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수(군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범수(동명이인) 문서
이범수(동명이인)번 문단을
이범수(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6군단.png
대한민국 육군
제6군단장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
|| 초대
이한림 || 2대
백인엽 || 3대
강영훈 || 4대
김웅수 || 5대
최홍희 ||
|| 6대
김계원 || 7대
정래혁 || 8대
한신 || 9대
김희덕 || 10대
이세호 ||
|| 11대
박원근 || 12대
이소동 || 13대
김용휴 || 14대
이재전 || 15대
신현수 ||
|| 16대
강영식 || 17대
김홍한 || 18대
안필준 || 19대
박명철 || 20대
나병선 ||
|| 21대
임인조 || 22대
김재창 || 23대
최경근 || 24대
이재관 || 25대
서경석 ||
|| 26대
김판규 || 27대
서종표 || 28대
김충배 || 29대
류우식 || 30대
송기석 ||
|| 31대
정두근 || 32대
이홍기 || 33대
서길원 || 34대
김학주 || 35대
이범수 ||
|| 36대
박종진 || 37대
김성진 || 38대
김성일 || 39대
박양동 || 40대
강건작 ||
||<-5><bgcolor=#FFFFFF> ※ 초대~현재 : 중장 ||
||<-5><bgcolor=#FFFFF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이범수
파일:이범수중장.jpg
복무
대한민국 육군
기간
1980년 ~ 2014년
임관
학군사관 (18기)
최종계급
중장 (대한민국 육군)
최종보직
육군 제6군단
주요지휘
제101보병여단
제57보병사단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군인. 최종 계급은 중장이며, 최종 보직은 제6군단장이다.

원광대학교 학군단 역사상 채진석(준장 예편, 14기), 임국선(중장 예편, 17기)장군에 이어 3번째 장군이다.


2. 생애[편집]


1957년에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태어나 전주해성고등학교 졸업후 1976년 원광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입학해 학군사관후보생(18기)이 되었다. 1980년, 졸업과 함께 보병 소위로 임관했다.

임관 후 제11보병사단 수색대대에서 소대장으로 군생활을 시작하였다. 제203특공여단 중대장, 제22보병사단 수색대대장, 육군대학 교관, 제65보병사단 작전참모, 대한민국 육군본부 부대구조기획장교, 제65보병사단 예하 연대장, 제5보병사단 예하 연대장,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군구조발전과장 등을 지냈다.

준장으로 진급한 후 육군 (구)제101보병여단장학생중앙군사학교 참모장을 지냈다. 소장 시절엔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제57보병사단장과 국방부 동원기획관을 지냈다. 군생활 마지막 진급인 중장 진급 후에는 육군 제6군단장을 지냈다.

비육사 출신에게 사실상 배정되는(?)[1] 대장 T/O인 육군 제2작전사령관에 유력한 인물이었으나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의 책임을 지고 2014년 8월에 사의를 표명하였다[2]. 그리고 이임식도 하지 못하고 다음 인사에서 인사사령부 정책연구관 발령을 거쳐 바로 예편하게 된다.[3]


3. 여담[편집]


  • 그가 장성급 장교가 된 이후 지휘관을 맡았던 부대는 전부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해체되었다. 101보병여단이 9사단에게 작계지역을 넘기고 해체될 때에 마지막 지휘관이었고, 57사단이 56사단에 합쳐지면서 마지막 지휘관이었으며, 6군단은 그가 물러나고 8년이 지나 5군단에 흡수되는 형식으로 해체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8:19:30에 나무위키 이범수(군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육군사관학교 출신 제2작전사령관도 많다.[2] 실질적으로는 보직해임으로 봐야 한다. 장교 및 부사관 인사 업무를 맡아 본 장교나 부사관 출신들은 이 것을 보고 보직해임이라는 것을 단번에 알아챈다.[3] 이후 제2작전사령관이순진 장군(3사 14기)이 부임하여 약 1년간 재임하다가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