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복(야구선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이름을 사용하는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인복 문서
이인복번 문단을
이인복#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d00f31,#FC2352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 '''15 [[김진욱(2002)|{{{#041e42,#fff 김진욱}}}]] · 16 [[한현희|{{{#041e42,#fff 한현희}}}]] · 18 [[최준용(야구선수)|{{{#041e42,#fff 최준용}}}]] · 19 [[김강현(야구선수)|{{{#041e42,#fff 김강현}}}]] [br] · 21 [[박세웅|{{{#041e42,#fff 박세웅}}}]] · 22 [[구승민|{{{#041e42,#fff 구승민}}}]] · 23 [[김도규|{{{#041e42,#fff 김도규}}}]] · 24 [[김상수(투수)|{{{#041e42,#fff 김상수}}}]] [br] · 26 [[진승현|{{{#041e42,#fff 진승현}}}]] · 28 [[찰리 반즈|{{{#041e42,#fff 반즈}}}]] · 30 [[이민석(2003)|{{{#041e42,#fff 이민석}}}]] [[파일:부상 아이콘.svg|width=15]] · 31 [[신정락|{{{#041e42,#fff 신정락}}}]] [br] · 33 [[최이준|{{{#041e42,#fff 최이준}}}]] · 34 [[김원중|{{{#041e42,#fff 김원중}}}]] · 35 [[이인복(야구선수)|{{{#041e42,#fff 이인복}}}]] · 36 [[우강훈|{{{#041e42,#fff 우강훈}}}]] [br] · 38 [[문경찬|{{{#041e42,#fff 문경찬}}}]] · 39 [[심재민|{{{#041e42,#fff 심재민}}}]] · 40 [[김기준(야구선수)|{{{#041e42,#fff 김기준}}}]] · 43 [[나균안|{{{#041e42,#fff 나균안}}}]] [br] · 44 [[박진(야구선수)|{{{#041e42,#fff 박진}}}]] · 45 [[최영환|{{{#041e42,#fff 최영환}}}]] · 46 [[애런 윌커슨|{{{#041e42,#fff 윌커슨}}}]] · 51 [[윤성빈(야구선수)|{{{#041e42,#fff 윤성빈}}}]] [br] · 54 [[현도훈|{{{#041e42,#fff 현도훈}}}]] · 55 [[정대혁|{{{#041e42,#fff 정대혁}}}]] · 56 [[정성종|{{{#041e42,#fff 정성종}}}]] · 62 [[이진하|{{{#041e42,#fff 이진하}}}]] [br] · 67 [[박영완(야구선수)|{{{#041e42,#fff 박영완}}}]] · 94 [[이태연|{{{#041e42,#fff 이태연}}}]] · 96 [[장세진(야구선수)|{{{#041e42,#fff 장세진}}}]] · 104 [[이병준(2002)|{{{#041e42,#fff 이병준}}}]] [br] · 106 [[홍민기(야구선수)|{{{#041e42,#fff 홍민기}}}]] · 108 [[최우인|{{{#041e42,#fff 최우인}}}]] · 111 [[박명현|{{{#041e42,#fff 박명현}}}]] · 112 [[김동규(야구선수)|{{{#041e42,#fff 김동규}}}]] [br] · # [[정현수(야구선수)|{{{#041e42,#fff 정현수}}}]] · # [[박준우(야구선수)|{{{#041e42,#fff 박준우}}}]] · # [[박성준(2005)|{{{#041e42,#fff 박성준}}}]] · # [[전하원|{{{#041e42,#fff 전하원}}}]] [br] · # [[배세종|{{{#041e42,#fff 배세종}}}]] · # [[송재영|{{{#041e42,#fff 송재영}}}]] · # [[정우준|{{{#041e42,#fff 정우준}}}]] · # [[박진형|{{{#041e42,#fff 박진형}}}]]''' ||
||<bgcolor=#d00f31> {{{#fff [[틀:롯데 자이언츠/코칭스태프|{{{#fff 코칭스태프}}}]] | [[틀:롯데 자이언츠/투수|{{{#fff 투수}}}]] | [[틀:롯데 자이언츠/포수|{{{#fff 포수}}}]] | [[틀:롯데 자이언츠/내야수|{{{#fff 내야수}}}]] | [[틀:롯데 자이언츠/외야수|{{{#fff 외야수}}}]] | [[틀:롯데 자이언츠/투타겸업|{{{#fff 투타겸업}}}]] | [[틀:롯데 자이언츠/군입대선수|{{{#fff 군입대선수}}}]] | [[틀:롯데 자이언츠/등록선수|{{{#fff 등록선수}}}]]}}} ||
||<height=32> {{{-1 [[틀:KBO 리그 구단별 명단 둘러보기 틀|{{{#041e42,#AAD3FF 다른 KBO 리그 팀별 명단 둘러보기}}}]]}}} ||



이인복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이인복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5번
장국헌
(2011~2013)

이인복
(2014~2015)


김성재
(2016~2017)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8번
신원재
(2017)

이인복
(2018)


윤성빈
(2019)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5번
이명우
(2010~2018)

이인복
(2019~)


현역
질롱 코리아 등번호 1번
박휘연
(2018-19)

이인복
(2019-20)


강로한
(2019-20)




롯데 자이언츠 No.35
이인복
李寅福|Lee In-Bok

출생
1991년 6월 18일 (32세)
경기도 성남시
국적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학력
희망대초 - 성일중 - 서울고[1] - 연세대
신체
187cm|97kg|O형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4년 2차 2라운드 (전체 20번, 롯데)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14~)

질롱 코리아 (2019/20)
병역
경찰 야구단
(2015년 12월 24일 ~ 2017년 9월 23일)
연봉
1억 4,500만원 (70.6%↑, 2023년)
등장곡
Sam Ryder - 《Tiny Riot》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3. 피칭 스타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롯데 자이언츠 소속 우완 선발 투수.


2. 선수 경력[편집]




3. 피칭 스타일[편집]



대학 시절 최고 150km/h을 던지는 강속구 투수였고 프로에 와서도 평균 140km/h대 초반, 최고 140km/h대 중반의 속구를 구사한다. 2군에서 매년 이닝을 먹으며 꾸준히 선발 경험치를 쌓아왔다. 하지만 구위가 약한 것인지 깔끔하게 맞아나가는 모습을 보이며 기대보다 성장하지 못하고 경찰 야구단에 입대했다. 이 시절과 비슷한 스타일의 선수론 정성종이 있다.

경찰 야구단 전역 후 새롭게 장착한 투심 패스트볼의 움직임이 좋아 2019 시즌부터 투심 투수가 되었다. 관련 기사. 그런데 땅볼 유도는 잘하는데 죄다 정타로 맞아나간다.[2] 1군에서 주로 추격조 역할을 맡았으나, 워낙 많이 두들겨 맞다 보니 패전 처리마저도 제대로 못하고 내려온 적이 많았다.

2021년 후반기 2군에서 선발수업을 받은 다음 복귀한 이후 투심 구속이 최고 146km/h까지 증가했으며 높은 BABIP가 2할 9푼대로 안정을 되찾자 상당히 괜찮은 땅볼 투수가 되었다. 변화구는 슬라이더, 커브, 롯데 투수 필수 구종 스플리터를 구사한다. 스플리터의 성공적 장착으로 땅볼 유도 외에 탈삼진이란 선택지가 추가되어 5이닝 정도는 믿고 맡길 수 있는 투수가 되었다. 그러나 슬라이더는 영 좋지 못해 밋밋하게 들어 오는 경우가 많아서 많이 얻어맞았지만 2022년부터는 슬라이더가 상당히 좋아졌다. 롯데 팬덤에선 1회 투심 구속만 보면 그날 성적을 짐작할 수 있는 선수로 평한다. 140대 초반이면 준수한 선발, 130대 후반으로 찍히면 두들겨 맞는 날. 땅볼 투수 특성상 팀 내야수비, 특히 센터라인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이인복 본인은 제구나 땅볼 유도는 그대로인데 2020년 후반부터 2군에 도입된 드라이브라인식 훈련 시스템의 성과로 구속이 증가해 2020 시즌까지는 방망이에 걸릴 공이 헛스윙이 된다고 밝혔다.

선발 전환 후 롯데 자이언츠 팬덤 내에서는 평가가 좋은데 제구가 좋아 볼질을 안하고 템포 또한 빠르기 때문에 다른 선발들보다 보기 좋다고 평가한다. 야수들 또한 이인복 등판 경기가 가장 편하다고 말했다.

최근의 투심은 속도는 140km/h 대 초반으로 빠르지는 않으나, 오버핸더치고는 좌우 무브먼트가 아주 좋아서 우타자에게는 물론이고 좌타자에게도 잘 먹혀 좋은 성적이 나오고 있다.

단점은 적은 선발경험 탓인지 투구수가 일정 개수를 넘어가면 급격히 약해진다는 것이다. 대략 65개를 넘기면 피안타율과 피OPS가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한다.

대학 시절 강속구 투수였지만 프로에 입성한 이후 구속을 잃어버리고 피네스 피처로 전향해 기량이 급상승한 흔치 않은 케이스이다. 완벽하게 똑같진 않지만 치바 롯데 마린즈사사키 치하야와 비슷한 유형의 선수다.[3][4]


4. 여담[편집]


  • 굉장한 포커페이스를 자랑한다. 투구 내용이 좋든 나쁘든 표정이 항상 똑같다. 이런 짤이 만들어질 정도.

  • 별명으로는 잉복, 게릿 복, 스나이퍼[5], 이연복 등이 있다.


5. 관련 문서[편집]


[1] 고1 시즌을 마친 뒤 성남서고등학교 야구부가 해체되면서 전학.[2] 단, 2019 시즌 BABIP가 4할 8푼에 이르렀기 때문에 아직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3] 완벽하게 똑같지 않은 이유는 사사키 치하야는 대학 졸업 이후 토미존 수술 후유증으로 구속 하락을 겪으며 피네스 피처로 전향했지만 기량이 성장하지도 않아서 치바 롯데의 망픽으로 취급받고 있기 때문이다.[4] 대학졸업 경력을 제외하면 그나마 이인복과 비슷한 케이스로는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활약했던 이와쿠마 히사시가 있다. 이와쿠마도 1999년 드래프트 되어 2000년 2군리그와 교육리그를 오갈 때는 최고 구속 149km/h의 패스트볼을 뿌린적이 있는 강속구 투수였다. 다만, 2005년부터 혹사와 부상 등의 영향으로 구속이 줄게 된 이후로 제구와 무브먼트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고 그 결과 2008년 사와무라상을 수상할 정도로 최고 투수로 발돋움. 그 활약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건너가 일본산 피네스 피처의 진면목을 제대로 보여주었다. 이와쿠마도 일본프로야구 커리어 후반이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는 패스트볼로는 볼끝이 지저분한 투심을 주로 구사했고 변화구로는 슬라이더 커브 스플리터 등 다양한 구종을 구사했다는 점과, 강속구 투수에서 피네스 피처로 전향해 전성기를 맞았다는 점에서 플레이스타일이나 그 변화 양상은 이인복과 흡사한 케이스라 볼 수 있다.[5] 래리 서튼 감독이 이인복이 스나이퍼 같다고 말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9:59:56에 나무위키 이인복(야구선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