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지의 승리

덤프버전 :

이미지:1024px-National_Socialist_swastika.png
나치즘

[ 펼치기 · 접기 ]
이념
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범게르만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 원리
분파
국가사회주의 · 영국 파시즘 · 슈트라서주의포스트 나치즘 · 네오 나치즘(신나치주의)
정치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히틀러 유겐트 · 독일 소녀 동맹 · 독일 사회주의 국가당 · 독일 민족민주당 · 툴레 협회 ·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 수데텐 독일인당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단 · 화살십자당 · 스위스 국민운동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미국 나치당 · 황금새벽당 · 오제바브란트바흐 · 세계 민족사회주의연맹 · 국민정당 우리의 슬로바키아CHEGA! · 국가사회주의 일본 노동자당· 그리스 민족사회당
군사조직
국방군,(Wehrmacht), · 국방군최고사령부,(OKW), · 방첩국,(Abwehr), · 육군최고사령부,(OKH), · 비밀야전경찰,(GFP), · 공군최고사령부,(OKL), · 해군최고사령부,(OKM), · 돌격대,(SA), · 친위대,(SS), · 비밀국가경찰,(Gestapo), · 보안국,(SD), · 아넨에르베,(Ahnenerbe) · 무장친위대,(Waffen-SS), · 아인자츠그루펜,(Einsatzgruppen), · 질서경찰,(OrPo),,, · 아조프 연대 · 바그너 그룹
인물
아돌프 히틀러(퓌러)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오토 슈트라서 · 아돌프 아이히만· 카를 슈미트
계획
게르마니아 · 레벤스라움 · 벨라루스 초토화작전 · 레벤스보른 · T4 작전 · 홀로코스트· 대게르만국
선전물
나의 투쟁 · 의지의 승리 · 올림피아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푈키셔 베오바흐터
국가(國家)
나치 독일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상징
나치식 경례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하켄크로이츠
관련 틀
히틀러 틀 · 파시즘 틀 · 추축국 틀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수




파일:external/www.leninimports.com/leni_riefenstahl_triumph_will_poster_14a.jpg

Triumph des Willens.
(영어: Triumph of the Will)

1. 개요
2. 상세
3. 평가
4.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풀영상(영어 자막)
한국어 자막 파일

레니 리펜슈탈 감독의 1935년작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홍보 다큐멘터리 영화다.


2. 상세[편집]


1934년 9월 5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된 뉘른베르크에서 열린 나치당의 6차 전당대회를 기록한 다큐멘터리 영화다.

원래 1933년 나치 집권 후 첫 전당대회 기록영화인 신념의 승리(Der Sieg des Glaubens 영어명 'Victory of the Faith')가 같은 해 촬영되었으나 이후 에른스트 룀이 숙청되면서 파괴되었고[1] 나치에선 새로운 홍보영상을 촬영할 필요가 생겼고 다음해 전당대회를 위해 만든 것이 바로 이 영화다. 나치당에서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졌고 괴벨스가 리펜슈탈 감독이 여자라서 이런 '큰 사업'을 맡기기를 처음 꺼렸다가 만나고 나서 대화하고 인식이 바뀌었다는 일화도 있다.[2] 영화는 총 5일 간의 집회의 주요 장면을 다룬다.

리펜슈탈 감독은 후에 히틀러의 연인이라느니 하는 의혹에 시달렸고[3]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에 회부될 뻔했지만 자신은 영화인일 뿐이며 나치당과의 정치적 관계는 없었다고 해서 전범이 되는 것은 면했다. 그러나 친나치 영화인으로 두고두고 낙인이 찍히면서 더는 제대로 영화를 만들 수 없었고 다큐멘터리나 몇 편 찍으며 여생을 보냈다.

영화를 보면 영상적인 면에서는 1930년대 영화가 맞나 싶을 정도로 시대를 앞선 혁신적인 영상미를 보여준다. 영화의 첫 부분에서 히틀러가 탄 비행기가 구름 사이를 헤치고 뉘른베르크 상공을 날아서 착륙하는 모습이나[4] 히틀러의 연설을 듣는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그렇기에 대학의 영화, 예술 관련 강좌에서 영화기술의 이해를 위한 예시로 자주 틀어준다. 실제로 영화사적으로 미친 영향도 엄청나서 많은 영화가 이 영화를 참고했다. 대표적인 예가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에서 사루만우루크-하이 군대가 아이센가드에 결집하는 장면. 한 마디로 사악한 사상이 덧씌워진 것만 빼면 훌륭한 명작이다. 나치가 승리한 평행세계에서는 국가의 탄생 급의 명작이나 문제 있는 걸작 정도로 취급받을지도 모른다. 미국 영화 '국가의 탄생'이 인종차별주의를 담고 있지만 기술적으로 혁신적이었던 것과 비슷하다.

세련된 영상으로 포장해 히틀러를 독일 민족의 구세주로 묘사했는데 자세히 보면 절대로 히틀러를 정면에서 잡은 장면이 없다. 히틀러를 잡은 장면들은 하나같이 철저하게 카메라가 아래에서 히틀러를 올려다보는 구도로만 잡았는데 이리하면 영화를 보는 이들은 모두 히틀러를 우러러 볼 수밖에 없게 된다. 제작 과정에서 나치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최첨단 촬영장비를 총동원하고 리펜슈탈 자신의 재능을 극대화한 결과다. 베니스 영화제에서도 외국어 다큐멘터리 상을 받기도 했다. 사실 베니스 영화제는 설립 당시엔 베니토 무솔리니가 파시스트 체제 선전용으로 밀어 줬던 걸 생각해보면 특이한 일은 아니다.[5]

사실 순수한 기록 영화라고도 볼 수 없는데 세트장에서 찍은 연출된 장면들이 있기 때문이다.(동영상의 22분 경부터 나오는 장면) 당시엔 촬영 녹음 편집기술도 지금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했고 촬영 후 보관 실수로 분실된 몇 장면을 전당 대회가 끝나고 재촬영했다고 한다. 당시 세트장을 지은 건축가인 알베르트 슈페어는 재촬영 당시 참가자들의 연출이 사실적이라서 진짜 전당대회로 착각했을 정도였다.

현재 독일에서는 상영금지인데 워낙 유명해서 독일 이외의 나라에 DVD는 풀려 있다. 유태인 쥐스나 크뤼거 아저씨 같은 전시 나치 선전영화들과 마찬가지라 독일 정부의 관리가 어려워 상대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작품. 유튜브 같은 동영상 사이트 등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히틀러 연설이나 나치당 집회를 다룬 사진이나 동영상은 대부분 여기가 원본. 한국에도 한글 자막이 덧입혀진 버전이 인터넷과 P2P를 통해 돌고 있다. 사실 정식으로 발매되기도 했다. 인터넷 서점에서 영국인 역사학자 이언 커쇼의 《히틀러 1, 2》를 99,000원에 판매하면서 의지의 승리 DVD를 끼워 준다.

유튜브 등 일부 심의기준이 높은 매체에서 역시 종종 차단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는데 중반부를 차지하는 당원들의 연설이나 후반부를 몽땅 차지하는 히틀러의 연설이 모두 증오발언으로 분류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댓글창에서 설치는 네오 나치들과 인종차별론자들, 노골적인 학살범죄 옹호 등등으로 인해 댓글란이 막히거나 처음부터 막혀 있는 사례도 많다. 이에 반해 '혐오성 발언일지라도 역사의 기록은 보존, 공개되어야 한다'는 논리로 맞서는 경우도 있긴 하다.

영상의 18분 경에서 동요 옹달샘의 멜로디가 나오는데 이는 원래 이 노래가 독일 민요라서 그렇다.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또 34분 30초~35초 00분 경에 나치당 청년이 나오는 장면은 훗날 34년 뒤 영국 BBC의 개그 프로그램 몬티 파이튼의 비행 서커스 1화의 세계에서 가장 웃긴 농담 스케치의 한 부분으로 쓰이기도 했다.

스타워즈 OST인 임페리얼 마치와 결합 시 절묘한 싱크로율을 자랑한다.

3.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마이무비스.it 로고.png

[[https://www.mymovies.it/film/1936/il-trionfo-della-volonta|

스코어
display:inline-block"
없음 / 5.00

display:inline-block"
3.40 / 5.00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기자·평론가
display:inline-block"
없음 / 10

display:inline-block"
없음 / 10

]]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기자·평론가
display:inline-block"
없음 / 10

display:inline-block"
없음 / 10

]]













재미있게도 러시아중화인민공화국에서 점수가 높다.

4.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1:27:26에 나무위키 의지의 승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촬영 당시 SA가 한창 득세하던 때라 룀의 등장이 잦았고 히틀러 옆에 나온 장면이 많아서 필름 수정으로 어떻게 하기가 힘들 정도였다. 여기에 전당대회의 하이라이트인 마지막 히틀러 연설이 녹음 기술 부족으로 짤리는 등의 문제도 있어서 극장에서 금방 내려지고 이후 필름도 룀의 숙청 차원에서 죄다 파괴되었다. 오랫동안 유실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1986년에 동독에서 복제본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리펜슈탈 감독이 개인적으로 영국에 갔을 때 하나 복사되었던 게 남아서 1990년대에 발견되었다고 한다.[2] 괴벨스의 여성관은 마초 성향으로 당시의 남자들처럼 여자들 능력에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일기에서 리펜슈탈을 '영리한 계집', '원하는 걸 모두 얻어낼 여자'라고 평가했다. 또 히틀러도 여자는 방구석에서 살림하고 애나 많이 낳아 키우면 된다고 봤다.[3] 실제 히틀러는 절대로 여성을 가까이 하지 않았다. 그나마 정부인에 가까웠던 에바 브라운조차 적정선을 칼같이 그어놓고 지내다가 벙커에서 같이 자살하기 직전에야 간소하게 결혼식을 올렸을 정도였다.[4] 하늘에서 구름을 뚫고 내려오는 메시아 같은 이미지를 연출한 것이다.[5] 무솔리니 정권의 압박으로 이탈리아 파시스트와 독일 나치당을 띄워주는 프로파간다 작품들이 베니스 영화제를 휩쓰는 일이 1930년대 중반부터 계속되자 여기에 반발한 프랑스와 미국, 영국 영화인들이 단체로 베니스 영화제를 보이콧하고 새로운 영화제를 만들었는데 바로 칸 영화제다. 이때부터 베니스는 2등으로 추락하고 칸이 세계 최고 영화제의 권위를 가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