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우산시

덤프버전 :


파일:중국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지급행정구
지급시 11
현급행정구
시할구 37, 현급시 20, 32, 자치현 1
항저우시

성도
杭州市
상청구
上城区
첸탕구
钱塘区
궁수구
拱墅区
시후구
西湖区
빈장구
滨江区
샤오산구
萧山区
위항구
余杭区
린핑구
临平区
푸양구
富阳区
린안구
临安区
젠더시
建德市
桐庐县
淳安县

닝보시
宁波市
하이수구
海曙区
江北区
北仑区
镇海区
鄞州区
奉化区
위야오시
余姚市
츠시시
慈溪市
象山县
宁海县

원저우시
温州市
루청구
鹿城区
龙湾区
어우하이구
瓯海区
洞头区
루이안시
瑞安市
웨칭시
乐清市
룽강시
龙港市
永嘉县
平阳县
苍南县
文成县
泰顺县

사오싱시
绍兴市
웨청구
越城区
柯桥区
上虞区
주지시
诸暨市
성저우시
嵊州市
新昌县

자싱시
嘉兴市
난후구
南湖区
秀洲区
하이닝시
海宁市
핑후시
平湖市
퉁샹시
桐乡市
嘉善县
海盐县

타이저우시
台州市
자오장구
椒江区
黄岩区
路桥区
원링시
温岭市
린하이시
临海市
위환시
玉环市
三门县
天台县
仙居县

진화시
金华市
우청구
婺城区
진둥구
金东区
이우시
义乌市
융캉시
永康市
둥양시
东阳市
란시시
兰溪市
우이현
武义县
푸장현
浦江县
판안현
磐安县

후저우시
湖州市
우싱구
吴兴区
南浔区
德清县
长兴县
안지현
安吉县

취저우시
衢州市
커청구
柯城区
衢江区
장산시
江山市
常山县
开化县
龙游县

리수이시
丽水市
롄두구
莲都区
룽취안시
龙泉市
青田县
缙云县
遂昌县
松阳县
云和县
庆元县
景宁畲族自治县

저우산시
舟山市
딩하이구
定海区
普陀区
岱山县
嵊泗县

|
부지급시

색인:
{{{-2
둥베이
화중
화난
기타




파일:중국 관음.png
랜드마크인 푸퉈산 (보타산) 해수관음상
파일:저우산 중국 1.jpg
파일:저우산 중국.jpg
중국 4대 불교 성지 중 하나인 푸퉈산의 보탑강사 (宝陀讲寺) & 불긍거관음원 옆의 신라초 (新羅礁)
파일:중국 저우산 3.jpg
본섬 딩하이구의 시가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 저장성의 지급시
舟山(Zhōushān(Shì | 舟山(Tseuse(T1)(Zr(T3)
저우산시 | Zhoushan City





시정부 소재지
저장성 저우산시 딩하이구
하이톈다다오681호
浙江省舟山市定海区海天大道681号
지역
화둥
면적
1,378km²
하위 행정구역
2구 2현
시간대
UTC+8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1,157,817명 (2020)
인구밀도
840명/km²
민족 구성
한족 98.98% | 묘족 0.28%
토가족 0.26% | 회족 0.10%
HDI
0.795(2016)
서기
허중웨이(何中伟)
시장
쉬런뱌오(徐仁标)
GRDP
전체
$237억 8,825만 (2020)
1인당
$20,545 (2020)
상징
시화
수선화
시목
참식나무
차량번호
浙L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
330900
지역전화번호
0580
우편번호
312000
ISO 3166-2
CN-ZJ-09

홈페이지
1. 개요
2. 역사
2.1. 외세의 침탈 (아편전쟁)
2.2. 현대
3. 군사
4. 갤러리
5. 교통



1. 개요[편집]


중국 저장성 동부의 지급시. 상하이에서 동남쪽으로 120km, 닝보에서 동쪽으로 50km 떨어진 저우산 (주산) 열도에 위치한다. 관할 인구 115만명 중 주섬이자 도심인 저우산섬 (舟山岛)[1]에 80만이 거주한다. 중국에서 섬 만으로 이루어진 유일한 지급시이다. 양산심수항 일대는 수심이 깊고 해안선이 복잡하여 배를 정박하기에 좋다.

따라서 고대부터 항저우를 중심으로 한 첸탕강 하구 지역의 무역 거점이었다. 특히 산둥 반도와 함께 한반도와의 교역이 활발했기에 신라초와 신라촌 등의 흔적이 있다. 현재도 한국의 인천광역시와 자매도시이며, 푸퉈구는 강화군곡성군과 우호 교류 협정을 맺었다. 중국 최대의 어업 도시이고, 조선업 역시 발달하였다. 2006년에 닝보항과 합쳐진 닝보-저우산항 (寧波舟山港)은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컨테이너 항이다. 신라인 상인이 봉안한 보타산 (푸퉈산) 불긍거관음원과 남해관음상 (南海觀音像), 해양박물관 등이 주요 관광지이다.

2. 역사[편집]


파일:보계사 중국 1.png
916년에 창건된 관음 사찰 보제사 (普济禅寺)

고대에는 닝보 (영파)에서 바다와 합류하는 용강 (甬江) 하구 동쪽에 있다 하여 용동 (甬東), 혹은 바다 한 가운데에 있다 하여 해중주 (海中洲)라 불렸다. 진한 대에부터는 닝보에 설치된 회계군 구장현 (句章縣)에 속하였다. 동진 시기 손은의 반란 시에 그 거점 중 하나였다. 당나라 대인 738년에 처음으로 경내 옹산에서 비롯된 옹산현 (翁山縣)을 설치하였다. 명주 (明州)에 속하였고, 5리의 성벽이 세워졌다. 다만 771년 보승 (寶勝) 연호와 함께 칭제한 원조 (袁晁)의 반란으로 폐현되었고, 다시 구장현 관할이 되었다. 당대에 주산 군도는 관음 신앙의 중심이 되었고, 출항을 앞둔 선원들이 항해의 안전을 기원하였다. 9세기 중반 일본 임제종의 창시자인 승려 혜악 (慧鍔)이 신라초에서 배가 걸리자 관음 보살께 기도를 올려 구조되었다는 설화가 있다.

송나라 시기 해상 실크로드가 활성화되며 거점으로써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왕안석의 건의로 재차 현을 두며 '국가를 번창하게 한다'는 뜻인 창국현 (昌國縣)이라 명명하였다. 이를 기념하여 류황도 (六橫島) 태평묘에는 왕안석 조각상이 있다. 1123년 고려를 방문한 송나라 사신 서긍 역시 주산 군도를 거쳐 한반도로 향하였다. 원대인 1278년에는 원나라의 일본 원정의 준비를 위해 조선소가 설치되며 창국주 (昌國州)로 승격되었다. 2년 후 현으로 돌아갔으나 1290년 재차 창국주가 되었다. 1319년 원 조정의 허가 하에 강소 지방을 유람한 고려 충선왕이제현을 대동하고 이곳의 보타산을 찾아 글을 지었다. 이때 중국의 화공 진감여 (陳鑑如)가 그린 이제현의 초상은 국보 110호이다.

명나라 수립 후 1369년 다시 창국현으로 격하되었고 1379년 성벽을 복구하였다. 다만 1386년 왜구에 대응한 해금정책의 일환으로 현이 폐지되어 일창국향 (一昌國鄉)으로 격하되어 영파의 정해현 (定海縣)에 속했다. 1387년에는 공도정책으로 섬 주민들을 내륙으로 소개시켰다. 빈 섬은 절강 상인들과 포르투갈 인들의 상관이 세워졌다. 그러던 1548년 절강순무 주환 (朱紈)이 병력을 파견해 불도섬 (佛渡岛) 상서항 (双屿港)의 포르투갈 성채를 공격하였다. 명나라 군대가 돌과 나무로 항구를 막고 성을 불태우자 수백의 포르투갈 인들은 모두 죽거나 해상 도피하였다. 1554년 왜구가 성을 점령하고 약탈하며 재차 쇠퇴하였다. 1651년 청나라 군대가 섬을 점령, 성벽을 허물었다.

파일:강희제 중국 글자.jpg
강희제의 친필인 정해산 현판

청대에도 이어지던 해금 정책은 1683년 강희제동녕 왕국을 멸하고 대만을 정복한 후 풀렸다. 이로써 주산 군도의 인구는 증가하였고, 1687년 6월 재차 현이 설치되었다. 청조는 본래 영파에 있던 정해현 (定海縣)이라 명명하였고, 기존 정해현은 전해현으로 개칭되었다. 18세기 들어 영국이 홍모관 (紅毛館)이란 상관을 세워 무역 거점으로 삼기도 하였다. 다만 1760년 청조가 모든 대외 무역을 광저우의 공행으로 일원화시키자 철수하였고, 그후 청나라의 군사 기지가 되었다. 1793년 매카트니 사절단의 요구 사항 중 하나는 저우산의 요새화되지 않은 섬에 유럽인의 왕래와 거주, 정박, 창고 설립을 허가해달라는 것이었다. 홍콩이 한적한 어촌일 무렵 저우산은 이미 16세기부터 열강들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2.1. 외세의 침탈 (아편전쟁)[편집]


파일:아편전쟁 중국.jpg
1841년 제1차 아편전쟁 당시 영국군에게 점령당한 저우산

요구가 거절됨으로써 촉발된 1840-42년 제1차 아편전쟁 시에는 포격전 끝에 영국군이 청나라 측의 포대를 파괴하고 정해현을 두 차례 점령, 아문관 (衙門管)을 두어 다스렸다. 난징 조약에 따라 영국군은 1846년 'Chusan'으로 일컫던 정해현에서 철수하였다. 영국 정부는 이미 중요한 항구였던 저우산을 두고 '집 한채 없는 황량한 섬'인 홍콩을 할양받은 것에 격분했다. 그후 청조는 정해직예청 (定海直隸厅)을 설치하여 해안 수비를 강화하였고, 흠차대신 유겸 (裕謙)의 주청에 따라 정해도두 (定海道頭)라 불리는 토성을 쌓고 포대를 설치하였다. 그럼에도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당시 영국군에게 다시 점령당하였다. 1862년 2월에는 태평천국의 장수 왕의균이 섬을 점령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전사하였다. 1911년 신해혁명군이 섬을 장악, 현으로 복귀하였다. 중일전쟁 당시 일대는 일본군에게 우선적으로 점령되었다.

2.2. 현대[편집]


파일:저우산 중국 2.jpg
1963년의 저우산 항구

1942년 10월 영국인 포로를 운반하던 일본 선박 리스본 마루를 미국 잠수함 (USS Grouper)이 어뢰로 공격하여 저우산 군도의 동부인 칭방 섬(青浜岛)에서 격침시켰다. 승선 인원 대부분이 익사하였고, 주변 어부들이 384명의 영국인 포로를 구출하였다. 중화민국기인 1946년 북쪽의 성쓰 열도(嵊泗列岛)가 따로 장쑤성의 열도직할구로 분리되었고, 1949년 현이 되었다. 같은해 딩하이현에서 웡저우현(翁洲县)이 분리되었다. 한편 난징 함락 이후에도 저우산 군도는 해상권을 유지하던 국민당의 수중에 있었다. 대륙 회복의 주요 거점으로써 저우산 군도를 고평가한 장제스는 1949년 10월 친히 방문하여 주둔군을 9만으로 증강하고 주산도를 방어할 거점으로써 덩부도를 요새화하였다. 한달 후 닝보의 인민해방군이 덩부도에 상륙했지만 격퇴되었다.

파일:중국 저우산.jpg
현대 저우산 시가지

1949년 가을 저우산 공군 기지가 완공되자 국민당 군은 이를 기반으로 난징, 항저우, 상하이 일대를 폭격했는데 특히 상하이의 산업 시설이 큰 피해를 입었다. 다만 쓰촨하이난 상실 등 대륙 회복의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장제스는 대만 우선 정책의 일환으로 1950년 4월 주둔군 철수를 지시하였다. 5월 13일부터 16일까지 국민당 군은 야밤을 틈타 섬을 떠나 대만으로 향하였다. 5월 17일 인민해방군은 눈의 가시와 같던 저우산 군도를 접수하였다. 이후 닝보시에 소속되었던 군도는 1953년 저우산 전구로 편성되었다. 1960년 닝보에 이어 상하이의 관할에 놓였지만 1962년 다시 전구가 되었고, 1967년 지구로 편성되었다. 1987년 지급시로 승격되었고, 개혁개방의 일환으로 개방 도시가 되었다. 이듬해에는 경제 특구로 지정되어 발전하였다.

3. 군사[편집]


동해함대 사령부가 있는 닝보에서 가까운 섬인 관계로 구축함 3지대와 6지대를 포함한 동부전구해군의 주력부대가 저우산시에서 주둔한다.

4. 갤러리[편집]


파일:보계사 중국.jpg

파일:중국 보계사.jpg

파일:중국 보계사 2.jpg

파일:중국 보계사 1.jpg
중국 푸지사 (보제신사 普济禅寺)

파일:저우산 중국 4.jpg
보탑강사 전경

파일:관음 중국.jpg
해수관음상

5. 교통[편집]


철도는 상하이 동남쪽 저장(浙江)성 닝보(寧波)에서 저우산(舟山)을 잇는 고속철도 전용 철도 구간에 중국 최초로 고속철용 해저터널건설할 예정으로 2019년에 착공을 시작해 2025년에 완공될 예정이다. 또한 도로-철도를 합친 병렬교량을 건설할 예정이며 2023년 7월 충칭-닝보·저우산 정기화물열차가 개통되었다.

또한, 경전철노선도 구축할 예정이다.

도로는 2009년 12월 25일부터 닝보시와 여러 과해교량으로 구성된 G9211 융저우고속공로(甬舟高速公路)로 이어져 있으며#, 양산심수항이 있는 셩쓰현 양산진의 치취열도(崎岖列岛)지역은 상하이시 푸둥신구둥하이 대교로 연결된 상태다.

공항은 다리로 연결된 동남쪽의 주쟈졘도에 저우산 공항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8:05:53에 나무위키 저우산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국에서 3번째로 큰 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