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각모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상의 동물에 대한 내용은 바이콘 문서
바이콘번 문단을
바이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모자 👒
[ 펼치기 · 접기 ]

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레더 햇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실크 햇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
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1. 개요
2. 매체에서 등장


1. 개요[편집]


Bicorne(바이콘)

18세기에 대중적으로 유행하던 트리코른이 발전한 형태의 모자로, 18세기 말엽에 등장하여 나폴레옹 전쟁이 한창이던 19세기 초에 가장 유행하였고, 빅토리아 시대벨 에포크 초기인 19세기 중엽까지 주로 쓰였다. 민간인들도 많이 썼던 삼각모와 달리 이각모는 주로 군모나 문관의 예모 등 제복용 모자로 채용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해군 장교의 예복용으로는 20세기 초중반까지 영국 해군일본 제국 해군, 미합중국 해군 등에서 남아있었다. 피켈하우베로 유명한 독일도 당 시대 해군만은 이를 쓰지 않고, 바이콘과 수병정모를 썼다. 모자 상부에 코케이드라는 훈장 형식의 장식품을 달아놓기도 했다.

한국에선 나폴레옹 모자 혹은 총독 모자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후자는 레고에 나오는 총독 인형들이 쓴 모습 혹은 구한말(명치유신 시기와 겹침) 일본 제국이나 일제 강점기 일본 관료들의 예복 착용 사진으로 이 모자를 접한 이들이 많아서 그렇다.

파일:35c82d7a96c02bcf5c7f16cdedf45769.jpg
물론 일제 외에도 대한제국 역시 서구 문물을 수용하던 시기에 도입하기도 했다. 사진은 궁내부 고등관용 대례복.[1][2]

파일:634.lesmis3.mh.091812.jpg
파일:Tumblr_mp62v1to0T1snmpy2o1_1280.jpg
모델은 둘 모두 레 미제라블 영화에서 자베르로 분한 러셀 크로우.

1790년대까지는 흔히 위쪽 사진들과 맨 위의 나폴레옹이 쓴 스타일대로 넓적한 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쓰는 가로돛 방식으로 썼으나, 1800년대 들어서는 아래처럼 뾰족한 양 끝단이 각기 앞뒤를 향하도록 쓰는 세로돛 방식이 유행하였다. 앞에 나온 사진 자료에서 위의 자베르와 아래의 자베르 사이에는 약 10여 년 가량의 간격이 있으니[3] 나름 고증이 잘 된 셈이다. 유행에 민감한 남자 자베르

그러나 유독 나폴레옹과 그의 영향을 받은 일부가 가로돛 방식으로 썼다. 이런 스타일로 썼던 사람들로 프랑스 국가 헌병대장다르메가 대표적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eanlannes9756.jpg

그러나 나폴레옹의 원수들은 대부분 세로돛 방식으로 썼다. 정작 나폴레옹의 부하인 장 란의 초상화를 뒤져보면 나폴레옹과 반대되는 스타일로 쓴 모습이 보이는 것을 보면 확실히 넓적한 면이 전방에 오는 것이 썩 좋게 보이지는 않았던 모양이다. 머리가 커보일 공산이 크다.[4] 당시 많은 국가들이 이 모자를 쓰는 방향까지 규정하질 않아서, 개인의 취향 혹은 유행에 따라 착용 방향이 바뀌었는데, 영국 해군에선 19세기 초에 위관급~부장 및 준함장(중령) 정도의 젊은 장교들은 세로돛, 함장(대령) 이상 및 제독과 같은 나이든 장교들은 가로돛 방식으로 쓰는 암묵적 룰이 있었다가, 이후 규정이 정비돼 세로돛 방식으로 통일됐다.

파일:drlzwloiu3sy.jpg
이각모를 쓴 이탈리아 카라비니에리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영국에서는 왕실 관련 행사가 있을 때 사용하는 예식용 모자로 남아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군경찰 카라비니에리의 제식용 모자로 여전히 쓰이고 있다.

하림그룹김홍국 회장이 나폴레옹의 이각모를 경매로 구입한 일이 화제가 되었다. 김홍국 문서 참조.

2. 매체에서 등장[편집]



2.1. 도미네이션즈[편집]


전설 유물/나폴레옹의 이각모가 전설 유물로 등장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1:33:19에 나무위키 이각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궁내부 소속 문관과 일반적인 문관 통틀어서 대례복이 지급된 대상은 종2품~정1품의 칙임관과 6품~3품의 주임관이다. 그 밑에 판임관들에게는 소례복인 프록코트만 지급되었으며 관청에서 일하지만 관료가 아닌 고용인에게는 둘다 지급되지 않았다.[2] 일반적인 문관대례복은 사진과는 달리 드레스 코트의 형태를 띈 복장이었다.[3] 코제트에포닌 테나르디에가 어린아이에서 젊은 아가씨로 장성했을 만큼의 세월 차가 있다.[4] 나폴레옹의 키는 168cm. 170 못미치지만 당시 기준으로는 큰 키에 속했다. 하지만 두상과 비율 때문에 그리 커 보이는 편이 아닌데다, 늘 키가 큰 경호병들 사이에 둘러싸여 있어서 작다는 편견이 생겼고 여기에 모자마저 펑퍼짐하게 쓰는 바람에 키가 작다는 소문에 불을 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