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상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세트
정장
턱시도 · 연미복 · 프록 코트 · 워셔블 슈트
유니폼
교복 · 군복 · 제복 · 기동복 · 민방위복 · 정복 · 근무복 · 법복 · 죄수복 · 학교 체육복
수영복
비키니 · 래시가드
기타
원피스 · 운동복 · 아웃도어 · 츄리닝 · 전통의상 · 바디슈트 · 작업복 · 커버올 · 점프슈트 · 수도복 · 수단 · 인민복
상의
이너
티셔츠 · V넥 티셔츠 · 긴팔 티셔츠 · 폴로 셔츠 · 헨리넥 셔츠 · 민소매나시 · 스웨터니트 · 스웨트 셔츠맨투맨 · 후드티 · 셔츠와이셔츠 · 블라우스 · 터틀넥 · 배꼽티 · 핑거홀 · 오프숄더
외투
(아우터)
코트: 트렌치 코트 · 피 코트 · 폴로 코트 · 프록 코트 · 인버네스

재킷: 가죽 재킷 · 라이딩 재킷 · 데님 자켓청자켓 · 테일러드 재킷블레이저 · 블루종

기타: 가디건 · 패딩 · 무스탕 · 플리스 · 후드집업 · 야상 · 비옷우비 · 윈드브레이커바람막이 · 파카 · 점퍼잠바 · 니트조끼 · 볼레로
하의
치마
미니스커트 · 테니스 치마 · 롱스커트 · 정장치마 · 치마바지 · 멜빵치마 · 청치마
바지
청바지 · 슬랙스 · 면바지(치노) · 반바지 · 핫팬츠 · 돌핀팬츠 · 조거 팬츠 · 스키니진 · 나팔바지 · 건빵바지카고바지 · 레깅스 · 몸뻬
양말류
틀:양말 및 스타킹 · 양말 · 스타킹 · 레깅스
속옷
틀:속옷 · 팬티 · 브래지어 · 내복 · 속바지
신발
종류
운동화 · 캔버스화 · 스니커즈 · 구두 · 로퍼 · 옥스퍼드 · 슬립온 · 하이힐 · 스틸레토 힐 · 메리 제인 · 부츠워커 · 슬리퍼 · 조리 · 샌들 · · 어글리 슈즈
브랜드
나이키 · 뉴발란스 · 닥터마틴 · 아디다스 · 컨버스 · 프로스펙스 · 하루타 · crocs · FILA
잡화
의류잡화
지갑 · 모자(틀:모자) · 허리띠벨트 · 넥타이 · 장갑 · 목도리 · 마스크 · 귀도리 · 손수건 · 안경
가방
배낭(백팩) · 크로스백 · 메신저백 · 슬링백 · 핸드백
액세서리
귀걸이 · 목걸이 · 팔찌
부자재
단추 · 지퍼 · 패드 · 벨크로 · 어깨뽕 · 니플밴드 · 리본 · 깔창
브랜드
SPA
SPAO · 에잇세컨즈 · 탑텐 · ZARA · H&M · COS · 유니클로 · GAP · 지오다노
기타
솔리드 옴므 · 우영미 · 폴로 랄프 로렌 · 빈폴 · 헤지스 · 컨템포러리 브랜드
쇼핑몰
온라인
무신사 · 룩핀 · 에이블리 · 힙합퍼 · 패션 by kakao · 브랜디 · 퀸잇 · W컨셉 · 소녀나라 · 무무즈 · 아보키
오프라인
재질
틀:섬유 · 섬유 · 다운(털) · 가죽 · 데님 · 코듀라 · 코듀로이
관리
세탁
빨래 · 드라이클리닝 · 웨트클리닝
기계
세탁기 · 의류건조기 · 의류관리기
수선
보풀제거기 · 바느질 · 다리미 · 다림질
용액
세제 · 섬유유연제
보관
옷장 · 옷걸이 · 행거
업소
세탁소 · 코인 세탁소
기타
패션·뷰티 관련 정보 · 옷차림 · 의류 수거함


1. 개요[편집]


동아시아의 전통의상
파일:external/pimage.design.co.kr/1237277023181.jpg
파일:external/pbs.twimg.com/Bu93ZAgCcAE80su.jpg
파일:external/thumbnail.image.rakuten.co.jp/315p1.jpg
한민족(대한민국, 북한)의 한복[1]
중국 한족한푸
일본기모노[2]
파일:275FBA4B5837131E10.png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86a3d8c2b2f0d2b8541e6d2b7c72eb21.jpg
파일:Ao dai.jpg
중국 만주족치파오[3]
몽골
베트남아오자이


말 그대로 전통이 담긴 들을 뜻하며, 간단하게 의미하자면 옛날 고유의 문화에서 입어와 현재까지 내려오는 고대의 옷들이다.

2. 특성[편집]


문화에 역사가 깃든 옷들이기 때문에 나라별로 시대별로 고유의 아름다움이 담겨져 있으며 당연히 문화 유산 중 하나이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변화함에 따라 멋의 기준은 달라지며, 의상은 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흔히 말하는 '촌스러움' 때문에 현대 일상 생활에서 전통 의상을 입는 경우는 세계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다만 그 정도에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서, 가령 한국의 한복은 일상적으로는 양장에 자리를 내주고 대부분 특별한 날에 입지만 아랍 몇몇 나라나 미얀마처럼 길거리에 보이는 사람 중 전통의상 입은 사람이 절반쯤은 되는 곳도 있다. 가장 큰 예외는 바로 자국의 전통의상을 전세계에 정장으로 정착시킨 영국.

대부분의 전통 의상은 날씨 및 노출을 금기시하며 신분적 상징을 중시하는 전통 윤리 도덕에 영향을 받았던 옛 시대의 특징 때문에 대부분 현대인의 복식보다 길고 넓으며 풍성하다. 허나 산업혁명 이후로는 인간들이 자연에 맞서서 냉난방이나 옷감의 개량 등으로 대응하기 시작하며 옷의 길이를 길게 늘일 필요가 없어졌고, 오히려 일하는데 방해가 된다는 인식에 의해 활동성을 중히 여기게 되면서 옷들은 점점 짧아져 갔다. 또한, 간편성 역시 중요시 되어 겹겹을 입는 대부분의 전통 의상은 귀찮다고 기피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대부분 20세기 이후로의 전통의상에 대한 인식은 촌스럽다, 귀찮다가 대세. 하지만 전통의상 역시 문화의 귀중한 한 부분인 까닭에 보존해야 함은 당연하며, 전통의상들은 나름의 고유적인 기품과 멋, 그리고 나라별의 역사가 담겨져 있다. 때문에 전통의상 매니아들이 많으며 역사 팬덤이 전통의상 매니아들을 겸하기도 한다. 그리고 전통의상도 디자인하기 나름이기에, 만들 때 신경을 쓰면 그다지 촌스럽지 않다. 오히려 세련되고 예쁘다. 2000년대 이전과 2010년 쯤에 나온 사극의 한복을 비교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시대별로도 전통의상은 많은 변화를 겪었는데, 세계적으로 현대인이 생각하는 전통의상은 근현대 서구화 직전의 형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한국의 경우는 구한말 ~ 일제강점기의 양식과 그것의 개량형이 전형적인 한복의 이미지로 인식된다. 그 이전 시대의 형태에 대해서는 인식이 거의 없는 편이고 아예 한복이 아니라고 생각해버리는 사태도 있다. 한국에선 고대 한복을 왜색이라는 헤프닝이나 통일신라시대 양식 한복을 입었다가 경복궁 한복 착용시 무료입장 제도 적용을 거부당한 사건이 있었고 중국에서도 중국의 전통의상이라고 하면 청나라 시대의 치파오를 주로 떠올리기 때문에 2006년엔 베이징대 역사학과 학생들이 명나라 이전 시기 양식 한푸를 복원해 홍보한답시고 한푸를 입고 시민들과 만났으나, 정작 시민들은 당시 대장금의 인기와 한류의 영향에 의한 한복의 인지도 상승 등으로 한푸를 한복 또는 대장금 옷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상당수였다고 하며, 2010년 청두에서는 한푸를 입고 돌아다니는 소녀를 보고 일본 기모노를 입고 다닌다고 착각하고 반일감정이 불타올라 옷을 강제로 벗겨 찢고 빼앗아 불태우는 사건도 있었다. 서양의 경우도 그리스이탈리아의 전통의상이 고대에 입던 토가라고 생각하는 외국인이 종종 있지만, 토가는 따로 토가 파티 할 때 입고 가릴 곳 다 가린 근대 시기 복식을 전통의상으로 보는 편이다.

20세기 이후로는 전통의상은 특별한 날(명절)에나 입는다는 의식이 강해졌다. 특히 이는 역사가 긴 동양권에서 부각된다. 그러나 전통적인 경우가 아니더라도 축제에 기모노를 입고 가는[4] 일본을 보건대, 명절 이외에도 전통의상의 대중화는 가능할 듯하다. 실용성은 둘째치고서라도.

세계적으로 대체로 서구화가 미진하여 전통문화가 많이 잔존하고 있는 개발도상국, 그 중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전통의상을 입는 경우가 훨씬 많은 편이다. 이슬람권처럼 강요하는 지역을 제외하더라도 한국이나 일본만 봐도... 여기서 얼마 안 되는 예외가 미얀마[5]다.

3. 나라 별 전통의상[편집]



3.1. 유라시아[편집]








3.1.1. 동아시아[편집]







3.1.2. 동남아시아[편집]




3.1.3. 남아시아[편집]




3.1.4. 서남아시아[편집]


  • 아랍 국가들
  • 이란
  • 이스라엘
    • 키파[7]

3.1.5. 유럽[편집]





파일:map-of-traditional-womens-clothing-of-european-countries.png
현대 유럽 각국 여성들의 민속의상 지도. 이들은 대개 중ㆍ근세 이후에 형성되어 현재까지 이어진 복식들이다.

중세부터 근현대까지의 의상을 기록해 놓은 자료들을 보면, 중세시대에는 대체로 프랑크 왕국고딕 양식을, 르네상스 시대에는 남유럽의 양식을 절대왕정 시대에는 프랑스의 양식을 따르다가 산업 혁명기 이후로는 영국에서 유래된 정장을 입는다.

  • 튜닉
  • 키톤[8]
  • 페플로스[9]
  • 클라미스
  • 양복[11]
  • 볼러
  • 카포테인(Capotain)[12]
  • 킬트
  • 우크라이나
  • 비쉬반카
  • 프랑스
  • 누빔(Quilted)
  • 베레모
  •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 레더호젠
  • 디른들(던들)
  • 네덜란드
  • 더치 보닛
  • 클롬펜(나막신)
  • 스페인
  • 투우복
  • 플라멩코 드레스
  • 스웨덴
  • 펄크드라크(folkdräkt)
  • 폴란드
  • 콘투쉬
  • 캅카스
  • 초하[13]
  • 파파카
  • 부르카[14]
  • 튀르키예
  • 페스
  • 터번[15]
  • 카프탄
  • 돌라만
  • 엔타리
  • 굄렉(gömlek)
  • 옐렉(yelek)
  • 샬바르(şalvar)
  • 쿠샥(kuşak)
  • 아제르바이잔
  • 베슈메트[16]

3.2. 아메리카[편집]



3.2.1. 중남미[편집]




3.2.2. 북미[편집]


  • 북미 원주민
    • Breechclout
    • 모카신
    • Warbonnet[17]
  • 미국
- 서부
- 동부

3.3. 아프리카[편집]



3.4. 북극[편집]




3.5. 오세아니아[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4:28:28에 나무위키 전통의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위 사진은 현대에 생긴 장식띠인 '말기대'를 착용했다.[2] 사진 속 여성이 입고 있는 기모노는, 미혼 여성의 예복인 후리소데이다.[3] 사실 치파오는 만주족의 전통의상이 아니라 이를 한족들이 개량한 것이다.[4] 정확히는 욕의에서 비롯된, 명주 등으로 만든 여름용 홑옷인 유카타이지만 기본적인 형태는 기모노와 같다.[5] 양곤의 다운타운 소핑몰에 가도 현지 남성들 10명중 5~6명은 치마 형태 론지를 입고 있다.[6] 일본 국내에서는 주로 和服(わふく, 와후쿠)라 칭한다.[7] 유대인들의 전통 모자.[8] Χιτών이라 쓰고 현대 그리스어로 히똔 가깝게 읽힌다. 남녀 공용 의상이 였지만 남자의 것은 보통 여자의 것보다 조금 짧았다. 아이오니아식 키톤과 도리스식 키톤 두 가지로 나뉘었다.[9] πέπλος. 여성들이 입는 복장이였다[10] 원어는 부됴납카에 가깝다.[11] 턱시도 제외. 여기는 미국에서 유래된 의상이다.[12] 16~17세기 영국, 네덜란드 등지에서 쓰던 모자로, 가이 포크스가 쓴 모자로 유명하며 실크햇의 조상쯤 된다.[13]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체르케스, 체첸 등 캅카스 민족들은 전부 입는 남성용 의상이며 각 민족마다 부르는 명칭이 다르나 조지아어 명칭인 '초하(ჩოხა, Chokha)'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카자크들이 이 의상을 받아들여 입으면서 러시아에서는 '체르케스카(Черкеска)'로 부르고 있다.[14] 펠트로 만든 캅카스 전통 망토로, 간혹 카라쿨 양의 양털로 만든 경우도 있으나 그 값은 비싸다고 한다.[15] 튀르키예뿐만 아니라 인도나 서아시아 지역의 전통 모자이다.[16] 아제르바이잔어로 "베쉬메트(Beşmet)"라고 하며, 아제르바이잔 이외에도 이웃한 캅카스 제민족들과 카자크, 몽골계 칼미크인 사이에서 널리 착용한 전통 겉옷이다.[17] 흔히 '인디언 추장 모자'라고 칭해지는 것으로, 원칙상 높으신 분들만 쓸 수 있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