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차대

덤프버전 :

분류


(てん(しゃ(だい
(zhuǎn(chē(tái
Turn Table

파일:NagoyaTD-tenshadai.png
JR 도카이 나고야 차량구의 전차대
1. 개요
2. 존재 이유
3. 사용 방법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철도에서 기관차 등의 철도차량의 방향을 바꾸는 장치이며 주로 대형 역이나 조차장, 차량사업소, 특히 라운드 하우스 형태의 차량기지와 함께 위치해있다. 턴테이블이라고도 한다.

김포 골드라인김포한강차량기지대한민국 최초로 전차대가 설치된 도시철도 차량기지이다.

드물게 버스에서도 사용된다.

2. 존재 이유[편집]


과거의 기관차들은 증기 기관차들이나 특대 기관차같이 앞과 뒤가 완전히 구분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종착역까지 간 후에 기관차의 방향을 바꾸어 주지 않으면 상당히 운행이 힘들었다.[1] 그래서 유럽 등지의 외국에서는 따로 객차 후미에 운전객차를 편성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북미 혹은 한국에서는 주로 전차대로 기관차의 방향을 바꿨다. 현재는 7600호대 디젤기관차같이 양방향 운전대를 가진 차량이 늘어나면서 필요성이 점점 줄고 있다. 또한 KTXDHC 새마을호 PP동차[2]처럼 양방향 모두 동력차가 있는 경우에는 전혀 필요가 없게 된다.

일반 객차의 경우엔 거의 필요가 없는데, 대부분의 객차는 처음부터 양방향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제작하기 때문이다. 좌석의 방향이 다를 경우 승무원들이 직접 좌석을 돌리거나, 별도의 전환 장치로 좌석을 돌린다.

드물지만 양방향 운전대를 가진 차량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바로 철차륜의 편마모 현상을 막기 위함이다. 철도차량은 움직이다 보면 자동차가 그러하듯이 바퀴가 닳기 마련인데, 같은 선로를 왕복하여도 선로의 상태, 구배, 휘어진 정도 등에 따라 한 쪽 바퀴가 반대쪽 바퀴보다 마모 정도가 더한 경우가 있으며 이를 편마모 현상이라고 한다. 차량의 누적 주행거리가 길어질 수록 편마모 현상이 심해질 수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해서 전차대나 루프선 등으로 바퀴 방향을 바꾸어서 양쪽 바퀴의 마모 정도를 비슷하게 만든다.[3][4] 편마모 현상은 고무차륜, 모노레일보다 철차륜이 심하다고 한다. 전동차의 전후교환 참조.

앞뒤에 운전실이 있는 기관차의 한쪽 운전실이 기기 고장 등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종착역에 도착한 후에 전차대에 넣고 돌려서 운행에 투입하기도 한다. 7600호대 디젤기관차는 자력 주행으로 전차대에 들어가서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다만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전차대 내부 선로에는 전기를 공급하는 전차선이 없기 때문에 디젤기관차와 달리 전기기관차는 자력으로 전차대에 들어갈 수 없으며 일단 팬터그래프를 내린 상태로 입환기관차와 연결하여 전차대에 밀어넣은 다음, 방향을 바꾼 다음에는 입환기관차로 견인하여 빼낸다. 독일 및 영국 등 해외에서는 전차선 혹은 제 3궤조가 전차대에 부설되어있는 경우도 있다.

비슷한 것으로 천차대가 있다. 이건 방향전환 기능은 없고 선로 전환 기능만 가지고 있다.

3. 사용 방법[편집]




위 동영상[5]처럼 전차대의 선로 위에 차량을 정차시킨 후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킨다.

한편 전차대가 없는 경우 방향 전환용 선로나 루프선을 가설하여 방향을 전환시키게 할 수도 있는데, 전차대에 비해 넓은 부지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전차대처럼 선로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은 없으므로 아무래도 효율성이 떨어진다. 한때 구 여수역이 저런 방식으로 기관차의 방향을 바꾸었다.

현재야 전기 모터로 움직이지만, 옛날엔 손으로 직원들이 직접 밀어야 했다. 일례로 오이가와 철도는 여전히 수동식 전차대를 쓰고 있다.#

파일:external/i282.photobucket.com/Wyeohwye_zps669835ce.jpg
위 사진[6]에서 기관차를 돌리려면 전진→후진→전진→후진→전진을 계속 반복해야 한다. 게다가 저게 끝이 아니라 중간중간에 철로 방향 변경 및 확인 시간도 있다. 반면 전차대의 경우 단지 전/후진으로 차량을 전차대에 올려놓고 작동시키면 끝. 또한 해당 사진보다 부지가 넓다면 아예 루프선을 설치하거나[7] 삼각선형태로도 만들 수 있지만[8] 그럴 공간이 안되기에 저런 번거로운 구조가 된 것. 자동차 운전면허시험의 방향전환(T) 코스와 유사하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3:37:52에 나무위키 전차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증기 기관차, 특히 텐더형 기관차들은 탄수차로 인해 시야 확보가 안 되어 후진이 굉장히 힘들었다. 멀리 갈 필요 없이 최근에 폐차된 7000호대만 봐도 후방시야확보가 불가능해서 후진 시 25km/h 제한이 걸렸다. 참고로 특대 기관차를 반대로 운행하는 경우를 장폐단이라 부른다.[2] 흔히 새마을호 하면 떠오르는 KTX를 닮은 차량으로, 현재는 전량 퇴역하였다.[3] 물론 자동차의 타이어 위치교환처럼 직접 바퀴를 떼서 다른 쪽에 갖다 붙이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철도차량은 자동차보다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반면 전차대를 사용해서 앞뒤를 바꾸는건 그것에 비하면 훨씬 간편하다.[4]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응암순환선을 탈 때마다 앞뒤가 저절로 바뀐다.[5] 동대구역 인근 대구차량사업소에 있는 전차대이다. 특히 대구차량사업소의 경우 인근 동구 효목동에 있는 경부선 철도육교로 가면 코앞에서 전차대를 볼 수 있는 포인트가 있다. 위 영상은 7315호 디젤기관차를 전차대에 세운 뒤 회전시키는 장면이다.[6] 이탈리아 사르데냐주 카르보니아(Carbonia)의 Carbonia Serbariu역 근처이다. (레테 페로비아리아 이탈리아나 소속 Villamassargia – Carbonia선)[7] 수색차량기지에 있다.[8] 한국의 경우 서울도시철도 용답역 용답차량기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