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장면

최근 편집일시 :



파일:external/www.51dayaji.com/%E7%82%B8%E9%85%B1%E9%9D%A2%E7%9A%84%E5%AE%B6%E5%B8%B8%E5%81%9A%E6%B3%95.jpg
파일:external/www.qilibali.com/12dad2be504beb1.jpg
일반적인 작장면
북경[1]
炸醬麵, 炸酱面

1. 개요
2. 상세
3. 여담
4. 바리에이션
5. 관련문서


1. 개요[편집]


면장에 간을 하여 볶은 뒤 밀면 위에 얹어먹는 면류 요리다. 짜장면마장면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2. 상세[편집]


중국어로는 짜지앙미엔(zhájiàngmiàn)이고, 이것이 약간의 변형을 거쳐 한국에서 '짜장면'이라 불리기 시작했다.[2] 즉, 현재 중국에서 자장몐은 이름 그대로 장(醬)을 볶아서(炸) 면(麵) 위에 얹은 요리를 통칭한다. 기름기가 적어 한국 짜장면처럼 먹기 전에 거나하게 비비진 않고[3] 젓가락으로 적당히 슬슬 섞어 먹는 편. 지역별로 볶아 얹은 장도 다양하고 고명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름 앞에 지역명을 붙여서 따로 구분한다.[4]

우리나라에서는 산동 반도에서 주로 먹는 을 주재료로 하는 황갈색 중국식 면장을 사용한 작장면이 짜장면의 원조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이것이 한국으로 들어온 뒤 짜장면으로 변형된 것이지만, 사실 북경식 작장면이 원조이고 훨씬 더 유명하다. 북경식 작장면은 7가지 정도의 채소 고명과 짠 장을 면 위에 올려 먹는 요리이다. 보통 위의 사진처럼 면 주위에 재료 접시가 있어 취식자가 재료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간단하게 오이 정도만 올려놓고 먹기도 한다. 중국 요리에서 보기 어려운 볶거나 찌지 않은 생채소가 들어가는 요리이기도 하다. 고명은 각각 다른 접시에 차려나와 식탁에서 면 그릇에 후다닥 던지듯 얹어 서빙한다.

일설에 따르면, 진시황이 국수 요리사를 불러다가 요리를 시켰는데, 긴장한 요리사가 무의식적으로 장을 볶아버렸다. 딱히 필요가 없는 단계였는데 이게 뻘짓임을 진시황이 알면 자기 목이 날아갈 것이기에, 그냥 아예 신메뉴라 소개했다는 것이 유래라고 한다.

한국식 짜장면에 비하면 단맛과 물기가 적고 짠 맛이 있다. 질감만 따지면 카레라이스와 드라이카레의 차이 정도라고 해야 할까? 사용하는 장도 대량생산화되면서 미묘하게 달라졌다.[5] 한국에서 원조 작장면을 먹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으로는 울진의 해주작장면이 있었다. 북경식으로 서빙됐으며 맛은 매콤하게 조금 어레인지가 되어 있다고 설명하던 가게였는데, 2017년 문을 닫았고 현재는 안산 원곡동 등지 국내 중국인 밀집지역에서 판매중이니 근처라면 발품을 팔아봄직 하다. 홍콩 요리 체인점인 '크리스탈 제이드'에서 '상해식 짜장면'이라는 메뉴를 주문하면 산동식 작장면과 비스무레한 음식을 맛볼 수 있는데, 본토와 비슷하긴 하지만 단맛이 좀 더 가미되어 있다.

이렇게 맛에 있어서 원조 작장면과 한국식 짜장면의 방향성이 꽤 다르기 때문에 중국 본토에서 짭잘한 작장면을 즐겨먹는 사람들은 한국의 짜장면을 먹을 때 너무 달고 기름진 맛이 난다며 불호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사실 작장면의 변형인 짜장면이 한국에서 매우 대중적인 음식으로 자리잡은 것과 다르게, 중국 본토에서 작장면은 그다지 흔하게 먹는 음식은 아니다. 지역으로 봐도 중국 내에서 작장면을 많이 먹는 곳은 베이징, 허베이성, 산둥성 등 북방 지역이며, 인스턴트 제품으로 팔기도 하나 밀보다는 쌀이 주로 재배되어 쌀국수를 즐겨 먹는 남방 지역에서는 즐겨먹는 음식은 아니다. 이러한 연유로 아예 작장면의 존재 자체를 모르는 중국인들도 많다.

일본에서는 자자멘(ジャージャー麺)이라는 이름으로 현지화되었으며, 모리오카 지방의 명물로 자리잡았다. 일본의 중화요리집을 가보면 드물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3. 여담[편집]


  • 인스턴트 라면 버전도 있다. 대만의 웨이리(維力)에서 생산하는 제품이 있다. 한국에서는 삐에로쇼핑에서 팔기도 했으나 적자로 인해 지금은 삐에로쇼핑 자체가 영업을 중단했다.

  • 한국의 짜장면은 북경식 작장면에서 유래된 것이라기보단 산동에서 바로 들어온 것으로 보는 것이 좀 더 합리적일 것이다. 왜냐하면 한국 화교의 대부분은 산둥성 출신이며 한국식 중화 요리의 대부분도 그 기원이 산둥성이기 때문.

4. 바리에이션[편집]




5. 관련문서[편집]


[1] 물론 북경에서도 북경식이 아닌 일반적인 작장면을 볼 수 있다.[2] 본래 국립국어원은 작장면을 외래어 표기법 대로 적으면 '자장몐'이기에 짜장면이 아니라 자장면이 맞다고 주장했다. 다만 '짜장면'이라는 표기가 일상적으로 훨씬 많이 사용되기에 지금은 짜장면도 표준어로 인정하고 있다. 짜장면/표기법 논쟁 참조.[3] 사실 세계적으로는 한식처럼 밥이나 국수를 소스에 '비벼서' 먹는 요리가 생각보다 드물다.[4] 다른 이름이 있는 건 아니고 북경식, 복건식, 사천식 등을 앞에 붙여서 구분. 사천식 작장면은 그릇 바닥에 고추기름을 깔아둔다.[5] 검은콩을 주재료로 하여 파를 넣어 발효시키는 '총장'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 총장이 오늘날 우리가 이야기하는 춘장의 원류라고 생각된다. '춘장'이라는 이름의 기원도 총장으로 보는 것이 옳다는 전문가(주영하 교수)의 의견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짜장면/역사 문서의 r5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짜장면/역사 문서의 r5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1:12:17에 나무위키 작장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