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이즈미선

최근 편집일시 :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JRE_Wlogo.svg
JR 동일본
철도 노선

[ 펼치기 · 접기 ]
신칸센 총괄본부
파일:JRE-SKS.svg 도호쿠 신칸센 - 파일:JRE-SKS.svg 조에츠 신칸센 - 파일:JRE-SKS.svg 호쿠리쿠 신칸센
모리오카 지사
도호쿠 본선 - 오후나토선 - 키타카미선 - 카마이시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하나와선 - 야마다선 - 하치노헤선 - 오미나토선 - 오우 본선 - 츠가루선
아키타 지사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키타카미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우에츠 본선 - 오가선 - 고노선
센다이 지사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조반선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센잔선 - 이시노마키선 - 케센누마선 - 반에츠토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야마가타 신칸센) - 요네사카선 - 아테라자와선 - 리쿠우토선 - 리쿠우사이선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죠에츠선 - 아가츠마선 - 료모선 - 신에츠 본선 - 하치코선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조반선 - 미토선 - 스이군선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파일:JRE-JO.svg 나리타선 - 카시마선 - 소토보선 - 토가네선 - 우치보선 - 쿠루리선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카와고에선 - 닛코선 - 카라스야마선
도쿄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힌카쿠선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조반선 (파일:JRE-JJ.svg 조반 쾌속선 - 파일:JRE-JL.svg 조반 완행선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I.svg 츠루미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 파일:JRE-JK.svg 네기시선 - 사가미선 - 파일:JRE-JT.svg 이토선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CO.svg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C.svg 오메선 - 파일:JRE-JC.svg 이츠카이치선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하치코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신에츠 본선 - 우에츠 본선 - 죠에츠선 - 에치고선 - 야히코선 - 하쿠신선 - 요네사카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이야마선
나가노 지사
츄오 본선 - 코우미선 - 시노노이선 - 오이토선 - 신에츠 본선 - 이야마선
폐선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일본국유철도 적자 83선

[ 펼치기 · 접기 ]
폐지
콘포쿠선 · 카와마타선 · 미쿠니선 · 우지나선 · 코후쿠로선 · 세치바루선 · 우스노우라선 · 호소시마선 · 사사야마선 · 야부선
지정 후 특정지방교통선에 지정되어 폐지
1차
아이오이선 · 야베선 · 이와나이선 · 코힌호쿠선 · 코힌난선 · 쇼코츠선 · 시라누카선 · 비코선 · 닛츄선 · 아카타니선 · 우오누마선 · 쿠라요시선 · 코마츠시마선 · 소에다선 · 카츠키선 · 카츠타선 · 츠마선 · 미야노하루선 · 무로키선
2차
시베츠선 · 세타나선 · 유모선 · 토미우치선 · 사가선 · 코모토선 · 오스미선 · 미야노조선 · 야마노선
3차
카지야선 · 타이샤선
지정 후 제3섹터로 전환
에사시선† · 아이즈선 · 아니아이선 · 오하타선† · 쿠로이시선† · 나가이선 · 야시마선 · 키와라선 · 모오카선 · 아케치선 · 에츠미난선 · 노토선† · 시가라키선 · 호조선 · 미키선† · 간니치선 · 나카무라선 · 와카사선 · 타카모리선 · 타카치호선† · 유노마에선
JR 잔류
삿쇼선 · 신메이선† · 오미나토선 · 케센누마선 · 하치노헤선 · 카라스야마선 · 타다미선 · 야히코선 · 산구선 · 메이쇼선 · 요도선 · 카베선 · 산코호쿠선† · 산코난선† ·에츠미호쿠선 · 나루토선 · 무기선 · 우치코선 · 이부스키마쿠라자키선 · 카라츠선 · 니치난선 · 이와이즈미선
†: JR 전환 이후 폐지된 철도 노선



파일:JRE_Wlogo.svg
>
(いわ(いずみ(せん
Iwaizumi Line | 이와이즈미선

'''
폐선
'''

파일:IWAIZUMI.jpg

키하 110계 동차
노선 정보
분류
폐선
기점
모이치역
종점
이와이즈미역
역 수
9
개업일
1942년 6월 25일
폐선일
2014년 4월 1일
소유자
JR 동일본
운영자
사용차량
키하 110계 동차 100번대
노선 제원
노선연장
38.4㎞
궤간
1067㎜
선로구성
단선
사용전류
비전철화
최고속도
85㎞/h

1. 개요
2. 역사
3. 폐선
4. 역 목록



1. 개요[편집]


JR 동일본에서 운영하던 연장 38.4㎞의 지방 로컬선. 전 구간 단선이다.


2. 역사[편집]


1942년 6월에 먼저 모이치 ~ 이와테와이나이 구간이 코모토선이라는 이름으로 먼저 개통되었다. 이후 1944년에는 이와테와이나이 ~ 우츠노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로 노선의 건설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1952년에 우츠노 ~ 아사나이 구간의 연장공사를 진행하여 1957년에 개통시켰다.[1] 이때 이와이즈미초의 격렬한 마을 중심지로의 노선 연장 요구가 계속됨에 따라 1962년에는 이와이즈미까지의 연장이 성사되었으며, 1968년 연장공사를 시작하여 1972년에 이와이즈미역까지 연장되었다.

이후의 노선 동향과 폐선 과정은 아래 폐선 문단 참조.


3. 폐선[편집]


이 노선은 일본국유철도 시절에 제 2차 특정지방교통선으로 지정되어 폐선이 유력하던 노선이었다. 국철 시절에는 연선의 도로가 영 좋지 않아서[2] 폐지를 면했지만, 갈수록 연선인구는 줄어들면서 승객은 줄어들고 운행비용은 상승하여 이와이즈미선은 운행하면 할수록 다른 여러 지방노선들처럼 손해보는 애물단지가 되어버렸다.[3]

그러던 와중에 2010년 7월 31일, 오시카도~이와테오카와 구간 선로 주변의 토사가 붕괴해 운행하던 열차가 매몰되어 5명이 부상당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가 일어나자 이와이즈미선은 전 구간이 운휴되어 버스로 대체수송을 실시했다.

JR 히가시니혼은 버스로 대체수송을 계속하면서 추후 이와이즈미선을 폐지하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사고 후 노선 주변을 점검한 결과 위험요소를 제거하려 130억엔이라는 막대한 돈이 필요했는데, 이를 투입해 열차 운행을 정상화 시켜봤자 손해만 보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사고 직전인 2009년의 일평균통과인원[4]수는 46명. 웬만한 좌석 버스 한 번 운행하면 저 숫자 채우는 건 일도 아니다. 그리고 2009년 수입은 8백만 엔인데 지출은 2억 5,700만 엔에 달했다. 영업계수로 치면 3200이 넘어가는 숫자다. 즉, 100엔 벌려고 3200엔 이상을 퍼부어야 한다는 소리.[5]

참고로, 한국은 대한민국 철도청 시절에 폭우로 한번 쓸려내려갔 정선선돈 왕창 들여서 신선급 스펙으로 복구한 적이 있었고, 경원선 역시 시간이 꽤 걸렸지만 어쨌든 복구에 성공했다. 이쪽은 단순하게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둘 다 특수한 목적이 있는 노선이기 때문에 복구한 것이다. 정선선은 관광자원으로 개발할 계획이 있었고[6], 경원선은 통일 후에는 함경선과 연계되는 간선인데다가 1호선을 연천역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이 이전부터 있었기 때문에 어찌됐든 복구해야 했다. 진해선은 정기여객열차를 2015년부터 폐지하고 진해 군항제 때만 관광열차만 운행했을 뿐 해군(기지사령부에 통해역이 있으며, 이외에도 각종 전용선이 분기한다)과 현대로템 창원공장이 있어서 선로 자체가 폐지될 일은 없다. 굳이 꼽자면 1980년에 열차운행을 중지한 진삼선 정도와 비교할 수 있다.

하지만 연선의 도로 문제가 여전하다보니 당연히 연선주민과 이와테현은 폐선 방침에 반발했다. JR 히가시니혼에서는 2012년 말까지 이와이즈미선의 행방을 결정할 예정이었다. 2012년 3월 조사보고서에서 철도로의 복구는 단념하고 해당지역 대체수송편 확보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결론을 냈는데, 이와이즈미선의 비참한 운명이 결정된 것이다.

연선유지 또는 BRT 도입을 바라던 지자체와 갈수록 승객이 줄어들었던 대행 버스마저 떨쳐버리고 싶던 JR 히가시니혼 사이에 줄달리기가 이어졌다. 11월에 JR 히가시니혼이 정식으로 폐선신청을 했고, 이에 따라 2014년 4월 1일 부로 JR 히가시니혼 전환 이후 우스이 급구배의 뒤를 이어 두 번째로 폐지되는 노선[7], 대체노선없이 순수하게 수요저조만으로 폐지되는 첫 노선이 됐다. 부지는 지자체에 이관해 일부는 지방도로 편입됐고, 앞에서 얘기한 도로폭문제도 해결됐다.

현재의 이와이즈미역 건물은 공원으로 이용되는 모양이다.


4. 역 목록[편집]


JR 동일본 이와이즈미선
km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0.0
모이치
茂市
2면 3선
JR 동일본 야마다선
미야코시
4.3
이와테카리야
岩手刈屋
단선
7.2
나카사토
中里
단선
10.0
이와테와이나이
岩手和井内
단선
15.8
오시카도
押角
단선
20.3
우츠노
宇津野

단선
(1957년 폐역)
시모헤이군
이와이즈미초
25.3
이와테오카와
岩手大川
단선
31.0
아사나이
浅内
단선
33.8
니쇼이시
二升石
단선
38.4
이와이즈미
岩泉
단선

[1] 연장 개통 때 우츠노역은 폐역되었다.[2] 중간에 있는 터널이 대형 버스가 다니기에는 폭이 좁았다.[3] 일본의 다른 로컬선에서 많이 도입한 원맨 운전마저 산사태문제로 시행할 수 없어 운행비용 부담이 더 컸다.[4] 이용하는 승객의 하루 1km당 명 수.[5] 참고로 영업계수는 100을 기준으로 산정하며, 100 이하면 흑자, 그 이상이면 적자다. 대한민국은 서울 지하철 2호선경부고속선을 빼면 영업계수 100 이하인 노선이 없을 정도로 적자노선이 넘쳐난다.[6] 그 결과물이 아우라지-구절리간 레일바이크다.[7] 다만 우스이 급구배는 호쿠리쿠 신칸센이라는 대체재의 개통에 따라 폐지한 거다. 이 노선과는 상황이 다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7:47:36에 나무위키 이와이즈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