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용어 순화 운동

덤프버전 :

1. 개요
2. 상세
3. 사례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90년대 '낭만기' PC통신 시절에 PC통신상에서 일어났던 운동이다.

'전산용어 한글화 운동'이란 용어로 알려졌으나 '전산용어 순화 운동'으로 바꾸는 게 적절하다. 이에 대해선 한글화 문서를 참고 바란다.


2. 상세[편집]


당연하지만 컴퓨터가 외국에서 개발된 것이니 모든 용어가 외국의 말일 수밖에 없다. 이에 김중태 현 IT문화원 원장이 1990년대 초부터 PC통신상에 전산용어 순화 BBS인 '멋'을 설립한 것이 원류라고 한다.

한글 폰트의 제작과 배포를 시작으로 했는데, 이때 만들어진 폰트로 이야기새롬 데이타맨에서 쓰인 '둥근모꼴', 일간스포츠의 로고에 사용되었던 '중태세모꼴', 그리고 현재 지하철 및 버스의 LED 전광판에 쓰이는 폰트(둥근모꼴과 같은 서체) 역시 이 때 만들어졌다. 이외에 CD를 만들어 배포하는 등 꽤나 열성적으로 한국어 번역에 앞장섰고, 한때는 PC통신 전역에서 이 운동이 퍼져 한글 용어를 쓰는 게 대세가 되기도 했다. 마이컴을 위시하여 당시 발간된 컴퓨터 잡지에는 국산 OS(K-DOS), 국산 게임 등과 함께 당대의 핵심 화두로서 지면을 차지했다.

PC통신이 몰락한 현재로서는 이 운동이 이어지고 있지도 않고, 거기다가 인터넷이 등장한 뒤에 순화하기에는 난해한 용어들도 수도 없이 늘어남에 따라서 진행하기도 힘든 상황이다. 컴퓨터 발전이 워낙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터라 이 운동이 일어났던 과거엔 없었던 용어도 많다. 예를 들면 SSD, NVMe 같은 것들은 어떻게 순화할지 감을 잡기 어렵다.

특히나 기술 분야는 새로운 기술과 표현이 끊임없이 새로 생겨나고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어 번역할 겨를도 없거니와, 섣불리 특정 한글 단어와 대응시켜 놨다가 나중에 생겨난 다른 기술 용어와 의미가 겹쳐 낭패를 보는 일이 잦다. 이 경우 원어 발음식 표기, 초기 한국어 번역 용어, 수정 한국어 번역 용어(세력별)가 혼재되며 특정 용어가 어느 범위까지의 의미를 포함하는지까지 뒤섞이는 등 혼란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많은 최신 기술서적들은 책 서두에 영문 기술 용어와 역자가 사용한 '기준이 되는 번역 용어 대응표'를 넣고 시작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도 몇몇 단어(글꼴[1] 등)는 어느 정도 정착되어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특히 1990년대의 PC통신 세대들을 중심으로 여전히 쓰는 사람들이 간혹 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비교적 자주 보이고, 이들이 언어팩 번역에 기여하면 해당 용어가 들어간 배포판을 볼 수도 있다. 때문에 초심자가 해당 용어를 몰라 당황하는 경우도 있다. 한 예로 2018년 5월 WINE 한국어 번역에 누군가가 순화어를 집어넣은 사건이 있었으나, 발견 5개월 만에 되돌려졌다. #


3. 사례[편집]


굵은 글씨는 당시 어느 정도 널리 쓰였었거나 현재도 나름대로 잘 쓰이고 있는 번역 용어다. 이외에는 현대에 이르러 대부분 사어가 되었다. 일부는 다른 번역어를, 일부는 원래 용어(영어)를 사용하는 것이 정착하였다.

오픈소스 진영의 경우 순화어가 들어간 배포판이 있는 관계로 쓰이는 경우가 있으나 오픈소스에서만 벗어나면 쓰이는 경우가 없다. 당장 '글꼴'만 해도 Microsoft한글 Windows에 채용하면서 그나마 남아 있는 용어지, 나머지 단어들은 불 보듯 뻔하다. 게다가 상당수의 단어가 표현이 번잡하고 글자수가 늘어나 언어적 경제성이 저하되는 것도 문제였다. 한자어 부분은 기울임 표시, 실제 전산용어 순화운동과 무관한 번역어가 오해로 기재된 경우는 스트라이크(취소선)으로 표시한다.

원래 용어

한국어 번역
설명
컴퓨터

셈틀
이쪽은 사실 외래어다. 일부 정부조직 및 공공기관에서는 '전산장비'로 퉁쳐서 쓰기도 한다. 다만 이쪽은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복합기 등 주변기기까지 포함한 광의의 단어이다.
BBS

벼락쪽
오늘날에는 "게시판"으로 정착되었다.
데이터

자료
서로 분리되어 쓰인다. 통계 등의 양적 자료나 전산 자료는 데이터, 질적 자료는 자료로 부르는 경향이 강하다.
다운로드

(내려)받기
현재는 '내려'를 생략하고 그냥 '받기'만 쓰는 경우가 많다. 아니면 섞어서 '다운받기'를 쓰거나.
ROM

기억장치
'비휘발성 기억장치'도 좋겠지만 비휘발성 기억장치가 상당히 많아서(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옵테인 메모리 등) 원문에 가까운 '읽기 전용 기억장치'가 더 적절하다.
RAM

기억장치

마더보드/메인보드

어미기판/으뜸
전자 업계에서는 '메인보드'를 한자어로 직역해서 '주기판'이라는 용어도 많이 쓴다. 애초에 '기판'이라는 단어는 꽤 오래된 번역어로 일본에서 circuit board를 '回路基板'이라고 번역했던 것을 '基板'으로 줄여 쓴 것에서 온 일본식 한자어가 그대로 수입되어 쓰이고 있는 것이다.
마우스

다람쥐

모뎀

셈틀 전화기
그런데 이의 직역은 'computer phone'이다. 그리고 이 정의에 부합하는 기기가 나오면서 더더욱 쓸 이유가 없어졌다. 원문의 의미를 살린다면 '신호 변환기'에 가깝다.
밸류(Value)


프로그램이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하는 데이터. 예를 들어 1+2=3에서 1과 2는 프로그램이 처리해야 할 값이다. 전산용어 순화운동과는 무관하게 value의 번역어로 8비트 시절부터 잘 쓰였다.
버그

벌레
사실 '버그'라는 단어의 원래 유래를 생각해보면 이것도 틀린 말은 아니지만, '벌레'보다 \'오류'라는 말이 더 사용된다.
버전 x.y

x째 y째마당

버전 업그레이드

올림

부팅

첫띄움
정작 2000년대 중반까지 한글버전 윈도우(XP SP1까지)나 macOS(2021년 현재도 사용), 리눅스(배포판마다 다름, 우분투와 데비안은 2010년대 중반 즈음에 부팅으로 변경됨.) 모두 "시동" 으로 순화하는 경우가 많았다. 리부팅(재부팅)은 재시동으로 표기하였다.
서버

일꾼
server의 원래 의미에서 착안한 듯한 순화어이지만 사용례는 거의 전무하다. 비슷하게 중국어에서는 복무기(服务器), 문화어에서는 '봉사기'라는 용어를 쓴다.
소프트웨어

무른모
2000년대까지 교과서와 언론사에서 사용했다.
스페이스바

사이띄개
타자기 시절부터 있던 꽤 오래된 용어를 받아들였다. 한컴타자연습 97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다.
시삽

으뜸지기
'시삽(sysop)'은 '시스템 오퍼레이터(system operator)'의 줄임말로, 특정 그룹의 운영자를 뜻하는 용어였다. 인터넷 초창기에도 시삽이라는 용어가 쓰이다 오늘날에는 운영자, 관리자 등의 용어로 대체되었다.
어레이

배열
학사 과정에서 이 표현으로 강제 교정받는다. 엄밀히 말하면 전산용어 순화운동의 결과물은 아니며, array를 일본에서 配列로 번역한 것을 8비트 시절에 그대로 들여온 용어가 정착된 것이다.
업로드

올리기
게시, 등록, 저장 등의 용어도 같이 쓰인다.
엔터 키

큰글쇠
정작 엔터 키보다는 스페이스 바가 더 크다.
종종 "입력 키" 같은 표현도 쓰인다. 더 과거에는 "입력글쇠" 같은 표현도 사용되었으나 그 당시에도 마이너한 표현이었다.
인스톨

심기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고 '설치'와 '깔기' 같은 말이 일반적으로 쓰인다.
캡처

갈무리
PC 통신 시절에 널리 대중화된 용어이나 현재에 와서는 '정리해 모아두다'의 의미로 쓰임이 달라지거나 자주 쓰이는 일이 없다. 이 표현이 널리 쓰이던 당시도 보통 게시판에서 글을 긁어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걸 '갈무리'라고 했고 그림은 그냥 저장했다는 식으로 표현했다. 즉, '스크랩'에 더 가깝다. 영어 캡처는 근래는 스크린샷의 유사어로 변질되었다.
커서

반디
마우스 커서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DOS 같은 CUI 화면에서 문자 입력 위치에서 깜박거리는 커서를 의미하는 말이다. 이 용어가 나온 시점은 마우스가 컴퓨터의 필수 입력장치가 아니었다.
클라이언트

고객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많이 쓰인다.


글쇠
한컴타자연습에서 \'글쇠연습'이라는 이름으로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다.
키보드

(글쇠, 자판)
'자판'은 타자기 시절부터 널리 쓰였던 번역어이다. 다른 한자 전산용어와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왔으려니 생각하기 쉽지만 일본에서는 그대로 キーボード라고 음역해서 쓰며 字板을 keyboard의 번역어로 사용하지 않는다.
타입

형(形)
전산 이외 산업분야에서는 일반적인 번역어이며 이 또한 '배열(array)'과 마찬가지로 학사 과정에서 강제로 교정받는다. '데이터 타입(data type) → 자료형' 같은 식으로. 배열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type의 번역어로 사용한 '카타'(型)가 그대로 들어온 것이다.
패스워드

열쇠말
'열쇠말' 대신 '패스워드'와 비밀번호(비번), 암호가 혼용된다.
패킷

보쌈

폰트

글꼴, 서체
Microsoft한글 Windows에 채용하면서 글꼴이라는 용어가 보편화되었다. 서체는 사실 '글꼴'(=font)과 동일한 개념은 아니며 원래는 인쇄 및 디자인 업계 용어로 font가 아니라 typeface의 번역어이다.
프로그램

풀그림

하드웨어

굳은모

허큘리스

천하장사
다른 용어들과 달리 고유명사를 억지로 순화한 것이라 당시에도 논란이 있었다. 게다가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헤라클레스가 아닌 제조사의 소재지였던 캘리포니아주 허큘리스 시티에서 온 이름이라서 '천하장사'는 훌륭한(?) 오역.
패키지

꾸러미
2010년대 초반까지 데비안 등에서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 등으로 사용했다. 이후 번역자가 바뀌면서 패키지로 바뀌었고, 현재는 패키지를 꾸러미로 쓰는 사람이나 배포판이 Arch의 pacman 및 파생형 등 거의 없는 상황.


4. 기타[편집]


한국어로 번역된 일부 컴퓨터 책은 이것이 여러 의미로 폭넓게 적용되어 있어서 전용 사전을 참고하면서 읽지 않으면 책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분명 나는 한국어를 보고 있는데 이해를 못 하겠어'란 좌절감을 안겨주기도 한다. 예를 들면 인터넷 통신의 이론과 구현에 관한 바이블인 TCP/IP Illustrated 나, POSIX 입문서인 Advanced Programming in the UNIX Environment 등 지금도 교재로 사용하기에 손색이 없는 명저들이 초기 번역에서는 도저히 알아들을 수 없는 억지 순화로 도배되어 그 당시 수 많은 학생들은 눈물을 머금고 원서를 봐야 했다. 덕분에 원서 읽는데에 자신감이 길러진건 덤... 문제의 책 중 일부는 재판을 다른 번역가가 번역하면서 용어가 좀 더 정상적으로 바뀌었다.

이상이 보통 1990년대의 민간기업이나 동아리 차원에서 한국어로 번역한 단어라면, 2000년대 이후에는 국립국어원KBS, 동아일보가 주축이 되어 만들어낸 단어도 적지 않다. 예로서, '댓글(코멘트)', '누리꾼(네티즌)', '누리집(홈페이지)' 같은 단어가 여기에 해당한다. 다만 몇몇 참여자들의 인터넷 투표만으로 일방적으로 번역 단어를 결정하는 게 타당한지 논란이 있다. 그나마 이 중 댓글은 상당히 많이 정착된 상황이지만, 누리꾼과 누리집은 일부 언론사나 소수 활동가 사이트에서만 쓰이고 있을 뿐이며 일상적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썩 효과적이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사실 이런 개념이나 용어들은 대중적 수준에선 분야를 막론하고 결국 사용하기 편리하고 직관적인 표현들이 받아들여지게 마련이라 의도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되는 게 아닌 경우가 많다. 그렇기에 역으로 '(프로그램을) 깐다'[2]거나 '(자료를) 받는다 (또는 올린다)[3]' 또는 '비번'[4]을 넣는다는 식으로 그냥 둬도 일반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현지화하는 경우도 흔하며 오히려 이게 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0:22:21에 나무위키 전산용어 순화 운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건 한국어 윈도우에서 이 용어를 정식 채용하면서 정착에 성공한 사례이다.[2] 인스톨 또는 셋업.[3] 다운(로드) 와 업로드.[4] 패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