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의원(일본)

덤프버전 :



파일:일본 국회 문장.svg일본 국회
참의원
参議院 | House of Councillors

파일:참의원 홈페이지 배너.jpg

특성
양원제 국회 상원, 다당제
개회
1947년 5월 20일
전신 조직
귀족원(貴族院)
의장
오쓰지 히데히사 (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 가고시마현 선거구)

부의장
나가하마 히로유키 (
[[입헌민주당(2020년)|
입헌
]]
/ 치바현 선거구)

사무총장
고하라 사토루(郷原悟)
참의원 의원
정원 248석 중 재적 247인
주소
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1초메 7-1
국회의사당
최근 선거
제2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23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
차기 선거
제2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의석 현황
3. 상세
3.1. 자격
3.2. 임기
3.3. 정수 및 선출 방법
3.4. 권한
3.5. 기타
4. 역대 선거
4.1. 관련 문서
5. 위원회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議会開設百三十年記念式典.jpg
2020년 의회 개설 130주년 기념식 모습[1]

참의원()은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는 일본 국회에서 상원을 부르는 말이다. 하원중의원과 함께 일본 국회를 구성한다. 일본 제국 시절 제국의회의 상원은 귀족원이었으나 패전 후 귀족원은 폐지되었고, 대신 참의원이 만들어졌다. 당시의 귀족원은 원칙적으로 황족, 화족, 그리고 제국학사원 회원과 고액납세자 중 일부에게만, 그리고 당시의 선거법상 남성에게만 (해당자 중 호선 또는 칙선으로) 의원 지위가 주어졌던 반면 현재 참의원은 누구나 출마하고 전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선거에서 선출되는 만큼 성격이 다르다고 할 수 있으며, 현대 일본의 참의원은 귀족원의 역사를 계승하지 않는다.


2. 의석 현황[편집]


일본 국회에서는 원활한 의정 활동을 목적으로 각 정당이 연합해 회파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아 정당 의석수와는 차이가 있다. 의정 활동에서 소속 회파가 당적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며 한국의 원내교섭단체와 비슷한 개념이다.

현재 원내여당은 자유민주당와 공명당이며, 원내야당은 회파가 없는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회파이다.

회파별 점유 의석수 현황(2022년 9월 15일 현재) 및 회파명

  • 자유민주당(자민)[自民] - 113석 (46.1%)
  • 공명당(공명)[公明] - 28석 (11.4%)
  • 입헌민주사민(입헌)[立憲] - 44석 (18.0%)[2]
  • 일본 유신회(유신)[維新] - 16석 (6.5%)
  • 국민신록풍회(민주)[民主] - 14석 (5.7%)
  • 일본 공산당(공산)[共産] - 13석 (5.3%)
  • 레이와 신센구미(레신)[れ新] - 2석 (0.8%)
  • 오키나와의 바람[3](오키나와)[沖縄] - 2석 (0.8%)
  • 벽수회[4](벽수)[碧水] - 2석 (0.8%)
  • NHK당(NHK)[NHK] - 2석 (0.8%)
  • 무소속[5] - 9석 (3.7%)

전체
46.1%

회파별 의석 점유비율 [ 펼치기 · 접기 ]
여당


46.1%



11.4%

야당


18.0%



6.5%



5.3%



5.3%



0.8%

[[오키나와의 바람|

오키나와
]]

0.8%

[[벽수회|

벽수
]]

0.8%

[[NHK당|

NHK
]]

0.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808080 calc(9*100%/245), rgba(0,0,0,0) 0%); font-weight: 700"
3.7%



3. 상세[편집]




3.1. 자격[편집]


선거권은 18세 이상의 일본 국민으로 중의원과 같지만, 후보자로 출마가 가능한 피선거권은 30세 이상의 일본 국민이라 중의원과 다르다.

참의원 창설 당시에는 20세 이상의 일본 국민에게 선거권이 있었다. 그런데 2015년 6월 일본 공직선거법이 개정됨에 따라 투표 가능 연령이 기존의 20세에서 18세로 내려갔다.[6]

3.2. 임기[편집]


임기는 6년으로 참의원 의석의 절반을 3년에 한 번씩 교체하는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를 시행한다. 단 총리가 의회해산을 하면 임기가 보장되지 않는 중의원과는 달리 참의원은 6년의 임기가 보장된다. 참의원 의장과 부의장은 일본 황실회의(皇室会議)의 의원이 된다.(황실전범 제28조, 30조, 32조 참조)

3.3. 정수 및 선출 방법[편집]


현재 정원은 248석이다. 2019년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이전보다 3석 늘린 245석이 되었고, 이후 2022년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다시 3석을 증원하여 최종 248석이 됐다. 즉 두 차례 선거를 통해 참의원 정원이 기존 242석에서 248석으로 6석 증가한 것이다. 각 도도부현지역구로 하여 소선거구제 또는 중선거구제(2~6명 선출 선거구가 있음)로 선출하는 지역구 148명 의원과 비례대표로 선출되는 100명 의원이 있다.(2022년 기준) 이에 따라 3년마다 74(지역구) + 50(비례대표)명씩 선출한다. 동시에 치러질 참의원의원 재보궐선거가 없다는 전제 하에, 각 지역구에서 매 통상선거에 선출하는 의원의 수는 같다. 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달리 석패율제가 시행되지 않기 때문에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지역구와 비례대표 중복 입후보를 하지 못한다. 참의원을 뽑는 선거는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중의원 의원 총선거와 별개의 명칭으로 불린다.[7]

처음 참의원 선거를 치렀을 때 의석수는 250석, 1971년에 오키나와가 일본에 편입되면서 252석으로 증가했는데 1990년대 정치개혁의 일환으로 의석을 10석가량 줄여서 242석으로 감소했다가 인구비례를 맞추기 위해 245석(향후 248석)으로 다시 증가하게 된다. 원래 1인 선거구에서는 각 도도부현별로 선거마다 1명씩 뽑도록(정수는 2명)뽑도록 관례화되어 있었지만 일본 대법원이 현재(2016년)의 선거구 정수를 유지하는 선에서 도도부현별 최소 1개의 선거구를 유지하는 것은 공직선거법이 규정한 참의원 인구비례율인 1:3을 넘어서기때문에 위헌상태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수를 늘리거나[8] 선거구의 합구가 필요하다고 판시하여 의원정수 증가의 비율을 최소화 하기 위해, 2016년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부터 시마네현과 돗토리현, 도쿠시마현과 고치현은 선거구가 합구되어서 같이 의원을 뽑고, 지역구의 정수를 3+3석 으로 총 6석을 증원하였다. 일본의 저출산 고령화와 도시-농촌 간 차별적인 인구 감소로 인해[9] 앞으로 인구비례를 맞추기 위한 국회의원 증원은 계속될 예정이라고 한다.

3.4. 권한[편집]


참의원은 상원에 해당하지만, 중의원을 통과한 법률안을 참의원에서 부결시키거나 60일 이상 심의하지 않을 경우 중의원에서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재의결하면 개헌을 제외하고는 어떤 법률안도 참의원을 거치지 않고 통과가 가능하다. 또한 참의원 의원도 헌법 규정상으로는 내각총리대신이 될 수 있으나 양원이 각자 총리를 지명하며 서로 결정이 엇갈린 경우에는 중의원이 지명한 인물을 총리로 임명하는 헌법 구조상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한 번도 참의원 의원이 총리가 된 적은 없다.[10] 참의원 의원이 내각에 입각하는 것은 가능. 더불어 조약 비준동의 및 예산안 심의도 참의원의 가부 여부와 상관없이 중의원의 결정이 국회의 결정이 된다. 특히 2005년 고이즈미 준이치로우정민영화 해산 사건으로 자민당이 처음 2/3을 차지한 이후로 중의원에서 1당이 재적 2/3에 가까운 초압승을 하는 경우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에 일본 내부에서 "참의원 무용론"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중의원에 비해 우선순위가 떨어져 독자적으로 뭔가를 이루기가 어렵기 때문이다.[11]

일본 현대사를 볼 때 추풍회가 자민당으로 합당 된 이후로는 굳이 견제기능을 발휘할 능력이 없었지만(...) 1974년부터 1980년까지는 여야 간 의석수가 엇비슷했던지라 견제가 잘되었던 적도 있었다. 1989년부터 1993년까지 참의원이 여소야대였기도 했다. 결국 이 참의원에서 지속된 여소야대는 1993년 일본 자민당의 내분을 일으켜, 7당 연립정권이라는 55년 체제의 첫 정권교체를 이뤄내기도 했다. 다시 말하지만 집권당이 상원인 참의원을 장악하지 못하면서 더 이상 못 버티고 정권이 무너진 것이다.

1993년~2005년까지 12년간은 중의원 단독 과반 정당이 없고, 참의원도 여야가 팽팽했던 시대였던지라 이 시기에는 참의원과 중의원 선거마다 내각이 무너지는 등 참의원의 권력이 절정을 달했던 시기가 있었다. 2004년에 민주당이 참의원 1당을 차지하는 파란을 일으키면서 참의원의 권력은 또 다시 상승하기도 했다. 그리고 2005년 고이즈미의 우정 해산으로 중의원 2/3를 쓸어서 아베 신조 1차 내각이 들어섰는데... 아베 신조 내각은 2007년 참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참패(37석 당선, 총 83석)하면서 간신히 1/3로 떨어지고 민주당이 단독 1당(60석 당선, 109석)을 차지하자 아베 신조 1차 내각은 즉시 무너져버렸다. 결국 이렇게 자민당이 참의원에서 계속 밀리면서 2009년 중의원 총선을 통해 민주당으로 또다시 정권이 교체되었다. 그리고 그 민주당 역시 2010년 참의원의원 선거에서 자민당한테 패배(민주당 44 vs 자민당 51)하면서, 결국 2년 후인 2012년 자민당이 중의원을 장악하고 다시 정권교체가 일어난다.

결론적으로, 참의원 무용론 자체가 본격적으로 부각된 것은 채 10년도 되지 않은 이야기다. 정확히 말하면 아베 신조 2차 내각이 집권한 2012년 이후 자민당이 중의원 2/3, 참의원 절대과반(60%)을 차지하면서 참의원 무용론이 본격화한 내용이다. 2020년을 기준으로 봐도 고작 8년 정도 된 이야기이다. 길게 잡아도 우정해산으로 참의원이 무력화된 2005년에 비로소 언급되기 시작했으니 그걸 고려해도 15년 된 이야기이다. 게다가 이것도 2005년~2007년 딱 2년이었지 2007년 참의원의원선거에서 대승한 민주당은 중의원의 2/3을 차지한 자민당을 번번히 엿먹였다. 이 때문에 참의원을 긍정하는 측에서는 참의원의 진정한 문제는 참의원의 중의원화라고 지적한다.

참의원에서 부결 시 중의원 재의결 통과 기준이 2/3인 것은 최초 의결정족수 기준인 과반보다 법안 통과의 허들이 더 높아지는 것이고, 2/3을 넘긴다는 것은 여야 간 세력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경우와 여기에 찬반 입장이 팽팽한 상황이라면 사실 쉽게 통과시킬 수 있는 게 아니다. 그와 별개로 법안 통과를 지연시킬 수도 있는 등, 중의원을 견제하지 못한다고 볼 수 없다. 특히 참의원 같은 경우는 인사 동의권을 독점하고 있다. 내각 각료가 아닌 일본은행 총재[12], 일본의 각 공기업 사장(특히 NHK) 등에 대한 인사 동의권은 참의원에 전적으로 귀속되어 있는데 참의원에서 단순 재적 과반수 찬성으로 공공기관 인사를 승인불가 하면서 버티고 있는다면 중의원의 내각은 행정마비 상태에 빠진다.

참의원의 긴급 집회라는 제도가 있는데 중의원 해산으로 인해 중의원이 존재하지 않는 동안 긴급한 사태가 발생했을 시, 참의원이 국회의 기능을 대체하는 제도이다.(일본 헌법 제54조 2항 단서·3항) 하지만 1952년과 1953년 긴급 집회가 개회된 이후부턴 실제 이 조항에 따른 긴급 집회가 아예 없어 거의 사문화되어있긴 하다. 1952, 1953년 긴급집회가 선포되었을 때는 중의원 선거 도중에 지진태풍이 왔을 때였지만, 반드시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을 때만 긴급집회 소집이 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런 명시적 규정은 없다.

국회 개회식이 참의원 회의장에서 치러진다. 이는 참의원이 중의원에 비해 우월권을 가지고 있는 부분이다. 이때 중의원 의원들도 참의원 회의장에 모이며, 특히 천황이 참석한다. 귀족원을 계승한 참의원에 천황의 어석(御席)이 있기 때문이다.[13] 이런 방식은 의회 개회식을 국왕의 왕좌가 있는 상원에서 하원 의원을 초청해 치르는 영국과 동일하다.
파일:6F70AD31-3AA5-4D9A-A0C5-907945A61C15.jpg
커튼 안쪽의 의자가 바로 천황의 어석(御席)이다.

3.5. 기타[편집]


※ 총원 245석 기준.

  • 단순과반: 특정정당이 본회의에서 법안을 가결시킬 수 있는 의석수 (123석)[14]
  • 안정다수: 특정정당이 모든 상임위원회에서 과반을 확보하고, 가부동수일 때 최종결정권을 가진 위원장직 역시 과반을 확보할수 있는 의석수 (131석)
  • 절대안정다수: 안정다수에다가 추가로 다수당이 모든 상임위원회에서 위원장직을 확보하여[15] 가부동수 무관하게 다수당의 뜻대로 국회(참의원)를 운영할수 있는 의석수 (152석)
  • 3분의 2: 헌법개정, 국회의원 제명 등 필요 요건 (164석)

4. 역대 선거[편집]




4.1. 관련 문서[편집]



5. 위원회[편집]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조사회 및 심사회
내각위원회
재해대책특별위원회
국가통치기구에 대한 조사회
총무위원회
정치윤리의 확립 및 공직선거법개정에 관한 특별위원회
국민생활을 위한 디플레이션 탈피와 재정 재건에 관한 조사회
법무위원회
오키나와 및 북방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국제 경제 · 외교에 관한 조사회
외교방위위원회
북한에 의한 납치문제 등에 관한 특별위원회
헌법조사회
재정금융위원회
정부개발원조 등에 관한 특별위원회
정보감시심사회
문교과학위원회
지방 · 소비자 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정치윤리심사회
후생노동위원회
동일본대지진 부흥과 원자력 문제 특별위원회
농림수산위원회
경제산업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환경위원회
국가기본정책위원회
예산위원회
결산위원회
행정감시위원회
의원운영위원회
징벌위원회

부설기관
사무국
법제국

6. 둘러보기[편집]




[ 정치 · 군사 ]
상징
일장기(니시키노미하타) · 기미가요 · 국장 · 국호 · 천황 · 일본 황실
정치
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사라진 정당) · 국회(참의원 · 중의원)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군사
군사 전반(군사사) · 자위대(편성 · 역사 (일본군) · 계급) · 문제점(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 경찰(계급 · 일본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역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사회 · 경제 ]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수출/수입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
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지진(대지진) · 후지산
사회
사회 전반(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알레프)) · 국수주의(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
일본어족 · 일본어(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
교통 전반 · 도로(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문화 ]
예술
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오키나와 음악
음식
음식 전반(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종이)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
스포츠 전반(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
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기타 ]




[ 펼치기 · 접기 ]
국회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회(중의원·참의원) · 의장(중의원 의장·참의원 의장) · 부의장(중의원 부의장·참의원 부의장) · 의원(중의원 의원·참의원 의원)
행정부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문장.svg
내각총리대신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무대신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내각관방 · 내각법제국 · 내각부 · 11성 28외국 · 부흥청 · 디지털청 · 인사원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회계검사원
법원
파일:일본 재판소 휘장 미니_다크.svg
최고재판소 · 최고재판소장관 · 최고재판소재판관
지방재판소 · 가정재판소 · 간이재판소



[1] 일장기 우측 단상에 앉아있는 두 사람은 나루히토 천황과 마사코 황후, 아래는 스가 요시히데 총리, 좌측 여성은 마코 공주, 우측 여성과 남성은 산토 아키코 의장과 오시마 다다모리 중의원 의장[自民] 약칭[公明] 약칭[立憲] 약칭[2] 입헌 39명, 사민 1명[維新] 약칭[民主] 약칭[共産] 약칭[れ新] 약칭[3] 오키나와 지역구 의원 모임. 오키나와사회대중당 1명, 무소속 1명[沖縄] 약칭[4] 碧水会. 전원 무소속[碧水] 약칭[NHK] 약칭[5] 정·부의장 1인씩, 무소속 5명[6] 참고로 개정된 선거법에서 18세, 19세 국민들이 투표하게 된 첫 선거는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7] 의원 전원을 동시에 뽑는 것이 아니라 일부를 개선하여 선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총선거가 아닌 통상선거로 명명했다.[8] 2016년 기준 인구 비례 1:3을 맞추려면 개선의석당 25석 총 50석의 추가 의석이 필요하다.[9] 일본 전체 인구는 감소하고 있지만 도쿄는 계속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10] 하야시 요시마사 의원이 참의원의원으로서 자민당 총재선거에 출마했다가 참의원의원이란 이유로 떨어지고 나서 중의원 진출을 갈망해왔듯, 참의원은 국가 정치에서 2선 취급을 받는다. 내각과 당의 주요 인물들도 모두 중의원의원이고 참의원의원은 참의원의원 전용 조직에서 따로 노는 편이다.[11] 2009년 민주당도 중의원 309석으로 2/3에 딱 6석 모자랐다. 당시 모자란 의석은 민주당과 연정 관계였던 국민신당(13석)이 채웠다.[12] 일본은행 총재는 참의원 재적 과반수의 찬성이 없으면 임명되지 못한다. 참의원에서 인사 동의권을 가진 인사 중 가장 권력이 센 인사.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역시 미국 상원의 재적 과반수 찬성이 필요하다. 한국은행 총재는 국회에서 인준 동의가 필요 없이 대통령 결정으로 임명되므로, 독립성이 떨어진다는 평을 듣는다. 영국영란은행 총재는 영국 하원 재적 과반수의 찬성으로 임명되며 상원인 귀족원은 결정 권한이 없다.[13] 중의원 회의장에도 의장석 위에 천황의 자리가 있기는 한데 어석이 아니라 어방청석이라고 하고 참의원 회의장에도 어석과 별도로 어방청석이 반대편 방청석 중간에 자리하고 있다. 다만 두 어방청석은 사용된 적이 없다고 한다.[14] 한국의 제19대 국회에서 보수여당인 구 새누리당이 원내과반의석을 확보하고 있었지만, 환경노동위원회에서는 당시 여소야대였던 사례를 비추어 생각해보면 된다.[15] 절대안정다수를 확보하는 정당이 있는 경우 만일에 소수당 측에 상임위원장직이 배분된다 하더라도, 법안심의 등에서 자신들 뜻대로 따라주지 않는다면 다수당의 뜻에 따라 임의로 해임안을 상임위 결의에 따라 본회의에 상정시켜 위원장을 자신들 소속 위원장으로 교체할 수 있는 상황이 펼쳐질수도 있다고 한다. 일본국 헌법 시행 이래 2013년까지 위에 해당하는 사례가 없었으나 아베 2차 정권 출범 이후 처음으로 참의원에서 구민주당 소속 위원장이 자민당-공명당 연합의 뜻에 따라주지 않는다며 해임되고 자민당 소속 의원으로 교체되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참의원 문서의 r1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참의원 문서의 r1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9:48:30에 나무위키 참의원(일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