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강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역명에 대한 내용은 임진강역 문서
임진강역번 문단을
임진강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한반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시아 ]
아시아
중국
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 강 · 일리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오세아니아 · 남극 ]


🌊 한강의 지류

[ 펼치기 · 접기 ]
정렬 가나다순 · : 현재 복개한 지류


가정천
가정천
간매천
개화천
계양천
계장천
고교천
고명천
곡수천
골지천
광천
구룡천
국사천
궁촌천
금당천
금사천
남천단양
내사천
노동천
단양천
당곡천
대장천
덕평천
덕풍천
도곡천
도촌천
동달천
동대천
매포천
법천천
보발천
복포천
봉성포천
사이곡천
사탄천
산곡천
상리천
석항천
성덕천
수산천
신내천
양근천
양택천
양화천
어곡천
어천
연양천
영덕천
오금천
오대천
오량천
옥동천
용담천
용탄천
운계천
월문천
임계천
장선천
장월평천
정암천
제천천
조동천
죽령천
지장천
창리천
척천
하일천
한포천
향금천
향동천
향리천
홍릉천
후포천
흑천



국가하천
임진강

臨津江 | Imjin River


파일:임진강.jpg

위치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원도
황해북도
개성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기도 (파주시 · 연천군)
수계
한강 수계
* 임진강 종속 수계
발원
파일:북한 국기.svg 강원도 법동군[1] 룡포리 두류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함경남도 문천군 풍상면 용포리)

하구
파일:북한 국기.svg 개성시 판문구역 림한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기도 개풍군 임한면 정곶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성동리

유입
한탄강
유출
한강
유로연장
273.50㎞ (170 mi)
유역면적
3,185.60㎢ (1,230 sq mi)
유량

하중도

하천코드
1005980
1. 개요
2. 군사분계선의 강
3. 시설
3.1. 교량
3.2. 하구둑
3.3. 저수 시설
4. 관광
5. 사고
6. 북한 노래 임진강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림진강 맑은 물은 흘러 흘러 내리고

뭇새들 자유로이 넘나들며 날건만

내 고향 남쪽 땅 가고파도 못가니

림진강 흐름아 원한 싣고 흐르느냐

강 건너 갈밭에선 갈새만 슬피 울고

메마른 들판에선 풀뿌리를 캐건만

협동벌 이삭 바다 물결 우에 춤추니

림진강 흐름을 가르지는 못하리라[2]

[3]

--

박세영 - 림진강


임진강(臨津江)은 한반도 중부에 위치한 강이다. 북한의 강원도 법동군 룡포리 두류산[4]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군사분계선을 넘어 연천군을 거쳐서 파주시 교하읍[5]과 북한의 개성시와 접해있는 하구에서 한강으로 합류한 후, 서해(강화만[6])로 흘러 나간다.

본류인 한강과 거의 바다 직전에서 만나기 때문에 사실상 한강과는 별개의 강이지만, 종점이 파주로 되어 있는 환경부 고시로는 종점이 김포한강의 제1지류로 처리한다.[7] 임진강이 합류한 뒤의 김포반도와 개풍군 사이를 흐르는 구간을 조강이라고도 부른다.

북한에서는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아 '림진강'이라고 적고 읽는다. 남북한에 걸친 강이라 구글 지도에서도 임진강, 림진강 둘 다 검색이 된다.

오른쪽 유역에는 아호비령산맥이 뻗었고, 왼쪽 유역에는 지류들이 흐른다. 주요 지류는 강원도 고미탄천(古味呑川: 114km), 경기도 평안천(平安川: 81km)·한탄강(漢灘江: 130km) 등이고, 5km 이상인 지류는 250여 개이다. 환경부 수상교통의 요지로 6.25 전쟁 이전에는 고랑포까지 배가 다녔고 작은 배는 안협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다.

기록에 따르면 삼국시대는 임진강을 칠중하(七重河)라 하였고, 경기도에 고구려 칠중현(七重縣)[8]의 치소(治所)인 파주 칠중성(城)이 있었다.[9]

임진강은 예부터 자연 경계의 역할을 하였다. 원삼국시대에는 마한 세력과 한사군의 경계선으로 추정 중이며 4세기~5세기 무렵에는 백제와 고구려, 6~7세기에는 신라와 고구려의 대치선이었고 통일신라 시대에도 임진강을 경계로 한주패강진을 분리해 전자에는 밀도 높은 직할 통치를 실시한 반면 후자에는 느슨한 통치망만 설치했다. 이후에도 임진왜란이나 6.25 전쟁의 주요 전장이었으며 현재에도 군사분계선이 이 근교에 위치한다.[10]

임진강 일대는 백제의 발원지로 유력시되는데, 2세기 무렵 임진강 일대에서 나타나 3세기에 대방군의 존재로 인해 한강 이남으로 내려간 고구려계 집단을 초기 백제로 추정하고 있다.


2. 군사분계선의 강[편집]


한탄강과 더불어 남/북 자연경계선이다. 하구에서 남북 경계선으로 시작했다가 판문점 인근에서는 남한 쪽으로 흐르고, 연천군 일대를 지나 민간인통제구역으로 가면 다시 한 번 남북 경계선이 되었다가 북한 쪽으로 올라간다. (자세한 부분은 파주시 군사 챕터 참고)


3. 시설[편집]



3.1. 교량[편집]


이 강의 남북을 잇는 다리는 경의선 임진강철교가 상행과 하행 2개 있었으나 6.25 전쟁 때문에 파괴되었고, 휴전협정 이후 포로교환을 위해 자유의 다리가 임시로 건설되었었다. 현재는 임진강철교의 하행선만 복구되었으며, 통일대교와 전진교 등 다리가 여럿 건설되어 있다. 파주시 일대의 다리들은 서안 혹은 북안이 민통선 내에 속해 있어 이용시 관할 군부대의 검문검색을 거쳐야 한다. 연천군에 위치한 교량들은 연천군이 임진강을 낀 만큼 자유롭게 통행이 가능하다. 대한민국이 관할하는 임진강의 최상류 민통선 이남 교량은 연천군 왕징면에 위치한 북삼교이다.

임진각국민관광지에 관광전시물로 활용하기 위해 복원한 자유의 다리가 2개 있으나,[11] 관광전시용일 뿐 실제로 임진강을 건너기 위한 용도는 아니다.

한국전쟁 당시에도 격전지였던 만큼 화이트교(2003년 철거), 리비교 등 전쟁 당시 급하게 지어진 교량들도 있다.


3.2. 하구둑[편집]


임진강 하구의 서안은 북한이, 동안은 남한이 행정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하구둑을 지을 수 없어서 황해 바닷물이 역류하는 문제가 있다.[12] 하루에 두 번 조수간만의 차에 따라 바닷물이 역류하거나 강물이 내려가거나 하는데, 심하게 역류하면 연천군까지 바닷물이 올라온다.


3.3. 저수 시설[편집]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군남댐이 있다. 상류에는 북한 황해북도 토산군 황강리에 황강댐이 존재한다.


4. 관광[편집]


피서를 가는 행락객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북한과 가까운 전방지역이긴 하나 오두산 전망대, 태풍 전망대 등은 안보 견학 관광지로 인기가 있고, 임진강 주상절리대와 한탄강 지질공원을 따라 강변 캠핑이 인기가 있다. 파주시와 연천군 등지에서도 적극적으로 관광자원으로 밀고 있는 지역. 연중 각종 축제가 개최되고, 2018년 현재는 감악산 출렁다리 등이 관광지로 인기가 있다. 아무래도 군사지역으로서 민간개발이 많이 안 이뤄져서 자연 풍경이 잘 보존되어 있고, 최근 수도권 고속도로의 확충으로 서울특별시에서의 접근성이 크게 늘어난 점이 있다.


5. 사고[편집]


  • 2005년에는 강변에서 전술 훈련 중이던 JSA 경비대대 부대원들이 급류에 휘말려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포탄 낙하 상황이 주어지자 길 옆으로 몸을 피하다가 병장 한 명이 실족하여 임진강에 빠졌는데, 이를 구하러 중대장, 소대장, 병사 3명[13]까지 총 5명이 들어갔으나 중대장과 이병만 가까스로 살아나오고 나머지 3명과 처음 물에 빠진 병장 1명을 포함한 4명은 그대로 목숨을 잃고 말았다.

  • 2009년에는 북한황강댐 무단방류 도발을 하여 6명이 목숨을 잃었다.

  • 북한에서 흘러들어오는 강이기 때문에 목함지뢰가 떠내려오는 일도 있었다.


6. 북한 노래 임진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임진강(노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황해로 흐르는 하천
본류
지류
대동강
남강 · 보통강 · 합장강 · 비류강 · 재령강 · 황주천
압록강
장자강 · 삼교천 · 자성강 · 장진강 (부전강) · 충만강 · 허천강 · 리명수
청천강
대령강 · 구룡강
례성강
구역천 · 지석천
폭포
동림폭포 · 박연폭포
기타
달천강 (안악 / 정주) · 남대천 (장연) · 림진강
동해로 흐르는 하천
본류
지류
두만강
보을천 · 회령천 · 오룡천 · 아오지천 · 서두수 (박천수 / 박천대수 / 동계수)
성천강
흑림강 · 호련천
룡흥강
덕지강 · 단속천 · 입속천
기타
금진강 · 남대천 (길주 / 단천 / 이원 / 북청 / 안변) · 북대천 · 수성천 · 어랑천

둘러보기

산지 | | 하천 | 해안 | 온천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 전에는 함경남도 소속이었다. 따라서 북한의 행정구역 개편을 인정하지 않는 대한민국이북 5도 체계 하에서는 여전히 함경남도 소속이다. 별거 아닌거 같아보여도 무려 함경도의 물이 파주까지 내려오는 것.[2] 모두 2절(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절(연)은 박세영이 고향인 남한을 그리워하는 내용이지만, 서울 성동구 태생의 월북 작가이다. 작가의 실제 심리가 반영된 것일 수도 있다. 2절은 사회주의 체제인 북한이 남한보다 경제 사정이 우월하다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사실 1950년대엔 정말로 북한이 더 잘 살았긴 했다. 남한이 북한을 경제적으로(수치상으로) 앞지른 건 1974년부터다.[3] 2절이 너무 노골적인 북한 체제 찬양이기 때문에 남한에서 부를때는 메마른을 내마음으로 바꿔 부를때가 많다. 아니 그냥 1절에 내고향 '남쪽땅'만 '북쪽땅'으로 바꾸면 되는거 아닌가??[4] 이북5도행정위원회 상으로는 함경남도 문천군 풍상면 용포리[5] 파주시 교하읍(交河邑)은 임진강과 한강이 해당 지역에서 만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고려시대고려 정부가 몽골 제국의 침공에 강화도로 피난하였을 때 강화도 일대와 교하, 일산 일대를 일부 간척한 것 때문에 현재 한강의 유로는 과거의 모습에서 바뀐 것이다.[6] 이 강화만에서 예성강이 합류한다.[7] 북한강에 이어 유로연장과 유역면적 모두 한강의 두번째 제1지류이다.[8] 칠중현은 고구려 때 난은별(難隱別)이라고도 하였는데, 일본어 (나나)가 7을 의미하는 것으로부터 연관성을 찾아 고구려어 7을 재구하려는 시도가 있다.[9] 파주문화원 칠중성 전투 문서 참고.[10] 군사분계선이 임진강 수로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대한민국도 임진강 이북의 옛 장단군 영역을 일부 보유 중이다.[11] 하나는 2000년에 복원한 자유의다리, 다른 하나는 2016년 12월에 옛 자유의 다리 위치에 복원한 독개다리 스카이라인 내일의 기적소리.[12] 한강은 김포대교 인근에 신곡수중보가 있어서 바닷물의 역류를 막을 수 있다.[13] 병장, 일병, 이병.

파일:CC-white.svg이 문서는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의 수정 로그 삭제로 인해 과거 로그의 일부가 누락된 문서이며, 문서 개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 분은 나무위키:로그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다실 때는, 문서 최상단 혹은 최하단에
[[분류:로그 누락 문서]]
를 달아 주세요.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6:18:00에 나무위키 임진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