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준(독립운동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단장
김원봉
고문
김대지
황상규
단원
강세우
강인수
고인덕
곽재기
권정필
권준
김광추
김기득
김방우
김병현
김상옥
김상윤
김성숙
김시현
김익상
김지섭
김철호
나석주
남정각
박문희
박자혜
박재혁
박차정
박희광
배동선
배중세
배치문
서상락
송천흠
신악
신영삼
신채호
신철휴
오성륜변절
유자명
윤세주
윤치형
이구연
이병철
이병희
이성우
이수택
이육사
이종암
이태준
정이소
최수봉
황옥불확실
최용덕
한봉근
한봉인
홍가륵
공약 10조
① 천하의 정의의 사(事)를 맹렬히 실행하기로 함.
② 조선의 독립과 세계의 평등을 위하여 신명을 희생하기로 함.
③ 충의의 기백과 희생의 정신이 확고한 자라 함.
④ 단의(團義)에 선(先)히 하고 단원의 의(義)에 급히 함.
⑤ 의백(義伯) 1인을 선출하여 단체를 대표함.
⑥ 하시(何時) 하지(何地)에서나 매월 1차씩 사정을 보고함.
⑦ 하시 하지에서나 매 초회(招會)에 필응함.
⑧ 피사(被死)치 아니하여 단의에 진(盡)함.
⑨ 1이 9를 위하여 9가 1을 위하여 헌신함.
⑩ 단의에 배반한 자는 처살(處殺)함이다.

5파괴
조선총독부
동양척식회사
매일신보사
④ 각 경찰서
⑤ 기타 왜적 중요기관

7가살
조선총독 이하 고관
② 군부 수뇌
대만총독
④ 매국노
⑤ 친일파 거두
적탐(밀정)
⑦ 반민족적 토호열신(土豪劣紳)

조선혁명선언 황옥 경부 폭탄사건 이승만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이태준
李泰俊 | ᠯᠢ ᠲᠠᠢ ᠵᠢᠶᠦᠨ | И Тэ Жүн
[1]


파일:attachment/Daeam.jpg

출생
1883년 11월 21일
경상도 함안도호부 평관면 평광리
(現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 평광마을)[2]
사망
1921년 2월[3] (향년 38세)
대몽골국 니슬렐 후레(現 몽골 울란바토르)
묘소
몽골 울란바토르 이태준 기념공원
국립서울현충원 부부위패 7판-148호
본관
인천 이씨[4]

원일(元一)

대암(大岩)
부모
아버지 이질, 어머니 박평암
형제자매
2남 2녀 중 장남
배우자
순흥 안씨[5]
김은식
학력
세브란스의학교 (졸업)
종교
그리스도교 (개신교)
서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의료인 출신 독립유공자.

근현대 한몽관계 수립의 1등공신이라고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아내 김은식은 김규식의 사촌 누이이다.


2. 생애[편집]


1883년 11월 21일 경상도 함안도호부 평관면 평광리(현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 평광마을)에서 아버지 이질(李瓆, 1861 ~ ?. 2. 8.)과 어머니 경주 박씨(慶州 朴氏) 박평암(朴平岩, 1860 ~ ?. 3. 21.)[6] 사이의 2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1년 세브란스의학교를 졸업하여 의사가 되었으며 이때부터 안창호 선생과 친분을 쌓아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된다. 1914년 몽골에 가서 의료활동과 독립운동을 병행했다. 몽골 마지막 칸 복드 칸의 주치의였다고 하며,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 동의의국(同義醫局)을 세워 의료활동을 병행했다고 한다. 특히 당시 몽골인의 70%가 걸렸다던 성병 치료에 탁월했다고 한다. 그리고 1919년 당시 몽골 최고 훈장이었던 '에르데니인 오치르(ᠡᠷᠳᠡᠨᠢ ᠶᠢᠨ ᠸᠴᠢᠷ/Эрдэнийн Очир)'를 받았다고 한다.

동시에 개신교 선교 활동과 의열단에 가입하고[7]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자금 조달 등의 독립운동 중[8] 당시 몽골의 지배자였던 '미친 남작'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사병들에게 붙잡혔고, 1921년 2월 2일 결국 피살됐다.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으며 2000년에 몽골 울란바토르에 기념비를, 2001년에는 기념 공원이 몽골 정부와 연세대 의료원, 연세대 총동문회의 후원으로 세워졌다. 2017년 9월 29일에는 국립서울현충원에 그와 그의 부인 김은식을 기리는 부부위패가 봉안되었다.


3. 기타[편집]



  • 몽골 한인사회에서 이태준 선생의 뜻을 기리기 위한 대암장학회를 발족했다. 관련 기사.

파일:이태준기념관.jpg
  • 선생의 고향인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 이태준 기념관이 들어섰다. # 경전선 이설 사업으로 군북역이 동촌리로 이사가고 나서, 2021년 옛 군북역 건물 터를 활용하여 건립되었다. 여담으로 건물 뒤편 정원의 나무들은 옛 군북역 시절의 조경수들을 그대로 활용한 것이다.

[1] 몽골어 키릴 문자 표기이며, 'Ли Тэ Жүн'이라는 표기도 사용된다.[2] 인천 이씨 집성촌이다.관련 글[3] 인천이씨대동보에는 1920년 7월 7일 별세했다고 기재되어 있다.[4] 공도공파 32세 태(泰) 항렬.[5] 1882년생. 안교상(安敎庠)의 딸이다.[6] 박기유(朴基儒)의 딸이다.[7] 대표적 의열단 활동으로는 '마자르'라고 불렸던 폭탄기술자를 의열단에 소개해 준 일이있다. 김상옥 의사의 종로경찰서 의거에 사용된 폭탄도 마자르의 작품이다. '마자르'는 본명은 아니고 그가 헝가리 출신으로 알려져서 붙인 별칭이다. 이 사람이 정말 헝가리 출신인지도 불명이다.[8] 여운형안창호와도 친분이 있었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태준 문서의 r10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태준 문서의 r10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7:58:02에 나무위키 이태준(독립운동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