 푸른 불꽃으로 산화하며 소멸한다.

사리아와 숲은 해방되며, 코키리 숲에 있던 마물들이 사라진다.


6. 작열용암용 밸버지아[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Volvagia.png
灼熱穴居竜 ヴァルバジア/Subterranean Lava Dragon: Volvagia
불의 신전의 보스. 모습은 동양 용을 모티브로 했다. 고대의 화룡으로 옛날에 데스마운틴 분화구에 살면서 고론족들을 잡아먹고 살았으나, 고론족의 영웅이 거대한 망치로 봉인시켜 버렸다고 하는 전설이 고론족 사이에 전해내려온다. 이 고론족 영웅의 자손이 바로 다르니아.

여기서부터 보스들의 공격력이 엄청나게 강해지기 시작한다. 보스 방에는 여러 개의 작은 용암 구멍이 있고 두더지잡기마냥 한 구멍으로 들어가 랜덤으로 얼굴을 내밀어서 머리에 있는 화염 띠를 휘둘러 링크를 공격한다. 얼굴을 내밀 때 띠를 백 텀블링으로 피한 후 재빨리 메가톤 해머로 머리를 내려치면 경직되어 공격이 가능하다. 하늘 위로 올라가 불을 뿜거나 화산탄을 떨어뜨리기도 하는데 이 화산탄은 맞으면 즉사한다. 죽으면 꼬리부터 불타기 시작해 뼈만 남아버린다.

밸버지아를 제거하면 데스마운틴이 잠잠해진다. 또한 만화판에서는 꽤나 감동적인 에피소드로 유명하다.[7]

일반 보스전과 다른 음악이 흘러나온다.[8]

꼼수를 알면 난이도가 대폭 낮아진다. 머리 내밀기 > 날아오르기(화산탄 or 브레스) 패턴을 반복하는데, 날아오르기 패턴을 할 때 지형 끝 모서리에 매달려 숨어있으면 안전하다. 사실 비행 패턴중에 활로 대미지를 줄수 있어서 화살이 충분하면 어렵지 않게 물리칠 수 있다.

특이하게도 고론족은 수호신이 없는데, 하이랄 히스토리아에 따르면 다름아닌 밸버지아가 과거 고론족의 수호신이었다고 하며, 바람의 지휘봉에 등장하는 용신 발루가 밸버지아의 후손일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즉 밸버지아는 데크나무나 자부자부와 동급 존재라는 말인데, 어떠한 이유로 고론을 적대하게 되어 고론 영웅에게 봉인당한 것으로 보인다.


7. 수생핵세포 모파[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Morpha.png
촉수물
水棲核細胞 モーファ/Giant Aquatic Amoeba: Morpha
물의 신전의 보스. 상당히 특이한 보스로, 몸이 물로 이루어져서 보스 방 안에 고여 있는 물이 전부 모파의 몸이다. 루토도 보통 물이 아니라고 경고한다.

이 물은 빠지면 데미지를 입으므로 빨리 가장자리나 가운데의 발판으로 올라가야 한다. 물 속에서는 이리저리 헤엄쳐 다니는 모파의 핵을 롱샷으로 끌어내 공격할 수 있다. 핵이 제자리에서 이상한 소리를 내면서 빙빙 돌면서 촉수를 만드는데, 이 촉수를 링크 쪽으로 쭈욱 뻗어 공격한다. 여기 잡히면 몸을 감싸 날리는데 대미지가 충격적이다. 하지만 이 촉수를 뻗어 낼 때, 핵이 비교적 느린 속도로 촉수 속을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이 때가 공격찬스다. 몇 번 공격을 성공하고 나면 한 번에 촉수를 여러 개 만들기도 하니 주의.

모파를 제거하면 하일리아호에 다시 물이 차오른다.

핵을 뽑아냈을 때 구석으로 몰아버리면 물속으로 다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이때 마구 난도질해주면 원턴킬이 가능하다. 오히려 중간보스인 다크 링크가 훨씬 어렵다는 평. 정확히는 구석에서 롱샷으로 핵을 끄집어낸 후 즉시 벽면과 핵을 등지고 방패 찌르기를 연발하면 방패랑 구석 사이에 끼어서 아무것도 못하고 비명횡사하게 된다. 굳이 구석으로 몰지 않더라도, 링크가 구석으로 가면 모파가 만들어내는 촉수 역시 링크가 있는 구석만 노리기 때문에 본체를 다시 끌고 오기 쉬워진다.

딘의 불꽃을 사용하면 모파의 촉수가 증발하여 모파의 핵만 남게 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촉수가 다시 재생된다.


8. 암흑환영수 봉고봉고[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Bongobongo.png
暗黒幻影獣 ボンゴボンゴ/Phantom Shadow Beast: Bongo Bongo
어둠의 신전의 보스. 사람들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 가논돌프에 의해 봉인이 풀려 카카리코 마을을 습격했고 이 때문에 임파가 어둠의 신전으로 향하게 된다. 두 손은 잘려 있고 외눈박이에 어둠 속에서 붉은 눈이 노려본다는 상당히 기괴하게 생긴데다 봉인된 악령이란 것 빼고는 어떠한 배경설명도 없어서 정체에 관한 수수께끼가 많다. 몸에서 분리되어 있는 양손과 목이 잘린 듯한 모습이 과거 처형당한 사람을 상징한다는 설이 있다.

어둠 속에 달랑 하나 떠있는 거대한 북 위에서 모습을 감춘 채 링크를 공격한다. 진실의 렌즈로 봉고봉고를 찾아낸 후 리듬을 타는 양 손을 공격하면 눈을 부릅 뜨고 링크에게 달려드는데 이 때 눈에 화살을 쏘면 바로 쓰러져 경직되므로 이때 공격해야 한다. 체력도 높지만 공격력이 아주 극악하므로 약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혹 이 시점에 얼음의 화살을 가지고 있다면 훨씬 쉽게 처치할 수 있다. 봉고봉고의 한쪽 손을 얼음의 화살로 맞추면 꽁꽁 얼어버리는데, 이렇게 되면 봉고봉고는 다른 한 손으로 얼음을 깨 부수려 하면서 한참 시간을 끈다. 이 사이 눈을 저격하면 바로 마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기괴한 분위기와 어려운 난도와는 별개로 북을 통통 두들기며 리듬을 타는 게 아주 흥겨운 보스전이기도 하다.나름 귀엽다 음MAD에선 단골 손님.


9. 쌍생마도사 트윈노파[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Twinrovasisters.png
파일:external/zeldawiki.org/OoT_Twinrova.png
처음 모습
합체된 모습
双生魔導師 ツインローバ/Sorceress Sisters: Twinrova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트윈노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대마왕 가논돌프[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430px-Ganondorf_OoT3D.png
大魔王 ガノンドロフ/Great King of Evil: Ganondorf
가논 성의 보스.

나비가 어둠의 힘에 눌려 주목이 불가하다.[9] 지진 충격파로 중앙 플랫폼과 주변 발판을 분리시키고, 숲의 신전에서 팬텀 가논과 벌인 마법 받아치기를 한다. 중앙 플랫폼에 서 있거나 오브를 피해 발판에 직격하면 발판이 붕괴된다. 계속 받아쳐도 팬텀 가논 때처럼 속도가 빨라지거나 하진 않는다. 가논돌프가 마법탄에 맞으면 잠시 스턴 상태가 되는데 이 때 빛의 화살을 쏘면 떨어져 공격할 수 있다. 다시 정신을 차리면 지진 충격파를 쓰므로 중앙 플랫폼에서 벗어나자. 밑으로 떨어지면 주변의 항아리를 깨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중앙 탑은 후크샷으로 등반이 가능하니 최대한 높게 후크샷을 조준하고 쏘면 쉽게 올라갈 수 있다. 대미지를 어느 정도 입히면 양손을 들어 암흑 에너지를 모아 유도성 빔을 발사하는 공격 패턴이 추가된다. 피하기 상당히 힘들지만 모으고 있는 동안 빛의 화살을 쏴버리면 무력화 상태가 된다. 기를 모을 동안 똑같이 검에 기를 모았다가 빔을 쏠 때 회전 베기를 써 보자. 빔이 반사되어 역관광을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잠시 마비만 되니 빛의 화살을 쓰자.

검이 아니라 빈 병에게 당하는 굴욕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빅고론도를 쓸 경우 점프베기 5방 정도에 당하는 굴욕도 당한다. 고마처럼 원턴킬이 가능한 보스이다. 빔을 튕겨내고 빛 화살을 쏜 상태에서 적절한 타이밍으로 공격하면 기절 상태가 풀리지 않아 정신을 차리기 전에 끝장낼 수 있다.

깨알 디테일로 가논돌프가 많이 맞으면 망토가 찢어져 구멍이 송송 난다.


11. 가논[편집]


파일:external/zeldawiki.org/461px-OoT_Ganon.png
ガノン/Ganon[10]
가논 성을 탈출하면 나타나는 최종 보스.

젤다와 가논 성을 탈출하면 가논돌프가 힘의 트라이포스를 이용해 마왕 가논으로 변신한다. 삼지검을 양손에 들고 휘두르자 링크가 마스터 소드를 놓쳐 버린다. 마스터 소드는 젤다 옆에 꽂히는데 불벽이 생겨서 마스터 소드 쪽으로 갈 수가 없다.

머리에 빛의 화살을 쏘아서 경직시킨 후 꼬리를 메가톤 해머나 빅고론도로 공격하면 된다. 빛의 화살을 쏘지 않고 그냥 뒤로 돌아가거나, 더 쉽게 다리 사이로 구르기를 사용해 통과해 꼬리를 공격할 수도 있다. 데크의 열매를 사용해도 된다. 삼지검 공격력은 아이언 너클과 동일하며, 공격받고 쓰러지면 젤다가 링크가 쓰러지는 것을 보며 소리를 지른다.

보스전 중 불벽이 소멸되는데 이때 마스터 소드를 다시 가져와 마스터 소드로 싸워야 한다. 마스터 소드로 공격하지 않으면 가논은 쓰러지지 않는다. 계속 공격하면 결국 마스터 소드의 힘에 패배해 가논은 봉인되어 버린다.

[1] 하지만 시간의 오카리나 이외의 작품에서는 5글자가 아닌 것도 있다.[2] 대마왕 가논돌프, 참왕 젠트, 마족장 기라힘, 유가, 아그님 등.[3] 밸버지아와 브금을 공유하며 이후 황혼의 공주의 보스 스탈로드 2차전에서도 어레인저되어 나온다.[4] 그림에서 튀어나오는 특유의 패턴 때문에 二차원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다른 차원이란 뜻의 異(다를 이)차원이다.[5] 이 패턴을 쉽게 잡는 방법은 바로 사플이다. 그림에서 팬텀 가논이 타고 있는 말의 말발굽 소리가 스피커의 정중앙에서 들려오는 거 같다면 그 그림이 진짜 팬텀 가논이 달려오는 장소이다.[6] 여담으로 옆쪽 시간대인 바람의 지휘봉에서도 팬텀 가논이 등장하는데 시오에서 날려버린 팬텀가논이 바로 이 지휘봉의 팬텀 가논이라는 추측도 있다[7] 만화판의 벨버지아는 새끼용일 시절 어린 링크가 구해준 적이 있었고, 이때 링크의 이름을 배운다. 7년후 성장한 링크는 고론 족을 구하기 위해 용과 싸우지만 그 용의 어렸을때 구해준 벨버지아임을 알게 되고 고뇌하고 다시 싸웠을땐 자신을 기억하라고 절규하지만 가논돌프의 저주로 인해 이성을 잃은 벨버지아와 싸워 죽이게 되었다. 이후 저주가 풀린 채 죽어가는 벨버지아는 링크의 이름을 부르고는 사망한다. 이 일로 인해 안 그래도 가논에게 분노하던 링크는 더더욱 분노하게 된다.[8] 킹 도동고 보스전과 같은 음악이다.[9] 사실 마법 공 받아치기에 성공하면 주목이 가능해지지만 가논돌프 전에서는 딱히 주목을 사용할 일이 없다.[10] 아무런 호칭 없이 큼직한 글씨로 '가논'이라 나오는게 상당히 인상적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0:35:49에 나무위키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보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