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왕직

덤프버전 :


1. 개요
2. 직제


1. 개요[편집]


(りおうしき)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에서 구 대한제국 황실(이왕가)의 의전 및 대한제국 황족과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던 기구. 1910년 12월 20일 개설되었다. 산하기구로는 이왕직 아악부 등이 있었다.

기존의 대한제국 궁내부에서 이토 통감이 4,400명을 해고 시키고 남은 조직인데 1909년 기준으로 친임관 33명, 주임관 76명, 판임관 229명, 판임대우 3명, 촉탁 33명, 고원 10명외 궁녀와 내시가 대충 4천명 가량 있었다. 다만 법적으로 이왕직 직원들은 조선 총독의 감독하게 있었다. 한일합방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직원, 궁녀, 내시 등을 감축 하였다.

해방 이후 1945년 11월 8일에 미군정 휘하 "구황실재산사무청"이라는 이름으로 개칭되었다. 사무청 초대 장관은 독립운동가 윤홍섭.


2. 직제[편집]


  • 장관 : 이왕직 사무 최고관리자. 대한제국 구황실을 담당하는 자리여서 그런지 웬만하면 조선인만 보(補)했다.

대수
역대 장관
역임 기간
비고
1대
민병석
1911~1919
영친왕이방자의 결혼 문제를 처리했다. 1912년 메이지 천황의 장례식에 의친왕의 수행원 자격으로 참석한 것도 이때.
2대
이재극
1919~1923
종친. 이왕직 장관이 종친이었던 경우는 이재극이 유일하다.
3대
민영기
1923~1927
을사조약에 반대했다가 후일 찬동한 사람.
4대
한창수
1927~1932
찬시, 장시사장 등 이왕직 내부승격 코스를 걸은 사람. 이우박찬주와 결혼하겠다고 할 때, 일본 황족과 결혼해야 한다면서 반대했다. 궁내성까지 개입해서 결혼을 허락하자 여기 반발하며 사퇴했다.
5대
시노다 지사쿠
1932~1940
유일한 일본인 장관. 한창수의 사퇴로 직을 승계했다.
6대
이항구
1940~1945
이완용의 아들. 이왕직에서 의식과장으로 있다가, 시노다 지사쿠가 장관으로 올라가며 차관을 맡았다. 이후 장관으로 승진.
7대
장헌식
1945 5월 ~ 11월
일본 유학파.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 등 여러 직을 두루 지냈다. 해방 이후에도 이왕직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몇 개월을 더 지내고 사퇴했다. 그리고 1946년 이왕직 공금횡령 혐의로 체포됐다.
  • 차관 : 장관 보좌, 부재 시 직무대리. 웬만하면 일본인만 보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8:00:06에 나무위키 이왕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