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6보병사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제76보병사단의 전신(前身)에 대한 내용은 제38보병사단 문서
제38보병사단번 문단을
제38보병사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76보병사단
{{{#ffffff 第七六步兵師團
{{{#ffffff The 76th Infantry Division
파일:제7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창설일
1955년 5월 20일(제38보병사단)
1985년 8월 16일(제76훈련단)
1987년 4월 1일(제76보병사단)
해체일
2011년 11월 30일
별칭
진격부대
소속
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
제2군단
규모
사단
역할
평시 예비군 교육관리
초대 사단장
예) 준장 000(0사 00기)
해체 전 사단장
예) 준장 전승일(3사 15기)
위치
강원도 홍천군





1. 개요
2. 연혁
3. 예하부대
3.1. 사단직할대
3.2. 제113보병연대
3.3. 제115보병연대
3.4. 제116보병연대
3.5. 포병연대
4. 과거부대
5. 출신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사단가
7. 사건사고
8. 여담


파일:2011052015357.jpg
제76보병사단 창설 56주년 기념행사[1]

진격부대


1. 개요[편집]


강원도 홍천군을 근거지로 했던 제2군단 소속 사단. 부대애칭은 진격(進擊). 경례구호 역시 "진격" 1955년 5월 20일 38사단이 창설되었으며, 38사단 해체 후 1982년에 76훈련단으로 창설, 1987년에 76사단으로 재창설을 거쳤다가 2011년 11월 30일 해체되었다.


2. 연혁[편집]


대한민국 육군보병 사단으로, 향토사단에서 동원사단으로 격하된 유일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는 1982년에 이뤄진 육군의 편제 개편 때문인데, 2군 지역에서 군단역할을 하던 관구사령부를 전부 해체하고, 제주도를 제외한 나머지 도는 1사단, 1훈련단 편제로 개편했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대구에 주둔하던 50사단이 대구, 경북 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는 향토사단으로 정해지고, 안동에 주둔하던 36사단은 강원도(원주)로 이동해서 1군 직할 향토사단으로 바뀌었다. 본래 있던 38사단은 제2군단 예하 76훈련단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1984년 12월부터[2] 원주시를 떠나 홍천군으로 이전했으며, 1985년 3월 1일부터 홍천에 훈련단 본부가 자리잡았다. 이후, 1987년에 동원훈련단을 동원사단/향토사단으로 승격시킬 때에 다시 제76동원사단으로 확대, 개편되었다.

이후 동원사단의 축소에 따라, 수도권 지역의 60, 66, 72, 73, 75사단을 제외한 나머지의 해체가 확정되자, 가장 이른 편인 2011년 11월 30일에 해체되었다. 부대 해체 후 사령부 후적지에는 제3군단 예하 제3군수지원여단 603수송대대가 주둔해 있다.

홍천(사단 직할대(본부대, 수색대, 정비대, 보수대, 전차중대, 공병대, 헌병대, 화학대, 통신대, 의무대) 사자연대)과 인제(비호연대, 황룡연대, 포병연대)에 주둔했다.


3. 예하부대[편집]



3.1. 사단직할대[편집]


  • 본부근무대
  • 수색대대
  • 공병대대
  • 전차대대
  • 정비대대
  • 보급수송대대
  • 정보통신대대
  • 화학지원대대
  • 헌병대
  • 의무근무대


3.2. 제113보병연대[편집]




과거 강원도 홍천군에 위치했다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3.3. 제115보병연대[편집]




과거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했다. 원주에서 이동 초창기는 113연대와 같이 홍천에 있었다.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3.4. 제116보병연대[편집]




과거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했다. 원주에 있을 때는 단본부에 있었다.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3.5. 포병연대[편집]




  • 연대본부
  • 제308포병대대
  • 제309포병대대
  • 제310포병대대
  • 제603포병대대(155mm 곡사포대)


4. 과거부대[편집]



5. 출신인물[편집]



5.1. 사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제76보병사단장.

역대 제76보병사단장
역대
이름
계급
임관
비고
기타
초대
이한규
예) 준장
00대
조성옥
예) 준장
갑종 00기
육군군수사령부 행정부장, 육군 제2훈련소 참모장

00대
박춘순
예) 준장
육사 25기
前 사단장

39대
송승석
예) 준장
육사 32기
수도포병여단

41대
정석기
예) 준장
3사 11기
육군보병학교 교수부장, 육군교육사령부 지원부장

42대
라성호
예) 준장
육사 35기
제11공수특전여단

43대
전승일
예) 준장
3사 15기
제2포병여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신(前身) 사단인 제38보병사단장 에 대한 내용은 제38보병사단 문서
제38보병사단번 문단을
제38보병사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장교/부사관[편집]


대령 시절 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대령 시절 사단 참모장을 역임했다.

대령 시절 116연대 연대장을 역임했다.

  • 이앙로
대령 시절 113연대 연대장을 역임했다.

5.3. 병[편집]


사단 해체 직전 전입하여 사단 해체까지 복무했다.

신남 주둔지에서 복무했다.

  • 박시용 - 건설사 대표
원주부대(반곡동)를 거쳐 홍천 115연대에서 1985년도에 육군 하사로 전역했다.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6.2. 사단가[편집]


1절

불타는 우국충정 가슴에 안고

조국의 통일과 평화를 위해

겨례의 부름받아 총칼을 들고

우리는 모였다 진격의 사단

진격에 앞장서는 용사가 되자.

2절

피흘려 지켜온 우리의 강산

번영에 이 강산 지키기 위해

피끓는 충정으로 한몸이 되어

우리는 모였다 진격의 사단

진격에 앞장서는 용사가 되자.

3절

조상의 빛난 얼이 스며 있는곳

민족의 정통성을 지키기 위해

구릿빛 얼굴에는 웃음꽃 피고

줄기찬 훈련이다 진격의 사단

진격에 앞장서는 용사가 되자.

─ 76사단가


7. 사건사고[편집]



8. 여담[편집]


  • 동원사단의 특성상 일반적인 보병사단과는 조직 구성이 다르다. 평시에는 소대조직이 없고 중대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1개 중대에 현역 10~12명 정도로 구성되며 중위~대위급의 간부가 중대장을 맡는다. (간혹 소위가 중대장을 역임하기도 한다.) 즉 일반 보병사단의 분대 = 동원사단의 중대라고 보면된다. 현역이 10여명뿐이지만 중대라고 호칭하고 특이하게 최고참 현역은 "분대장"이지만 평소에 분대라는 호칭은 쓰지않는다.

  • 소총중대의 경우 60mm 박격포반 3~4명, 기관총사수 2명, 통신병 1명, 유탄사수 1명 나머지는 소총병으로 구성된다.

  • 전시 혹은 동원훈련이 시작되면 각 중대별로 100여명 정도의 예비군을 편성하여 비로소 일반적인 보병사단의 중대급 인원을 갖추게 된다. 대위급 중대장은 그대로 중대장을 역임하지만 가끔 소위가 중대장을 맡았던 경우 대위급 예비역 장교가 중대장을 맡는다. 입소 순서로 분대를 배정하며 순서에 따라 보통 예비역 병장이 분대장을 맡지만, 부사관 출신 예비군이 있다면 분대장에 우선 배정된다.

  • 홍천, 인제 쪽에 위치한만큼 멀리 떨어진 수도권 지역의 예비군을 징집하여 동원훈련을 진행하는데 예비군 입장에서 가까운 거리도 아니고 고속버스로 왕복 3~4시간 걸리는 지역까지 왔다갔다 하다보니 이에 대한 불만이 높았고 실제로 퇴소 후 관계부처에 항의 민원도 잦았다. 이 부분이 국방개혁 당시 사단 해체에 영향을 주었는지는 알 수 없다.

  • 76사단 해체 이후 제27보병사단으로 소속이 변경되어서 전역한 사람들도 있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제27보병사단도 2022년 11월 30일에 해체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8:04:21에 나무위키 제76보병사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56주년이 마지막 행사였다. 그 해 말에 76사단이 해체되었기 때문.[2] 최초 이동부대는 113연대 1대대로 1984년 12월 24일 이전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