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2-23시즌에 대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22-23시즌 문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22-23시즌번 문단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22-23시즌# 부분을
, V-리그 출범 이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 대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 [[틀: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FFFFFF 관련 문서}}}]]}}}
}}} ||



파일:PinkSpiders_Logo.png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1][2]
Incheon Heungkuk Life Insurance PinkSpiders
창단
1963년(61주년)[3] / 1971년 8월 2일(52주년)
프로출범
2005년 2월 15일(19주년)
구단명 변천
포항 태광산업 여자배구단 (1971~1991)
포항 흥국생명 여자배구단 (1991~2005)
천안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05~2009)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09~)
연고지 변천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파일:천안시 CI.svg 천안시 (2005~2009)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2009~)
홈 구장
포항체육관 (1991~2005)
유관순체육관 (2005~2009)
인천도원체육관 (2009~2013)
계양체육관 (2013~2021)
삼산월드체육관 (2021~)
클럽하우스
흥국생명 연수원
모기업
파일:흥국생명로고.png
구단주
임형준
단장
김여일
감독
권순찬
주장
김미연
키트 스폰서
파일:아식스 로고.svg
홈페이지
파일:PinkSpiders_Logo.pn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4]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
챔피언결정전 우승 (4회)
2005-06, 2006-07, 2008-09, 2018-19
정규리그 1위 (5회)
2005-06, 2006-07, 2007-08, 2016-17, 2018-19
KOVO컵 우승 (1회)
2010
{{{#FFFFFF [[배구/한국 세미프로|{{{#ffffff 대통령배-슈퍼리그}}}]] }}} (0회)
-[5]

1. 개요
2. 상세
2.1. 역대 로고와 엠블럼
2.2. 역대 마스코트
3. 역사
3.1. 창단부터 실업시절까지
5. 응원단
6. 역대 성적
7. 역대 스쿼드
8. 역대 감독
9. 역대 주장
10. 역대 외국인 선수
11. 역대 수상
12. 역대 등번호
15. 역대 홈구장
17. 이모저모
18. 둘러보기
1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V-리그의 여자 프로배구팀. 연고지는 인천광역시, 홈구장은 부평구 삼산동에 위치한 인천삼산월드체육관.

모기업은 태광그룹흥국생명, 구단주는 박춘원.

대통령배-슈퍼리그 시절 중위권을 유지하던 팀이었으나 프로출범 이후 황연주김연경을 중심으로 3번의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달성하며 리그의 신흥 강호로 우뚝섰다. 이후 한동안 암흑기를 거치다 2019년 4번째 우승에 성공, 총 4개의 별을 달았다.

2. 상세[편집]


팀의 마스코트는 분홍색 타란툴라 거미로, 블로킹을 잘 잡아내는 선수를 일컫는 '거미손'에서 유래했다.[6]

핑크스파이더스는 "분홍색 거미"를 뜻하며 부드럽고 유연하면서도 유비무환의 자세로 끊임없이 준비하고 노력하는 팀을 의미한다. 소재가 된 열대/아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타란튤라(Tarantula)"라는 거미는 과학적 분석력과 빠른 결단력으로 어떤 돌발 상황에도 순간적인 판단력을 통해 재빨리 행동할 수 있는 특징을 지녔다. 출처

팀 약칭은 흥국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별명이기도 하다. 그 외의 별명은 보험, 코털생명 등이 있으며 멸칭으로는 망국, 망국생명, 조작생명, 오픈생명 등이 있다. 한 글자로 줄여 부를 때는 대부분 이라 부른다. 현대건설의 '현건'이나 기업은행의 '기은', 그리고 도로공사의 '도공'처럼 앞자들만 따서 이 팀도 '흥생'이라는 약칭을 쓸 법도 하지만 이렇게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일본 V.리그의 자매구단은 JT 마블러스이다.[7]

2.1. 역대 로고와 엠블럼[편집]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엠블럼 변천

파일: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2005).png

파일:PinkSpiders_Logo.png
2005~2009년
2009~2013년
2013년~현재

2.2. 역대 마스코트[편집]


파일:20131021101937.gif

창단부터 2009년까지 사용한 타란튤라

파일:흥국생명_타란튤라 거미.gif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사용한 타란튤라
위의 핑크색 타란튤라 거미는 프로배구 출범 이후부터 구단 엠블렘에 존재했으나, 2007-08시즌부터 본격적으로 유니폼에까지 등장하기 시작했다. 위치는 주로 바지의 뒷면(...) 시즌마다 그 위치가 조금씩 바뀌긴 했으나 꾸준히 존재감을 알렸다. 2013년부턴 캐릭터라기보단 단순화된 작은 거미 아이콘으로 변경되더니, 2018년부턴 아예 그 자취를 감췄다. [18-19시즌]

파일: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_핑커.png
파일: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_핑키.png
2020년 공개된 핑커핑키

3. 역사[편집]



3.1. 창단부터 실업시절까지[편집]


파일:535214_81144_3608.jpg
1966년 전국대회에서 우승한 동일방직 여자배구단[8]

흥국생명의 공식 창단은 1971년 태광산업 여자배구단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보지만, 실제로는 전신팀이라 할 수 있는 동양방직 남녀배구단[9]이 창단한 1963년으로 볼 수 있다. 태광산업은 1971년 인천에 있다가 해체하는 동일방직 여자배구단을 그대로 인수해 창단했기 때문에 동양방직-동일방직 여자배구단까지 역사를 치면 여자 배구 팀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팀들 중 하나이다.[10] 1991년에 흥국생명이 구단 운영을 하기 시작하여 흥국생명 여자배구단으로 명칭을 바꾸게 된다.

여자배구팀 중에 오래된 팀이라는 것과는 관계없이 2005년 V-리그가 출범하기 전까지 존재감이 없는 구단이었다. 대통령배-슈퍼리그에서 가장 좋았던 성적이 1994 시즌 3위일 정도. 다만 효성이나 후지필름처럼 참가의 의의를 둔 팀 정도까진 아니였던게, 전국체육대회나 종별선수권대회에서 간간히 뜬금 우승을 할 정도의 전력은 유지했었다. 참고로 과거 실업시절 전국체전에 출전할 때는 과거 태광산업의 본사가 부산광역시에 있었다는 이유로[11] 부산광역시 대표로 출전했었다.

어쨌든 모기업 태광그룹이 넉넉치는 않지만 꾸준하게 지원을 했고, 몇 번의 해체설이 나도는 가운데서도 IMF를 지나서도 현재까지 별 탈 없이 구단을 운영했다. 1990년대 후반에 그리 눈에 띄는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이 팀의 간판 남순옥(센터), 정은선(레프트), 황명화(센터), 강미선(세터)[12], 양숙경(레프트-라이트), 구기란(리베로)이 가끔 국가대표로 뽑히기도 했다.[13] 그리고 인터넷 초창기인 1990년대 말과 2000년대 초반에 인터넷 카페를 중심으로 한 팬클럽이 가장 활성화된 팀이기도 했다. 그렇게 실업시대가 흘러갔다.


3.2. V-리그 출범 이후[편집]


파일:image_stream.jpg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V-리그 출범 이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 대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 문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번 문단을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V-리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선수단[편집]


}}} ||

[ 펼치기 / 접기 ]

||<tablebgcolor=#e5007f><tablewidth=100%><width=20%> 코칭스태프 ||<colbgcolor=#ffffff,#191919>
감독
아본단자
코치
김대경 · 최지완 · 박건휘 · 파룩
스태프
여재기 · 이택규 · 이주현 · 이상화 · 정경훈 · 김태희 · 고윤성 · 이반 ||
|| 아웃사이드 히터 ||1 김다은 · 10 김연경 · 12 정윤주 · 16 양태원 · 17 레이나 · 19 김미연
C
||
|| 아포짓 스파이커 ||13 옐레나 · 14 박현주 ||
|| 미들 블로커 ||4 이주아 · 6 변지수 · 7 김나희 · 11 김수지 · 15 김채연 ||
|| 세터 ||3 박혜진 · 9 박은서 · 18 김다솔 · 21 서채현 · 23 이원정 ||
|| 리베로 ||2 홍다비 · 5 김해란 · 8 도수빈 · 20 박수연 ||
||<-2><bgcolor=#ffffff,#1f2023> 타 V-리그 여자부 구단 명단 ||




5. 응원단[편집]


2021-22 시즌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응원단
응원단장
이범형[14]
장내 아나운서
김종덕
치어리더
김새별, 김송은, 김연정, 김유나, 박세아, 박소영, 박재령, 서유림, 이소림, 이미래, 이연진, 이지원, 홍재연

6. 역대 성적[편집]


­
우승
­
준우승
­
포스트시즌 진출

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연도
순위/팀숫자
포스트시즌
경기수


승점
천안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05
5/5
5위
30
3
13

05-06
1/5
우승
28
17
11

06-07
1/5
우승
24
20
4

07-08
1/5
준우승
28
24
4

08-09
3/5
우승
28
16
12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09-10
4/5
4위
28
8
20

10-11
3/5
준우승
24
13
11

11-12
5/6
5위
30
13
17
41
12-13
5/6
5위
30
6
24
22
13-14
6/6
6위
30
7
23
19
14-15
4/6
4위
30
15
15
45
15-16
3/6
3위
30
18
12
48
16-17
1/6
준우승
30
20
10
59
17-18
6/6
6위
30
8
22
26
18-19
1/6
우승
30
21
9
62
19-20
3/6
3위[15]
27
14
13
48
20-21
2/6
준우승
30
19
11
56
21-22
6/7
6위[16]
30
9
21
28

7. 역대 스쿼드[편집]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역대 스쿼드

2005-06시즌
번호
국적
이름
포지션
신장
생년월일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진혜지
레프트
183cm
1982년 6월 6일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수정
세터
172cm
1984년 2월 14일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연주
라이트
177cm
1986년 8월 13일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효진
센터
178cm
1985년 1월 12일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기란
리베로
170cm
1977년 3월 10일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민정
센터
183cm
1985년 8월 12일
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현정
레프트
177cm
1986년 12월 20일
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경
레프트
192cm
1988년 2월 26일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수현
레프트
176cm
1983년 6월 8일
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영주
세터
176cm
1980년 9월 24일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태솔
센터
180cm
1986년 4월 12일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여림
센터
181cm
1986년 7월 27일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난연
레프트
165cm
1986년 9월 26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현주 | 김철용


2006-07시즌
번호
국적
이름
포지션
신장
생년월일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연주
라이트
177cm
1986년 8월 13일
6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티 윌킨스
레프트
193cm
1982년 5월 10일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기란
리베로
170cm
1977년 3월 10일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민정
센터
183cm
1985년 8월 12일
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현정
레프트
177cm
1986년 12월 20일
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경
레프트
192cm
1988년 2월 26일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수현
레프트
176cm
1983년 6월 8일
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영주
세터
176cm
1980년 9월 24일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태솔
센터
180cm
1986년 4월 12일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상희
리베로
171cm
1988년 4월 17일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효진
센터
178cm
1985년 1월 12일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난연
레프트
165cm
1986년 9월 26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현주


2018-19시즌
번호
국적
이름
포지션
신장
생년월일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연경
레프트
176cm
1994년 3월 9일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은서
세터
174cm
2000년 9월 4일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아
센터
185cm
2000년 8월 21일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해란
리베로
168cm
1984년 3월 16일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남은빈
리베로
169cm
2000년 11월 1일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나희
센터
180cm
1989년 2월 17일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도수빈
리베로
166cm
1998년 6월 21일
11
파일:폴란드 국기.svg
베레니카 톰시아
라이트
189cm
1988년 3월 18일
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공윤희
레프트
179cm
1995년 3월 12일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세영
센터
190cm
1981년 6월 4일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송화
세터
177cm
1993년 3월 12일
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채연
센터
184cm
1999년 12월 11일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한비
레프트
177cm
1996년 10월 28일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영
레프트
178cm
1996년 10월 15일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솔
세터
172cm
1997년 4월 14일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미연
레프트
177cm
1993년 3월 5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미희


2019-20시즌
번호
국적
이름
포지션
신장
생년월일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은
라이트
180cm
2001년 1월 25일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유안
레프트
178cm
2000년 7월 6일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연경
레프트
176cm
1994년 3월 9일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아
센터
185cm
2000년 8월 21일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해란
리베로
168cm
1984년 3월 16일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남은빈
리베로
169cm
2000년 11월 1일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나희
센터
180cm
1989년 2월 17일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도수빈
리베로
166cm
1998년 6월 21일
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은서
세터
174cm
2000년 9월 4일
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현주
레프트
176cm
2001년 6월 25일
1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루시아 프레스코
라이트
195cm
1991년 5월 1일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세영
센터
190cm
1981년 6월 4일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송화
세터
177cm
1993년 3월 12일
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채연
센터
184cm
1999년 12월 11일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한비
레프트
177cm
1996년 10월 28일
1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재영
레프트
178cm
1996년 10월 15일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솔
세터
172cm
1997년 4월 14일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미연
레프트
177cm
1993년 3월 5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미희


2020-21시즌
번호
국적
이름
포지션
신장
생년월일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은
라이트
180cm
2001년 1월 25일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무린
레프트
167cm
2001년 5월 29일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혜진
세터
177cm
2002년 4월 15일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주아
센터
185cm
2000년 8월 21일
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상미
리베로
166cm
1994년 4월 27일
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남은빈
리베로
169cm
2000년 11월 1일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나희
센터
180cm
1989년 2월 17일
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도수빈
리베로
166cm
1998년 6월 21일
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은서
세터
174cm
2000년 9월 4일
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경
레프트
192cm
1988년 2월 26일
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세영
센터
190cm
1981년 6월 4일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현주
레프트
176cm
2001년 6월 25일
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채연
센터
184cm
1999년 12월 11일
1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한비
레프트
177cm
1996년 10월 28일
1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다솔
세터
172cm
1997년 4월 14일
1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미연
레프트
177cm
1993년 3월 5일
20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루나 모라이스
라이트
192cm
1999년 9월 13일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미희



8. 역대 감독[편집]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 [[틀: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역대 감독|{{{#ffffff 역대 감독}}}]]}}}
{{{-3 {{{#ffffff
(V-리그 출범 이후, 천안 시절 포함)}}}}}}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2대
3대
4대
5대
황현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2006)
김철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황현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8)

이승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어창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2010)

5대
6대
7대
8대
감독 대행
반다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

반다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0~2011)

차해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2013)
감독 대행
신동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류화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9대
10대
11대
박미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2022)

권순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2023)
감독 대행
이영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감독 대행
김대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아본단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23~ )

: 챔피언 결정전 우승 / : 챔피언 결정전 준우승




순번
이름
재임 기간
비고
1대
박승수
1971년 ~ 1973년

2대
백대명
1973년

3대
전호관
1973년 ~ 1976년

4대
오재월
1976년 ~ 1979년

5대
석학수
1979년 ~ 1980년

6대
송세영
1980년 ~ 1983년

7대
이동련
1983년 ~ 1986년

8대
김형실
1986년 ~ 1989년

9대
조배호
1989년 ~ 1992년

10대
이임
1992년 ~ 2000년

대행
정용하
2000년 ~ 2001년[17]

11대
이정철
2001년 ~ 2003년

12대
황현주
2003년 ~ 2006년
05-06 시즌 중 경질[18]
13대
김철용
2006년
V1
05-06 시즌 중 선임, 06-07 시즌 시작 전 경질[19]
14대
황현주
2006년 ~ 2008년
V2
08-09 시즌 중 경질[20]
15대
이승현
2009년
08-09 시즌 중 사임[21]
16대
어창선
2009년 ~ 2010년
V3
08-09 시즌 대행 후 선임, 09-10 시즌 중 사임[22]
17대
반다이라 마모루
2010년 ~ 2011년
구단 최초 외국인 감독[23]
09-10 시즌 대행 후 선임, 10-11 시즌 후 사임
18대
차해원
2011년 ~ 2013년
12-13 시즌 중 계약 해지
대행
신동연
2012년 - 2013년
시즌 중 감독 입원으로 수석코치가 감독대행
19대
류화석
2013년 ~2014년

20대
박미희
2014년 ~ 2022년
구단 최초 여성 감독
V4 & 여성 감독 최초 통합우승
21대
권순찬
2022년 ~


  • 이미 위에서 상술한 내용이지만 감독 교체가 유난히 잦은 팀이다. 당시 프런트가 워낙 개판이었던 걸로 악명이 높았으며, 황현주 감독은 이 팀에서만 두 번이나 팽을 당했다. 05-06 시즌에 황현주/김철용, 06-07 시즌 전에 김철용/황현주 교체가 일어났고, 거기에 더해 08-09, 09-10 두 시즌 동안 5명의 감독/대행을 거치며 흥국생명은 감독들의 무덤으로 불리기도 했다. 09-10 시즌을 저조하게 보낸 이후 10-11 시즌에는 반다이라 감독이 계속 자리를 지키며 코칭스탭 안정을 찾고 준우승을 했지만 다시 가족문제로 사임한다. 이후 2012-13 시즌에는 차해원 감독 교통사고로 수석코치로 있던 신동연 코치가 대행으로 시즌을 마무리했는데, 성적도 부진했던 차해원 감독은 계약을 연장하지 못해 퇴원후에도 벤치에 복귀하지 못했다. 이후 총감독으로 있던 류화석 감독이 직접 한 시즌을 맡으며 계속 저조한 성적을 이어가다가 새로 섭외한 박미희 감독이 오랫동안 팀을 맡는다. 박미희 감독의 임기 8년은 90년대의 이임 감독과 함께 흥국생명 50년이 넘는 역사상 가장 오래 재임한 기록이다.

9. 역대 주장[편집]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 [[틀: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역대 주장|{{{#ffffff 역대 주장}}}]]}}} (프로화 이후)
}}} ||

[ 펼치기 / 접기 ]
2005~2007
2007~2009
2009~2010
2010~2013
2013~2017
이영주
이효희
한송이 황연주
김사니
김나희
2017~2020
2020~2021
2021~현재


김해란
김미연 김연경
김미연






10. 역대 외국인 선수[편집]


시즌
등번호
이름
등록명
포지션
국적
2006-07
6번
케이티 윌킨스
윌킨스
레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2007-08
11번
마리 헬렌
마리
파일:브라질 국기.svg
2008-09
11번
카리나 오카시오
카리나
파일: 푸에르토리코 기.svg
2009-10
2010-11
5번
미아 예르코프
미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2011-12
2012-13
12번
휘트니 도스티
휘트니
파일:미국 국기.svg
2013-14
16번
엘리사 바실레바
바실레바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2014-15
9번
레이첼 루크
루크
라이트
파일:호주 국기.svg
2015-16
13번
테일러 심슨
테일러
레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2번
알렉시스 올가드
알렉시스
센터
2016-17
9번
타비 러브
러브
라이트
파일:캐나다 국기.svg
2017-18
테일러 심슨
심슨
레프트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나 킥카 미카일렌코
크리스티나
라이트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2018-19
11번
베레니카 톰시아
톰시아
레프트, 라이트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20
12번
줄리아 파스구치
파스구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루시아 프레스코
루시아
라이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0-21
루시아 프레스코
루시아
라이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번
브루나 모라이스
브루나
라이트
파일:브라질 국기.svg
2021-22
12번
캐서린 벨
캣 벨
라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2022-23

옐레나 므라제노비치
옐레나
라이트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11. 역대 수상[편집]



11.1. V-리그 챔피언결정전[편집]


파일:PinkSpiders_Logo.png
★★★★
파일:챔결_흥국생명_V1.jpg
파일:챔결_흥국생명_V2.jpg
파일:챔결_흥국생명_V3.jpg
V1, V2, V3 MVP 김연경
파일:챔결_흥국생명_V4.jpg
V4 MVP 이재영

역대 챔피언결정전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
이름
포지션
결과
개인 성적
비고
2005-06
김연경
레프트
3승 2패
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2위, 디그 4위, 리시브 2위
통합 MVP
2006-07
3승 1패
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2위, 디그 2위, 리시브 2위
통합 MVP
2008-09
3승 1패
득점 3위, 공격 1위, 서브 2위, 디그 1위, 리시브 1위

2018-19
이재영
3승 1패
득점 2위, 공격 3위, 서브 2위, 디그 4위, 리시브 4위
통합 MVP
※ 개인 성적은 챔피언결정전의 선수 순위를 참고해 각 부분별 순위 당 전체 5위 내에 든 경우만 기재한다.
※ 공격 부분의 세부 항목(예: 오픈공격)은 기재하지 않는다.



역대 우승감독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
이름
취임연도
정규 승률
챔결 승률
비고
2005-06
김철용
2006년
0.607
0.600
통합우승[1]
2006-07
황현주
2006년
0.833
0.750
통합우승
2008-09
어창선
2009년
0.571
0.750
[2]
2018-19
박미희
2014년
0.700
0.519
통합우승


11.2. V-리그[편집]


역대 정규리그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
이름
포지션
개인 성적
비고
2005-06
김연경
레프트
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1위, 디그 12위
통합 MVP
2006-07
득점 2위, 공격 1위, 서브 2위, 디그 10위, 리시브 4위
통합 MVP
2007-08
득점 2위, 공격 1위, 서브 3위, 디그 10위, 리시브 4위

2016-17
이재영
득점 6위, 공격 8위, 서브 8위, 리시브 1위

2018-19
득점 2위, 공격 7위, 서브 18위, 디그 7위, 리시브 11위
통합 MVP
2020-21
김연경
레프트
득점 6위, 공격 1위, 서브 1위, 디그 5위, 리시브 12위



역대 신인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
이름
포지션
개인 성적
드래프트 순위
출신 학교
2005
황연주
라이트
득점 230점, 경기당 17.69점
1라운드 2순위
한일전산여고
2005-06
김연경
레프트
득점 756점, 경기당 27.00점
1라운드 1순위
2014-15
이재영
득점 374점, 경기당 13.85점
1라운드 1순위
선명여고
2017-18
김채연
센터
득점 109점, 경기당 3.89점
1라운드 5순위
수원전산여고
2019-20
박현주
레프트
득점 103점, 경기당 4.12점
2라운드 1순위
중앙여고
※ 공격수인 경우 정규시즌의 총득점과 경기당 평균 득점을 기재한다.
※ 공격수가 아닐 경우 해당 포지션의 상세 성적을 기재한다.(예: 세터-세트)



역대 기록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
이름
포지션/부문
기록 상세
비고
2005
황연주
라이트/백어택상
후위공격 성공률 29.94%

라이트/서브상
서브 세트당 0.31
기록상 2관왕
2005-06
김연경
레프트/득점상
총득점 756점

레프트/공격상
공격 성공률 39.68%

레프트/서브상
서브 세트당 0.41
기록상 3관왕
2006-07
레프트/공격상
공격 성공률 45.07%
공격상 통산 2회
황연주
라이트/서브상
서브 세트당 0.36
서브상 통산 2회
이영주
세터/세터상
세트 세트당 11.56

2007-08
김연경
레프트/공격상
공격 성공률 47.59%
공격상 통산 3회
이효희
세터/세터상
세트 세트당 10.83
세터상 통산 2회
2008-09
김연경
레프트/서브상
서브 세트당 0.37
서브상 통산 2회
이효희
세터/세터상
세트 세트당 11.87
세터상 통산 3회


역대 베스트7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
이름
포지션
포지션 기록
비고
2015-16
이재영
레프트
리시브 3위, 득점 7위, 공격 9위, 서브 5위

2016-17
리시브 1위, 득점 6위, 공격 8위, 서브 8위
베스트7 통산 2회
김수지
센터
블로킹 4위, 득점 15위, 서브 18위

조송화
세터
세트 1위

한지현
리베로
수비 1위

2017-18
이재영
레프트
리시브 2위, 득점 5위, 공격 10위, 서브 10위
베스트7 통산 3회
2018-19
톰시아
라이트
득점 3위, 공격 4위, 서브 12위

이재영
레프트
리시브 11위, 득점 2위, 공격 7위, 서브 18위
베스트7 통산 4회
2019-20
리시브 5위, 득점 5위, 공격 4위, 서브 X
베스트7 통산 5회
2020-21
김연경
득점 6위, 공격 1위, 서브 1위, 디그 5위, 리시브 12위



역대 월간/라운드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시즌
월/라운드
이름
포지션
팀 성적
개인 성적[1]
2005-06
12월
김연경
레프트
7승 2패
알 수 없음
1월
황연주
라이트
5승 4패
2006-07
1월
김연경
레프트
7승 1패
2007-08
12월
7승 1패
2008-09
2라운드
카리나
라이트
3승 1패
득점 1위, 공격 3위, 서브 1위, 블로킹 3위
3라운드
김연경
레프트
3승 1패
득점 5위, 공격 1위, 서브 5위, 리시브 3위
2011-12
3라운드
김사니
세터
3승 1패
세트 2위, 디그 5위
2014-15
6라운드
이재영
레프트
3승 2패
득점 7위, 공격 5위, 서브 1위, 리시브 5위
2015-16
1라운드
4승 1패
득점 6위, 공격 3위, 서브 1위, 디그 9위, 리시브 6위
2016-17
2라운드
4승 1패
득점 6위, 공격 5위, 서브 8위, 디그 7위, 리시브 1위
2018-19
3라운드
4승 1패
득점 2위, 공격 6위, 디그 10위, 리시브 8위
6라운드
4승 1패
득점 3위, 공격 7위, 디그 9위
2020-21
1라운드
김연경
5승
득점 5위, 공격 5위, 서브 1위, 디그 6위
4라운드
이재영
5승
득점 3위, 공격 3위, 서브 1위, 리시브 3위


기타 수상
2009-10
페어플레이상
황연주
2010-11
베스트세러머니상
김사니
베스트드레서상
한송이
2013-14
페어플레이상
김혜진

11.3. V-리그 올스타전[편집]


역대 올스타전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
이름
포지션
결과
성적
비고
2007
황연주
라이트
2:1 승
13득, 공성 47.06%

2019
이재영
레프트
2:1 승
5득, 공성 18.75%



역대 올스타전 기타 수상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
이름
포지션
부문
비고
2006
김연경
레프트
스파이크서브 퀸
속도 78km/h
2007
윌킨스
라이트
속도 92km/h
2009
카리나
속도 94km/h
2010
김혜진
센터
세러모니상

2012
미아
라이트

2013
김혜진
센터

2014
바실레바
라이트



11.4. KOVO컵[편집]


역대 KOVO컵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
이름
포지션
성적
비고
2010
김연경
레프트
결승전 득점 1위, 공격 1위, 서브 1위



역대 KOVO컵 MI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
이름
포지션
성적
비고
2020
김연경
레프트




역대 KOVO컵 라이징 스타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
이름
포지션
성적
비고
2020
이주아
센터




11.5. 한·일 V리그 TOP매치[편집]


역대 한·일 V리그 TOP매치 MVP 기록
[ 펼치기 · 접기 ]
연도
이름
포지션
성적
비고
2009
김연경
레프트
알 수 없음



12. 역대 등번호[편집]


  • 프로화 이후만 기재한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등번호
역대 선수 목록
현재 선수
1
진혜지(2005.12~2007) - 배효진(2010~2011) - 정시영(2011~2018) - 신연경(2018~2019)
김다은(2019~)
2
박지원(2011~2013) - 알렉시스 올가드(2015~2016) - 이호빈(2016~2018) - 이유안(2019~2020) - 현무린(2020~2021) - 전현경(2021)

3
이수정(2005~2006) - 우주리(2011~2015) - 신연경(2015~2018) - 박은서(2018~2019) - 신연경(2019~2020)
박혜진(2020~)
4
황연주(2005~2010) - 김사니(2010~2013) - 임해정(2015~2018)
이주아(2018~)
5
박수경(2005) - 이효희(2007~2010) - 미아 예르코프(2010~2012) - 나혜원(2012~2013) - 한지현(2013~2017) - 김해란(2017~2020) - 박상미(2020~2021)
김해란(2021~)
6
주미경(2005) - 최효진(2005.12~2006) - 윌킨스(2006~2007) - 주예나(2008~2016) - 한지현(2017~2018) - 남은빈(2018~2021)
변지수(2021~)
7
구기란(2005~2007)
김나희(2008~)
8
전민정(2005~2012) - 김혜선(2012~2017)
도수빈(2018~)
9
이현정(2005.12~2008) - 김지애(2008~2011) - 정민정(2012~2014) - 레이첼 루크(2014~2015) - 타비 러브(2016~2017) - 테일러 쿡(2017~2018)
박은서(2019~)
10
우승민(2005) - 김연경(2005.12~2009, 2020~2021, 2022~)
김연경(2022~)
11
윤수현(2005~2007) - 마리 헬렌(2007~2008) - 카리나 오카시오(2008~2010) - 김유리(2011~2012) - 윤혜숙(2013~2014) - 김수지(2014~2017) - 베레니카 톰시아(2018~2019) - 줄리아 파스구치(2019) - 박현주(2019~2020) - 이다영(2020~2021)
박현주(2021~)
12
이영주(2005~2007) - 태솔(2007~2008) - 한송이(2008~2011) - 휘트니 도스티(2012~2013) - 공윤희(2013~2019) - 루시아 프레스코(2019~2020) - 캐서린 벨(2021~2022)

13
태솔(2005~2007) - 김나희(2007~2008) - 태솔(2008~2010) - 박성희(2011~2014) - 테일러 쿡(2015~2016) - 황현정(2017~2018) - 김세영(2018~2021) - 최윤이(2021)

14
이여림(2005~2006) - 조상희(2006~2010) - 나혜원(2011~2012) - 조송화(2012~2020) - 박현주(2020~2021)
정윤주(2021~)
15
우주리(2007~2008) - 김혜선(2009~2012) - 조영은(2012~2014) - 이수정(2015~2016)
김채연(2018~)
16
최효진(2005) - 조난연(2005.12~2006) - 최효진(2006~2007) - 전유리(2007~2012) - 한지현(2012~2013) - 엘리사 바실레바(2013~2014) - 이한비(2015~2021)
박상미(2021~)
17
조난연(2006~2008) - 우주리(2008~2011) - 이진화(2012~2014) - 이재영(2014~2021) - 현무린(2022)

18

김다솔(2015~)[24]
19
유서연(2016~2017) - 김채연(2017~2018)
김미연(2018~)
20
정유리(2014~2015) - 남지연(2017~2018) - 브루나 모라이스(2021)
박수연(2021~)
  • 2020년 기준으로 프로 출범 이후 구단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한 사람에게 배정된 번호는 7번이다. 2007년 입단한 김나희가 13시즌째 7번을 달고 있다.

  • 김연경이 2009년 JT 마블러스로 해외 진출을 하게 되자 구단에서 그의 등번호 10번을 임시 결번 처리했다. 그래서 그가 2020년 흥국생명으로 복귀할 때까지 10번은 쭉 공석이었다.[25]

13. 역대 트리플 크라운[편집]


통산
선수
시즌
경기 날짜
상대팀
득점
1호
황연주
2005-2006
2006년 1월 7일
현대건설
34점 (후위 8 서브 3 블로킹 3)
2호
김연경
2005-2006
2006년 2월 3일
GS칼텍스
43점 (후위 10 서브 4 블로킹 3)
3호
윌킨스
2005-2006
2007년 2월 10일
현대건설
27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4)
4호
2005-2006
2007년 2월 11일
KT&G
26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5)
5호
2005-2006
2007년 3월 25일
현대건설
22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4)
6호
황연주
2007-2008
2007년 12월 1일
KT&G
30점 (후위 5 서브 3 블로킹 3)
8호
김연경
2007-2008
2007년 12월 9일
도로공사
27점 (후위 5 서브 4 블로킹 3)
10호
카리나
2008-2009
2008년 11월 22일
KT&G
18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7)
13호
2008-2009
2008년 12월 17일
GS칼텍스
30점 (후위 6 서브 3 블로킹 3)
14호
황연주
2008-2009
2009년 1월 10일
KT&G
15점 (후위 5 서브 3 블로킹 3)
15호
김연경
2008-2009
2009년 1월 29일
현대건설
30점 (후위 3 서브 3 블로킹 4)
25호
휘트니
2012-2013
2012년 11월 4일
기업은행
44점 (후위 9 서브 4 블로킹 4)
31호
2012-2013
2013년 2월 6일
도로공사
37점 (후위 7 서브 6 블로킹 5)
43호
바실레바
2013-2014
2014년 3월 11일
도로공사
46점 (후위 13 서브 3 블로킹 6)
48호
루크
2014-2015
2014년 11월 29일
GS칼텍스
40점 (후위 15 서브 3 블로킹 3)
61호
이재영
2019-2020
2020년 2월 20일
인삼공사
26점 (후위 5 서브 3 블로킹 4)

14. 역대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역대 홈구장[편집]


남자부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와 홈구장을 같이 썼지만 경기 입장수익을 현대캐피탈 측이 싹쓸이하는 바람에 갈등이 깊어졌고[26] 결국 국민은행 여자농구단과 함께 천안에서 쫓겨났다.
천안에서 퇴거 조치된 후 인천광역시로 연고지를 이전했고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와 홈구장을 같이 쓰게 됐다. 인천에 와서도 남자부 구단과 동거하게 됐지만 입장수익 부분에서는 대승적 합의를 본 모양인지[27] 큰 갈등 없이 동거를 이어갔다.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을 계기로 건립된 새 경기장으로 옮겼다. 다만 계양체육관에 입주할 때도 경기장 사용 우선권은 대한항공이 쥐고 있었다.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가 전자랜드 농구단을 인수한 후 연고지를 대구광역시로 옮기면서 삼산체육관이 공실이 되어, 계양체육관보다 교통편이 좋다고 생각한 흥국생명 구단 측이 스스로 홈구장을 옮기게 됐다.

16. 비판 및 사건사고[편집]


프로배구 구단 중에서 손 꼽히는 역대급 사건사고를 자랑한다. 약물도핑부터 승부조작, 이적갈등, 방역위반, 거짓언플, 선수갑질, 학폭사태 등 별도 사건사고 문서 뿐 아니라 워낙 굵직한 논란이 많아서 하위 문서도 줄줄히 생성되어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비판 및 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7. 이모저모[편집]


  • 대통령배-슈퍼리그 실업시절 동안 중하위권을 전전하고 특히 2005년 바닥까지 찍다보니 붙여진 별명이 미녀군단이였다. 선수들의 출중한 외모에 비해 실력이 너무 딸린다는(...) 점을 비꼬아서 붙여진 별명. 그러나 2005-06 시즌 슈퍼루키 김연경의 가세로 바로 통합우승을 차지하게 되고 강팀으로 거듭난 후에는 긍정적인 별명으로 바뀌었다. 구단 팀컬러를 핑크색으로 정하고 이름도 '핑크스파이더스'로 바꾸면서, 여성스러운 팀 이미지와 맞아떨어져 아예 구단 차원에서 밀었던 슬로건이 최강 미녀군단 흥국생명일 정도. 7공주 기믹도 이때 시작되었는데, 구기란, 이영주, 진혜지, 윤수현, 전민정, 황연주, 김연경을 합치면 7공주가 된다. 그래서인지 프로 출범 이후 지금처럼 여배 인기가 올라가기 전부터 화장에 가장 신경을 쓰고 나오는 전통(?)이 있다.

  • 프로출범 초창기에는 호성적과 공격적인 마케팅 등이 맞물려 자타공인 V-리그 여자부 최고 인기팀이었다. 그러다보니 팬숫자가 많아 다른 팀팬들과 마찰도 심했는데, 2005-06 시즌 챔피언결정전에서 맞붙었던 도로공사[28], 2007-08, 2008-09 시즌 챔피언결정전에서 번갈아가면서 우승한 GS칼텍스와 라이벌리가 극심했다.[29] 이후 이러한 갈등의 감정이 옅어지나 싶었지만 2018년에 들어서 이재영 vs 박정아 라이벌 구도와 이재영 vs 이소영/강소휘 구도로 반복되는 양상.

  • 무능 프런트 아니랄까봐 마케팅도 부실하기 짝이 없다. 똑같이 철밥통 소리듣는 인삼공사는 모기업 홍보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해서 의외로 마케팅은 열심히 하는 편이고, 도로공사도 연고지 팬들에게는 충실한데 여기는 성적만 잘 내면 장땡이라고 보는지 정말 최소한의 홍보만 한다. 이는 20-21시즌에 인기선수를 대거 영입해놓고도 변함없어서 팬들에게 욕을 먹었다. 하지만 불화 사건이 터지면서 안할 만했다고 재평가가 되기도 했다


  • 이휘재가 팬이였다. 실제로 2007-08 ~ 2008-09 시즌에 경기장을 찾은 모습이 카메라에 자주 포착되었다. 2009년 기사에 따르면 김연경과도 친분이 있던것으로 보인다. # 현재까지도 팬인지는 불명.
파일:이휘재 흥국생명.jpg

  • 핑크스파이더스라는 이름이 절대 아깝지 않다. 숙소에서 거미가 나타나기 때문.



18. 둘러보기[편집]





19. 관련 문서[편집]


[1] 구단 측이 밀어주는 이름이자 경기장에 설치된 각종 설치물에 표기된 구단명은 흥국생명배구단 핑크스파이더스이다. 현재는 잘 볼 수 없는 구단명 구조이지만 과거에는 두산프로야구단 OB 베어스럭키금성프로야구단 LG 트윈스 등의 형태로 구단명이 등장했던 시절이 있었다.[2] 하지만 KOVO에 등록된 팀명과 중계방송시에 캐스터들이 언급하는 팀명은 연고지명인 인천을 포함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가 맞다. 그럼에도 여전히 구단 측이 제작한 공식 홍보물 어디에도 '인천'이라는 표기는 없다, 더군다나 같이 인천이 연고지인 대한항공이 팀명부터 경기장 설치물 그리고 작전역에도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프로배구단”이라고 크게 표기해 홍보해서 비교의 대상이 되고 심지어 선수들 마저 SNS 자기소개에 영어로 인천까지 포함시켜 등록해놨는데도 개선의지가 없다. 다른 인천 연고지팀들이 인천을 강조하는 응원,홍보를 잘해서 더 비교된다. 그럼 제발 고쳐 다른 여자부 5개팀들을 포함해 대한항공에 비교해서 흥국생명 프런트가 연고지에 관심이 없다는걸 알려주는 대목.[3] 전신인 동양방직 남녀배구단의 창단 연도 포함 시.[4] 인스타그램에 비해 업데이트 속도가 더디다. 시즌 초반에만 조금 올리고 없는 편.[5] 역대 최고 성적 - 3위 : 2회(1994, 1998) [6] 다만 2017년을 마지막으로 타란튤라 거미는 유니폼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팀 로고에도 이름으로만 남아있을뿐.[7] 프로 출범 초기에는 일본에서 훈련과 연습경기를 가지는 등 교류가 활발했다. 그리고 2009년 팀의 슈퍼스타였던 김연경의 첫 번째 해외 진출 구단도 이 팀이었다. 대외적으론 김연경의 이적과 자매구단 여부는 큰 관계가 없다고 하지만, 김연경을 탐냈던 일본 리그의 4개 팀 중 굳이 최하위인 JT로 임대로 보내진건 자매구단이라서가 중론이다.[18-19시즌] 리뉴얼 된 유니폼 바지 뒷면에 아이콘 프린팅으로 재등장하였다[8] [인천일보 연중기획] 38년만에 돌아온 '거미군단' 인천배구 도약 '강스파이크'[9] 훗날 동일방직으로 개명하며, 남자배구단은 해체된다.[10] GS칼텍스은 1970년 창단하면서 1965년에 대전방직으로 창단해 경성방직으로 이어져 오던 구단을 인수했다. 비슷하게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도 1977년 창단하면서 1963년 창단해 1977년 해산한 한국산업은행 여자배구단을 인수했다.[11] 현재도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에 태광산업 공장과 흥국금융플라자가 있다.[12] 현재 세화여자고등학교 배구부 총감독.[13] 그 중에서도 구기란은 '여자부의 이호'급의 선수로 2002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리베로 부문 최고선수상을 받기도 했다.[14] 이범형 단장이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 응원으로 자리를 비울 경우 한재권 응원단장이 대타로 나선다.[15]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 및 플레이오프 미개최로 인해 5라운드 순위 기준으로 3위를 확정지었다. 다만 시즌 우승팀은 없다.[16] 코로나19로 인한 시즌 조기 종료 및 플레이오프 미개최로 인해 5라운드 순위 기준으로 6위가 되었다.[17] 89-90 시즌 조배호감독 시절 코치로 임용되어 이임감독 시절까지 10년이상 재직. 성적부진으로 이임감독이 총감독으로 사실상 경질된 이후 대행으로 한시즌. [18] 같은 계열 재단 세화여고 감독으로 이동[19] 종교갈등등으로 인한 선수단 반발로 팀성적과 관계없이 해임[20] 시즌 후 현대건설 감독으로 선임[21] 같은 계열 재단 세화여고 감독이 시즌 중 선임되었으나 성적부진으로 2개월여만에 시즌도 끝내지 못하고 자진 사퇴. 한 시즌에 감독 2명이 바뀌고, 어창선 대행까지 3명의 감독이 있던 전무후무한 기록을 만들었다. 하지만 이 기록은 21-22 시즌 IBK 기업은행에 감독/대행이 4명 임명되면서 깨진다. [22] 04-05 시즌부터 코치로, 06-07 시즌부터 수석코치로 있다가 내부 승진.[23] 오랜 일본 실업팀 및 대표팀 코치경력 후 09-10 시즌 어창선 감독 체제의 수석코치로 부임했으나 어창선 감독의 갑작스런 사임 후 대행을 거쳐 시즌 후 감독으로 내부 승진. 10-11 시즌 후 2년간 별거했던 가족과 합치기 원한다며 사임. #. 계속 감독 대행이었다는 일부 오해가 있지만, 흥국생명 역사관에 정식 17대 감독으로 나와 있다. V-리그 최초의 외국인 감독[24] 2016-17 시즌까지는 개명 전 이름인 김도희.[25] 10번을 달라는 선수가 없지는 않았지만 구단이 못 쓰게 막았다. 2010년 오프시즌 KOVO컵 당시 김연경이 잠깐 귀국해 10번을 달고 뛴 것을 보면 김연경만 쓰게끔 봉인한 것이 맞다.[26] V리그 출범 당시 남녀 배구단의 연고지와 체육관이 같을 경우 남자 배구단이 입장수익을 가져간다는 원칙 조항이 있었다고 한다.[27] 흥국생명에 앞서 인천에 연고를 뒀던 GS칼텍스 배구단은 인천 홈경기 일부의 입장수익을 챙겨갔다고 한다.[28] 한송이-임유진 쌍포 vs 김연경-황연주 쌍포[29] 김민지-나혜원 쌍포 vs 김연경-황연주 쌍포. 그렇지만 정작 2007-08 GS칼텍스의 MVP는 정대영이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8 21:25:27에 나무위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0:20:23에 나무위키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