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퍼텐셜

덤프버전 :


전자기학
Electromagnetism

[ 펼치기 · 접기 ]
기초 개념
관련 수학 이론
[math(\boldsymbol{\nabla})] · 디랙 델타 함수 · 연속방정식 · 분리 벡터
전기 · 자기
개념
전자기력 · 전자기 유도(패러데이 법칙) · 맥스웰 방정식 · 전자기파 · 포인팅 벡터 · 전자기학의 경계치 문제 · 전자기파 방사
정전기학
전하 · 전기장 · 전기 변위장 · 전기 퍼텐셜 · 가우스 법칙 · 전기 쌍극자 모멘트 · 유전율 · 대전현상 · 정전용량 · 시정수 · 정전기 방전
정자기학
자성 · 자기장 · 자기장 세기 · 자기 퍼텐셜 · 자기 쌍극자 모멘트 · 로런츠 힘 · 홀 효과 · 비오-사바르 법칙 · 앙페르 법칙 · 투자율
구현체
자석(전자석) · 발전기 · 전동기
회로이론 · 전자회로
개념
회로 기호도 · 전류 · 전압 · 전기 저항(비저항 · 전기 전도도) · 전력(전력량) · 직류 · 교류 · 키르히호프의 법칙 · 중첩의 원리 · 삼상
소자
수동소자: 직류회로(휘트스톤 브릿지) · RLC회로(커패시터 · 인덕터 · 레지스터), 변압기
능동소자: 전원 ·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 · 연산 증폭기
응용 및 심화개념
관련 학문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응집물질물리학 · 고체물리학 · 전자공학 · 전기공학 · 제어공학 · 물리화학 · 광학 · 컴퓨터 과학(컴퓨터 공학)
토픽
이론
광자 · 게이지 장(역장 · 장이론) · 물질파(광전효과) · 다중극 전개 · 맥스웰 변형 텐서 · 방사선 · 반도체 · 전기음성도 · 와전류 · 방전 · 자극 · 표피효과 · 동축 케이블
음향
앰프(파워앰프 · 프리앰프 · 인티앰프 · 진공관 앰프) · 데시벨 · 네퍼

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 · 복사 · 전도(전도체 · 열전 효과) · 초전도체 · 네른스트 식
광학
굴절(굴절률 · 페르마의 원리) · 스넬의 법칙 · 산란 · 회절 · 전반사 · 수차(색수차) · 편광 · 분광학 · 스펙트럼 · 렌즈(얇은 렌즈 방정식) · 프리즘 · 거울(구면 거울 방정식) · (색의 종류 · RGB)
전산
논리 연산 · 논리 회로 · 오토마타(프로그래밍 언어) · 임베디드 · 컴퓨터 그래픽스(랜더링) · 폴리곤 · 헥스코드
생물
생체신호(생체전기 · BCI) · 신경계(막전위 · 활동전위 · 능동수송) · 신호전달 · 자극(생리학)(베버의 법칙 · 역치)
관련 문서
물리학 관련 정보 · 틀:전기전자공학 · 전기·전자 관련 정보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틀:컴퓨터공학
}}}


1. 개요
2. 자기 벡터 퍼텐셜
2.1. 유일성 여부
2.2. 방정식
2.3. 자기 선속과의 관계
2.4. 경계 조건
2.5. 자기 쌍극자의 자기 벡터 퍼텐셜
3. 자기 스칼라 퍼텐셜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magnetic potential

전기장에서 퍼텐셜을 도입하였듯, 비슷하게 자기장에서도 퍼텐셜을 도입한 것이다.

이 문서에서는 정자기학 조건에서의 자기 퍼텐셜을 다루며, 정자기학에서 자기 퍼텐셜을 언급하면 거의 "자기 벡터 퍼텐셜"을 말하며, 그 외에도 특정한 조건에서 정의되는 "자기 스칼라 퍼텐셜" 두 가지가 있다.


2. 자기 벡터 퍼텐셜[편집]


자기장은 일반적으로 발산이 0인 비발산장이다. 즉,

[math(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bf B} = 0 )]

이다. 이때, 자기장은 어떤 벡터의 회전이라 가정할 수 있다. 그 벡터를 [math(\bf A)]라 하면

[math( {\bf B} = \boldsymbol{\nabla} \times {\bf A} )]

이며, 이것을 처음 식의 발산 연산에 대입하면 이것 또한 0인 것에서 그 타당성을 생각해볼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나온 벡터 [math(\bf A)]를 "자기 벡터 퍼텐셜"이라 하며, 줄여서 "벡터 퍼텐셜"이라 하기도 한다.


2.1. 유일성 여부[편집]


벡터 퍼텐셜 [math(\bf A)]에 어떤 스칼라 [math(\Lambda)]의 그래디언트를 더한 새로운 벡터 퍼텐셜 [math(\bf A')]을 가정하자.

[math( {\bf A'} \equiv {\bf A} +\boldsymbol{\nabla} \Lambda )]

이때, 양변에 회전 연산을 취하면 다음 결과를 얻는다.

[math( \boldsymbol{\nabla} \times {\bf A'} = \boldsymbol{\nabla} \times {\bf A} +\boldsymbol{\nabla} \times (\boldsymbol{\nabla} \Lambda) )]

벡터 해석학적으로 우변의 제2항은 0이 되므로

[math( \boldsymbol{\nabla} \times {\bf A'} = \boldsymbol{\nabla} \times {\bf A} )]

가 되고, 두 퍼텐셜 [math(\bf A)], [math(\bf A')]은 같은 장을 기술하는 퍼텐셜이다. 곧, 어떤 자기장을 기술하는 자기 벡터 퍼텐셜은 유일하지 않다.


2.2. 방정식[편집]


앙페르 법칙에서

[math( \boldsymbol{\nabla} \times {\bf B} = \mu_{0} {\bf J} )]

임을 알 수 있었고, 자기 벡터 퍼텐셜을 이용하면

[math( \boldsymbol{\nabla} \times (\boldsymbol{\nabla} \times {\bf A}) = \mu_0 {\bf J} )]

라고 쓸 수 있다. 이때, 벡터 항등식을 사용하면

[math( \nabla^2 {\bf A} -\boldsymbol{\nabla}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bf A}) = -\mu_0 {\bf J} )]

라고 쓸 수 있다. 이때, 정자기학에서는 쿨롱 게이지(Coulomb gauge)를 도입하여 [math(\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bf A} = 0)]으로 둔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리된다.

[math( \nabla^2 {\bf A(r)} = -\mu_0 {\bf J(r)} )]

이때, 직교 좌표계에서 위 식은 아래와 같이 푸아송 방정식으로 나온다.

[math( \nabla^2 A_i({\bf r}) = -\mu_0 J_i({\bf r}) \qquad (i=x,\,y,\,z) )]

이것은 전기 퍼텐셜을 기술하는 푸아송 방정식과 모양이 유사하므로, 이것의 해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math(\displaystyle A_i({\bf r}) = \frac{\mu_0}{4\pi} \int \frac{J_i({\bf r'})}\xi \,{\rm d}V' \qquad (i=x,\,y,\,z) )]

여기서 [math(\xi)]는 분리 벡터의 크기이다. 또한, 각 성분의 합으로 아래와 같이 쓸 수 있다.

[math(\displaystyle {\bf A(r)} = \frac{\mu_0}{4\pi} \int \frac{\bf J(r')}\xi \,{\rm d}V' )]

따라서, 위 방정식을 이용하면 자기 벡터 퍼텐셜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자기 벡터 퍼텐셜의 방향은 전류 밀도의 방향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3. 자기 선속과의 관계[편집]


어떤 면적 [math(S)]를 지나가는 자기 선속(magnetic flux) [math(F)]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math(\displaystyle F = \iint_S {\bf B} \boldsymbol{\cdot} {\rm d}{\bf a} )]

이때, 자기 벡터 퍼텐셜을 이용하면

[math(\displaystyle F = \iint_S (\boldsymbol{\nabla} \times {\bf A}) \boldsymbol{\cdot} {\rm d}{\bf a} )]

이고, 스토크스 정리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이 [math(S)]를 둘러싸는 폐곡선 [math(C)]에 대한 적분으로 바뀐다.

[math(\displaystyle F = \oint_C {\bf A} \boldsymbol{\cdot} {\rm d}{\bf l} )]

따라서 자기 선속을 이용해도 자기 벡터 퍼텐셜을 구할 수 있다.


2.4. 경계 조건[편집]


파일:벡터퍼텐셜_경계 조건.png

위 그림과 같이 매질 [math(\rm I)], [math(\rm II)]를 고려하자. 정자기학에서 쿨롱 게이지 조건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boldsymbol{\cdot} {\bf A} = 0 )]

을 만족하므로 이것은

[math(\displaystyle \oiint_S {\bf A} \boldsymbol{\cdot} {\rm d}{\bf a} = 0 )]

을 만족한다는 것과 동치이다. 따라서 [math(S)]를 윗면과 아랫면 모두 면적 [math(A)]이고 높이 [math(h)]인 원기둥으로 잡자. 이때, [math(h \rightarrow 0)]일 때, 옆면에 해당하는 영역의 적분 값은 상쇄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oiint_S {\bf A} \boldsymbol{\cdot} {\rm d}{\bf a} = [ {\bf A_2} \boldsymbol{\cdot} \hat{\bf n} -{\bf A_1} \boldsymbol{\cdot} \hat{\bf n} ] \,l = 0 )]

이다. [math(\hat{{\bf n}})]은 영역 [math(\rm I)]에서 [math(\rm II)]를 향하며, 경계면에 수직한 벡터이다.

[math(\displaystyle {\bf A_1} \boldsymbol{\cdot} \hat{\bf n} = {\bf A_2} \boldsymbol{\cdot} \hat{\bf n} )]

로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자기 벡터 퍼텐셜의 수직 성분은 연속임을 알 수 있다.

이번엔

[math(\displaystyle F = \oint_C {\bf A} \boldsymbol{\cdot} {\rm d}{\bf l} )]

를 이용하자. 선적분 영역을 위 그림과 같이 잡고, [math(h \rightarrow 0)]일 때를 고려하자. 이 경우, 경계면을 가로지르는 영역에 대한 선적분 값은 상쇄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oint_C {\bf A} \boldsymbol{\cdot} {\rm d}{\bf l} = [ {\bf A_2} \boldsymbol{\cdot} \hat{\!\:\bf t} - {\bf A_1} \boldsymbol{\cdot} \hat{\!\:\bf t}] \,l )]

이 된다. 이때, [math(\hat{\!\:\bf t})]는 경계면에 접하는 단위 벡터이다. 그런데, [math(h \rightarrow 0)]이라는 점에서 해당 폐곡선 안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은 면적이 [math(0)]으로 수렴하기 때문에, 적분 값은 [math(0)]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bf A_2} \boldsymbol{\cdot} \hat{\!\:\bf t} - {\bf A_1} \boldsymbol{\cdot} \hat{\!\:\bf t} = 0 )]

에서

[math(\displaystyle {\bf A_1} \boldsymbol{\cdot} \hat{\!\:\bf t} = {\bf A_2} \boldsymbol{\cdot} \hat{\!\:\bf t} )]

로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자기 벡터 퍼텐셜의 접선 성분은 연속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두 성분이 모두 연속이므로, 위의 논의는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자기 벡터 퍼텐셜은 연속이어야 함을 얻는다. 즉, 경계면을 가로지를 때

[math(\displaystyle {\bf A_1} = {\bf A_2} )]

를 만족하여야 한다.


2.5. 자기 쌍극자의 자기 벡터 퍼텐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자기 쌍극자 모멘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6. 관련 예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자기 퍼텐셜/자기 벡터 퍼텐셜 예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자기 스칼라 퍼텐셜[편집]


위의 자기 벡터 퍼텐셜은 자기장이 비발산장이기 때문에 정의될 수 있었다. 그러나 자기장도 특정한 조건에서는 비회전장을 만족하기 때문에 전기장처럼 스칼라 퍼텐셜을 도입할 수 있다. 앙페르 법칙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bf B} = \mu_0 {\bf J} )]

에서 전류 밀도 [math({\bf J}=0)]이 성립하는 영역에 한해선

[math(\displaystyle \boldsymbol{\nabla} \times {\bf B} = 0 )]

으로 자기장 또한 비회전장이 된다. 따라서 장을 어떤 스칼라의 그레이디언트를 취하여 기술할 수 있다. 즉,

[math(\displaystyle {\bf B} = -\mu_0 \boldsymbol{\nabla} \Phi_m )]

의 형태[1]로 기술할 수 있으며, 여기서 나온 스칼라 [math(\Phi_m)]를 "자기 스칼라 퍼텐셜"이라 한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7:44:47에 나무위키 자기 퍼텐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앞에 붙은 [math(\mu_0)]는 자기장 세기 문서를 읽어보면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