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석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전 유리홀딩스 대표이자 배우 박한별의 남편에 대한 내용은 박한별 문서
3.2번 문단을
박한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파일:B005-C002-0632-01_L1.jp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20%> 강기동 ||<width=20%> 구춘선 ||<width=20%> 권동진 ||<width=20%> 권병덕 || 김경천 ||
|| 김동삼 || 김병조 || 김붕준 || 김상옥 || 김성수[A] ||
|| 김완규 || 김익상 || 김지섭 || 김하락 || 나석주 ||
|| 나용환 || 나인협 || 남상덕 || 남자현 || 노백린 ||
|| 린썬 || 문창범 || 문태수 || 민긍호 || 민종식 ||
|| 박열 || 박승환 || 박용만 || 박은식 || 박준승 ||
|| 백용성 || 신규식 || 신돌석 || 신석구 || 신채호 ||
|| 신홍식 || 쑨커 || 쑹자오런 || 안재홍 || 양기탁 ||
|| 양전백 || 양한묵 || E. T. 베델 || 언더우드 || 여운형 ||
|| 여지이 || 연기우 || 오세창 || 오화영 || 유동열 ||
|| 유여대 || 유인석 || 윤기섭 || 우빈 || 이갑성 ||
|| 이동녕 || 이동휘 || 이명룡 || 이범석 || 이범윤 ||
|| 이봉창 || 이상설 || 이상재 || 이승희 || 이위종 ||
|| 이은찬 || 이인영 || 이재명 || 이종일 || 이종훈 ||
|| 이필주 || 임예환 || 장건상 || 장인환 || 전명운 ||
|| 전해산 || 정환직 || 조성환 || 조완구 || 주시경 ||
|| 주자화 || 지청천 || 채상덕 || 천청 || 최석순 ||
|| 최성모 || 탕지야오 || 편강렬 || 홍기조 || 홍범도 ||
|| 홍병기 || 황싱 || 후한민 ||
||<-5>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파일:external/www.kado.net/759350_289667_3220.jpg

출생
1842년 1월 25일
강원도 춘천도호부 남산외일작면 가정리
(현 강원도 춘천시 남면 가정리)[1]
사망
1915년 1월 29일 (향년 73세)
중화민국 펑톈성 관전현(寬甸縣) 방취구(芳翠溝)
본관
고흥 류씨[2] #
가족
아버지 류중곤(柳重坤)
양아버지 류중선(柳重善)
어머니 고령 신씨 부인
장남 류해동(柳海東)
차남 류제함(柳濟咸)
자 / 호
여성(汝聖) / 의암(毅庵)
서훈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1. 개요
2. 생애
3. 의병 운동의 전개
4. 이후의 행보
5. 기타
6. 평가
6.1. 긍정적인 평가
6.2. 부정적인 평가
7. 그외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조선의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 위정척사파, 유학자. 최초의 여성 의병장인 윤희순은 그의 며느리이다.

춘천 출신이지만 주로 제천 등지에서 활약을 했기 때문에 제천시에서도 한방 도시와 함께 많은 홍보를 하는 인물이다.


2. 생애[편집]


1842년, 강원도 춘천부(현 춘천시 남면 가정리)[3] 출신. 춘천 출신이지만 주로 제천 등지에서 활약을 했기 때문에 제천시에서도 한방 도시와 함께 많은 홍보를 하는 인물이다.

아버지 유중곤(柳重坤)과 어머니 고령 신씨 사이에서 3남 2녀 가운데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4살 되던 해 족숙(族叔)인 유중선(柳重善)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이후 양가(養家)의 문벌을 배경으로 성장했다. 양가의 증조부 유영오가 화서 이항로와 교분을 맺고 있던 터라 선생은 화서 문하에 들어갈 수 있었다. 이후 화서학파의 위정척사, 존화양이 사상에 심취한다.

강화도 조약이 이루어지고 있을 때 47명의 화서학파 인물들과 함께 복합유생척양소(伏閤儒生斥洋疏)를 올려 조약 체결을 저지하려 하였으나 실패했다.


3. 의병 운동의 전개[편집]


1893년에 제천 장담(長潭 : 현 봉양읍 공전리 장담마을)으로 이사했으며, 이곳이 유인석이 이끄는 의병 활동의 근거지가 된다. 이후 을미사변이 터지고 단발령까지 겹치자 전국적으로 의병 항쟁이 일어나기 시작했는데, 유인석 역시 이에 대한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한다. 제2차 의제 개혁 직후 '변고'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다는 명분으로 1895년 5월 2일, 3일 양일간에 문인사우(門人士友) 수백 명을 모아 놓고 장담에서 대규모의 강습례와 향음례를 거행하면서 사실상 의병 항쟁의 준비 단계를 밟는다.

유인석의 문인들인 이춘영과 안승우가 1896년 1월 12일, 김백선의 포군을 주축으로 경기도 지평에서 거의한 뒤 제천으로 진격하여 군수 김익진을 축출하였다. 이후 단양에서 관군과 일본군을 일시적으로 격퇴하였으나, 반격이 지속되자 유인석은 이들을 영월로 모두 모이게 하였고, 여기서 의병들의 간청으로 의병장에 오르게 된다.

이후 충주성을 점령하고 충주부 관찰사 김규식을 중앙의 명을 받아 단발령을 시행했다는 이유로 살해하였고 제자인 이범직을 시켜 단발령을 시행하던 천안군수 김병숙도 살해했다. 그다음엔 단발령을 시행하던 평창군수 엄문환도 살해했다. 그러나 관군과 일본군의 반격에 지쳐 충주성을 버리고 제천으로 퇴각했다. 이후 단발령이 철회되고 김홍집 내각이 축출되자 거의 명분이 없어졌으므로 대한제국 정부에서 의병을 해산시키라는 전언이 내려왔다. 그러나 정부가 특히 일제 침략 세력이 완전히 구축되지 않는 한, 또한 망국 개화 정책을 중단하지 않는 한 의병 항전을 계속할 것이라며 항전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하지만 제천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는 제천성을 상실했다. 이후 의병들을 이끌고 소규모 전투를 행하면서 서북으로 간다. 그러나 이곳에서도 관군의 압박이 이어졌으며, 이후 서간도로 망명한다는 결정을 내리고는 의병들을 이끌고 압록강을 건넌다. 일제의 영향력이 없다는 것도 좋은 이유였지만, 동시에 유인석은 청의 군사적 원조도 기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서간도에서 무장 세력은 불법인지라 그곳 관리는 무장 해제를 요구했으며, 결국 유인석은 9월 28일 혼강(琿江)변에서 의병진을 해산한다.


4. 이후의 행보[편집]


1897년 3월에 일시적으로 귀국하였으나 곧 다시 서간도로 망명했다. 이후 1900년에 의화단의 난을 계기로 다시 귀국하였다.[4] 이때부터 황해도평안도에서 제자를 양성했으며, 향음례, 강습례를 수시로 열어서 존화양이 의식은 포기하지 않고 계속 고취시켰다. 1906년, 31대 연성공 쿵링이의 지원으로 청나라 망명을 추진했으나 그의 다릿병이 심해져서 포기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5. 기타[편집]


  • 그는 을미년과 정미년 연호는 명의 연호를 사용했는데, 을미년의 경우 존양의 의리를 위해서 그랬고, 정미년의 경우 새 연호를 채택한 것이 개화당의 무리가 대명의 신방이 오랑캐의 반열을 쫓아가는 일이라서 그럴 수 없다고 했다. 그는 고종을 황제로 높인 뒤에도 '광무'란 연호를 쓰지 않고 순종의 연호 '융희'를 쓰지 않다가, 나라가 망한 뒤에는 융희란 연호를 사용했다. 그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사람은 하루라도 임금이 없을 수 없고 또 삭발한 머리로 참람된 황제는 황제라고 할 수가 없어 아직 선왕. 선조의 황제로 칭한 제왕을 황제로 하여 천하의 참된 임금이 나오기를 기다린다고 하셨으니(중략) 내가 그 의리를 지킨다. (중략)

우리나라는 중화가 되었다 할 수 있는데 우리 군왕을 왜국이나 서양 사람들이 칭하는 황제와 동등반열로 하므로 임금을 높이기 위해 황제라 칭하거나 연호를 안 썼다.(중략) 그러나 이제 강제로 합방되어 우리 황제 지위를 폄하하고 연호를 폐하므로 우리 임금 존숭의 뜻으로 썼다.

'의암집'


  • 그가 우주문답에 써놓은 마땅한 세계 질서는 다음과 같다. 그는 중국을 '제왕'이 다스리는 것은 천지 개벽 이래 세워진 대일통의 규범이며, 중국이 외국을 '통할'하고 일국이 만국을 통제하는 것이야말로 바꿀 수 없는, 올바른 이치라고 주장했다. 그 증거라는 것이 하늘이 낙서(洛書)를 내려주어 구주(九疇)를 다스리게 했다는 것이다. 참고로 백성들이 나라의 일을 의논하는 것은 천하에 도가 없기 때문이며, 국민을 대표하는 의원들이 국회를 구성하고 법을 의논하는 것은 도를 없애고 기강을 그르치는 것이라고 분명히 써놓았다. 그리고 가장 중국다운 것은 황제로서 대통을 세우고 공자로서 '종교'를 삼으며 오륜을 지키고 전통적인 의발을 준용하는 것이라는 주장도 빼놓지 않았다.

  • 유인석은 정치에서 두 가지를 가장 중요시 했는데, 법치를 하지 말고 '선정'을 베풀라는 것이었으며 '정전(井田)'을 회복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나라를 위해 도(道), 덕(德), 학(學), 정(政), 형(形), 문(文), 무(武)를 강조했다. 그는 삼강오상의 도를 근본으로 하여 육경과 사서를 강학하여 도덕을 이룰 수 있다고 했고 이로써 옛날의 이상적 통치를 회복할 수 있다고 했다. 그리고 그러면 나머지 일은 염려할 것이 없다고 했다. 유인석은 복고를 통해 강국이 되는 가장 중요한 방법으로서 삼대의 학제를 회복하고 그것을 준수하는 것을 들었다.


6. 평가[편집]



6.1. 긍정적인 평가[편집]


유인석은 의병장들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이면서도 장기적으로 투쟁한 인물이다. 그는 을미의병 때 제천에서 의병을 일으킨 뒤 관군과 일본군을 상대로 항전했고, 고종이 아관파천을 단행한 뒤 의병 해산 칙령을 내렸을 때 거의 모든 의병장들이 부대를 해산하는 상황에서도 유일하게 해산을 거부하고 투쟁을 지속하다 여의치 않게 되자 서간도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의 방략을 모색했다.

이후 1907년 고종이 퇴위하고 대한제국군이 강제 해산되자, 그는 연해주로 망명한 뒤 이범윤 계열과 최재형 계열의 극심한 대립으로 분열해버린 독립운동세력을 통합시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고, 이는 성과를 거두어 13도 의군이 창설되어 잠시나마 통합된 조직으로서 국내 진공작전을 추진하게 했다. 그 후 한일병합이 선포된 뒤 일제의 압력으로 인해 연해주에서 무장투쟁을 수행할 수 없게 되자, 그는 서간도로 이동한 뒤 후학을 양성하며 독립운동 방략을 모색하다 끝내 조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숨을 거두었다.

유인석의 문인으로서 독립운동에 뛰어든 대표적인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강규묵(1884~?): 1919년 박장호, 조맹선 등이 만주 유하현 삼원보에서 결성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가담하여 참모를 맡았다. 이후 국내 각 지역에 지단을 설치하고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했으며, 대한독립단이 대한의군부(大韓義軍府)로 개편되었을 때 대한의군부 정무부 부감 및 재무부 부원으로 선임되었고, 1925년 4월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만독판부 중앙회의에서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 궁인성(1874~?): 일찍이 스승의 의병 활동에 참여했고, 3.1 운동 후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단원으로 활동했으며, 소모장(召募長)으로 국내에 파견되어 평안남도 지역에서 광한단(光韓團)과 연합해 광한단 지단 설립 및 군자금 모집 활동을 수행하다 1921년 체포되어 12년간 옥고를 치렀다.

  • 박병강(1879~1945): 유인석의 의병대에 종군하여 서간도로 망명한 뒤 조선과 요동을 오가며 연락 임무를 맡았으며, 유인석이 연해주에서 의병을 모집할 때 자금 마련 임무를 수행했다. 유인석이 사망한 후 중국 관내 지역에서 항일 선전 활동을 전개했으며, 1922년부터 1930년까지 8년간 중국 수십개의 성과 시를 전전하며 중국인들에게 반일의식을 선전하고 중국과 한국이 연합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했다. 1930년 체포되어 신의주로 압송된 뒤 사망 때까지 일제의 감시를 받았다.

  • 박양섭(1854~?): 유인석이 을미의병을 일으킬 때 종군했으며, 1907년 대한제국군이 해산된 뒤에는 박정빈을 의병장으로 한 평산의진을 창설하고 참모를 맡았다. 유인석이 연해주로 이동하자 그를 따랐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13도 의군과 성명회에 가담했다. 1919년 유하현 삼원보에서 대한독립단이 조직될 때 부참모장을 역임했다.

  • 신재홍(1863~1907):유인석이 1900년 서간도에서 귀국하여 평산에 은거할 때 그의 문인이 되었으며, 1905년부터 형 신재봉(申在鳳과 함께 천여 석지기에 이르는 가산을 팔아서 황해도 평산 일대의 의병을 지원했다. 형이 일본군에게 피살되자 박정빈 의병대에 가담해 활동하다 일본군에게 피살되었다.

  • 이명하(1878~1921): 제천군에 동명학교를 세우는 등 교육계몽운동을 전개하다 1907년 대한제국군이 해산되자 이강년 의병대에 가담하여 소모장을 맡아 모병 활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몇년간 옥고를 치렀다. 유인석이 1910년 13도의군을 조직하고 도총재로 추대되자 이에 가담하여 42명의 동지들과 함께 의병과 해산 군인의 소집을 촉구하는 <통문>에 서명했다. 이후 대한독립단에 가담하여 무장 투쟁을 벌였으며, 1920년 평북 의주군 비현면 청산동에서 보합단을 창설해 군자금 모집 및 일제 행정기관 파괴, 밀정 처단 활동을 전개하다 일본군에게 피살되었다.

  • 이진룡(1879~1918): 장인 우병렬과 더불어 유인석의 문인이 된 뒤 1907년 대한제국군이 해산당하자 황해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본군과 여러 차례 교전했다. 1909년 연해주로 망명하여 유인석과 합류한 뒤 군자금과 신무기를 모은 후 연해주와 국내를 왕래하며 일본군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였다. 한일병합 후 서간도 장백현 무송에서 포수단을 조직하고 독립군 양성에 주력했으며, 때때로 국내에 진입해 일제 주재소를 습격하고 평양으로부터 운산, 북진으로 이송되던 송금 마차를 습격했다. 그러나 1917년 5월 25일 만주 관전현 청산구에서 일본 경찰에게 체포된 뒤 1918년 5월 1일 교수형에 처해졌다.

  • 전덕원(1877~1943): 1905년 을사조약의 무효를 주장하는 상소를 올렸고, 황주에서 의병 활동을 벌이다가 체포된 뒤 유배형 15년을 선고받고 고초를 겪다 1910년 한일병합 후 대사면으로 석방되었다. 이후 연해주로 망명한 뒤 유인석을 모시며 독립운동을 꾀하다 1919년 박장호, 조맹선과 함께 대한독립단을 결성하고 군사부장을 역임해 무장 활동을 수행했다. 1922년 만주에 있는 여러 독립운동단체들이 통합하여 대한통군부가 조직될 때 재무부장을 역임했으며, 동년 8월 대한통군부가 대한통의부로 개편되자 경무감(警務監) 및 참모부감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통의부 내 공화주의자들과 심한 갈등을 빚다가 1923년 봄에 통의부를 이탈하고 의군부를 조직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국내로 침투하여 일본군과 교전하다 1927년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다 1943년에 옥사했다.

  • 정술원(1860~1931): 유인석이 을미의병을 일으킬 때 함께 하여 여러 전투에 종군했으며, 유인석이 서간도로 망명할 때도 따라갔다. 1905년 6월, 유인석에 의해 약장(約長)으로 임명된 뒤 정운경(鄭雲慶)이 그 해 9월 의병을 일으켰을 때 종사관으로 참여했다. 정운경이 미처 준비를 완료하기 전에 일본군의 급습을 받고 체포되자, 다시 이강년 의병장의 부대에 가담하여 일본군을 상대로 분전했다. 이강년이 체포된 뒤 이강년의 가족을 자신의 동리로 데려와 돌봤으며, 이후엔 자택에서 은거하다 1931년에 사망했다.

  • 한대모(1870~1950): 1896년 7월 유인석이 의병대를 이끌고 서간도로 이동할 때 평안남도 개천군에서 가담하여 행군을 지원했으며, 개천, 영변 등지에서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강계 전투에서 패한 뒤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고, 출옥 후 자택에 은거했다.

  • 한승태(1867~1935): 1896년 7월 유인석이 의병을 이끌고 서간도로 망명할 때 함께 수행하여 만주 통화현 오도구에 정착했다. 그러나 유인석이 노령의 몸으로 고생하는 것을 보고 환국을 주선하여 평산, 태산 등지를 옮겨 시봉하면서 강학을 받았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해서 지방의 유학자들이 결성한 종유계(宗儒契)에 가담하여 구국운동을 전개했고, 1910년 학계(學契)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위한 군자금 모금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2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 현기정(1878~1922): 유인석이 을미의병을 일으켰을 때 종군했고, 유인석이 서간도로 망명할 때 역시 함께 했다. 1919년 대한독립단에 가담했고, 그해 11월 고향으로 돌아와 공성단(共成團)을 조직해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관지 「독립신문(獨立新聞)」을 배포했다. 그러나 조직이 발각되면서 1920년 경에 다시 만주로 망명했고, 1922년 지린성 쌍성현에서 병사했다.

  • 현정경(1881~1941): 1912년 중국 동삼성 반석현으로 망명하여 항일단체인 한족회(韓族會)에 가입하고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서 조선독립단원이 되어 민족독립사상 고취와 무장투쟁 등의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1919년 대한독립단에 가담하여 서기장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서로군정서에 가담하였고 1920년 광한단(光韓團)을 조직해 위원장을 맡아 국내 각지에 군면지단(郡面支團)을 조직하고 단원을 파견하여 결정적 시기에 일시에 궐기할 것을 실천하기 위해 일본군 행정기관의 파괴와 군자금을 모집하며 활동했다. 이후 통의부에 가담하여 법무위원장을 맡았으며, 정의부가 창설되자 역시 가담해 중앙행정위원을 맡았다. 1926년 고려혁명당(高麗革命黨)을 조직하고 중앙집행위원에 선출되었으며, 1927년 안창호가 농민호조사(農民互助社)를 조직할 때 발기인으로 참가했다. 그러나 1930년 공산주의에 경도되어 조선혁명당을 공산당 휘하에 들게 만들려 해 민족주의 계열과 갈등을 빛다가 급기야 쿠데타를 벌였고, 결국 조선혁명당을 탈퇴한 뒤 중국 관내로 가서 좌우합작운동을 전개하다 1941년에 병사했다.

  • 현학여(1866~1936): 1907년경 숭화재(崇華齋)를 중심으로 유생을 규합하여 민족운동을 전개했다. 1908년 7월 봉천성 유하현에 청운학교(靑雲學校)를 설립하여 교포교육에 이바지하고 독립정신을 고취하였으며, 1915년 12월 국권회복을 목적으로 보생단(保生團)을 조직하고 단원 40명의 단장이 되어 활동하였다. 1920년 1월에 상하이 한족독립운동 각 단체의 대표자회의에 서간도(西間島) 유림대표로 참가하였다. 1936년 만주에서 사망했다.


6.2. 부정적인 평가[편집]


유인석은 자신의 최고 신념이었던 위정척사까지도 더이상 주장할 수 없게 된 1910년대 이르러서도 봉건적 복고 세계관을 결코 버리지 않았으며, 그것만이 정의이고 반드시 다시 구현해야 할 사회 정의이자, 정확히 말하자면 '진리'라는 고집을 꺾지 않았다. 어찌보면 위정척사의 대표격인 최익현보다도 더 극단적인 복고를 외쳤던 인물이었다. 결국 전체적으로 평가하면 격동의 시대에서 뒤쳐지고 구시대적인 자신의 길만을 고집했다가 실패한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유인석은 신분제도, 중화사상 지지로 비판받으면서 그중에서 위선적인 행동과 위법행위를 저지른것이 가장 심하게 비판받는다. 먼저 관찰사 김규식, 천안군수 김병숙, 평창군수 엄문환을 처형한 것이다. 물론 유인석이 평생 중화론적 세계관을 고수하고 개화를 극도로 증오한 것을 고려해 볼때, 그가 김규식, 김병숙, 엄문환을 처형한 것은 모순적인 행위가 아니라 지극히 당연한 것이었다. 그는 이 세 관료가 단발령을 강행했다는 것 자체가 인륜을 파괴하고 조선을 금수의 세상으로 만드는 최악의 범죄 행위라고 봤다. 이는 그가 '의암집'에서 "을미사변은 조정 대신들이 처결해야 할 문제지만 단발령은 모두의 문제다."라고 밝힌데서 짐작할 수 있다. 그의 관점에서 볼 때, 단발령은 중화 질서를 유일하게 간직한 조선을 서양 오랑캐와 비슷한 수준으로 격하시키는 것이었고, 공맹과 주자가 이어온 질서를 파괴하는 것이었다. 비록 존왕양이를 숭상하는 입장이었지만 고종의 연호인 '광무'와 순종의 연호인 '융희'를 "개화파가 붙여준 연호"라는 이유로 단호히 거부했던 그였기에, 왕이 임명한 관료라는 사실보다 단발령을 시행해 '조선을 금수로 만들어버린' 자들을 처단하는 것이 더욱 중요했다.

유인석은 위선적인 행동과 위법행위는 당시에도 비판 대상이었다. 관찰사 김규식, 천안군수 김병숙, 평창군수 엄문환을 친일파로 몰고 있지만 실제론 김규식, 김병숙, 엄문환은 일본과 내통한 정황이 없고 유인석이 그들을 살해한 이유도 그저 단발령을 강행했다는 이유뿐이다. 당시 김규식과 김병석, 엄문환은 지방 관원으로 당연히 중앙의 명령에 따르는 입장일 뿐인데다 단발령 시행과 친일은 관련없는 사안인 만큼 유인석이 관료들을 살해하고 다니는 건 어떠한 정당성도 없는 반역에다 살인 행각일 뿐이다. 이런 건 존왕양이 정신의 척화사상에 위배된다. 아무리 그래도 동학도를 배척했으면서 자신도 동학도와 같이 지방관료를 그것도 악질 탐관오리가 아닌 황제가 임명한 일반 관료를 함부로 처형하였기에 같은 척사파이자 존왕양이파인 최익현보다 더 모순적일 수밖에 없다. 최익현도 유인석과 마찬가지로 수구적이었지만 역신과 매국노가 아닌 이상 황제가 임명한 일반 관료는 함부로 죽이지 않았다.

게다가 유인석은 의병 활동 당시에 평민 출신의 의병 지휘관인 김백선을 독단으로 처형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 사건 자체는 조금 더 복잡한 사건이었는데, 김백선이 항명한 안승우는 유인석과 달리 개혁적인 성향을 가진 양반 가문 출신의 의병장으로 후에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 의병장이었다. 김백선의 원군 요청을 안승우는 '대장을 옹위해야 하는 중군의 소임 때문에 병사를 함부로 뺄수 없다.'며 무시하였는데, 이 때문에 크게 패한 김백선은 격분하여 원군을 안 보냈다며 안승우의 면전에서 칼을 빼들고 항명하다가 군기 문란죄로 처형당했던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칼을 빼들고 항명하였다고 해도, 김백선의 지휘계통상 직속상관인 안승우가 처벌할 일이지 총사령관도 아니고 옆부대 지휘관인 유인석이 해서는 안될 일이었다. 그래서 이는 명백한 직권남용에다 공식적인 재판이나 절차에 따르지 않은 사적제재와 살인에 해당한다. 이는 당시 갑오개혁으로 개선된 형법 기준으로도 명백한 불법이었다. 게다가 유인석은 김백선을 처벌하면서 '그대는 본시 한낱 포수에 불과한 상민이었거늘, 어찌 분수를 모르는가? 여봐라! 저자를 군령위반 죄로 다스려서 포살하라!' 라며 의병들이 보는 앞에서 이를 그대로 이야기하며 처벌하는데 사실 어딜봐도 단순히 군령위반으로 처벌했다기 보다는 신분제를 중시했던 유인석의 한계가 강하게 드러난다. 결과적으로 단순히 유인석이 양반 신분을 이용하여 싫어하는 평민 출신 지휘관을 죽인 것이나 다름없고 평민을 대놓고 아랫것으로 여긴다는 것을 그대로 드러냈다. 이로 인해 제천 의병 등 다른 평민 출신 의병들이 유인석의 행위에 크게 반발해 대거 이탈하면서[9] 의병은 결국 패배하게 된다.

사실 일본군에게 패퇴할 당시 김백선은 원군을 요청했지만 안승우는 대장을 호위해야 하는 중군의 소임 때문에 원군을 보낼 상황이 못 되었고, 그래서 대신 다른 의병장들이 원군을 보내겠다고 했는데 보내겠다고 해놓고 결국 보내지 못했거나, 기껏 보낸 원군이 정작 전투를 기피하고 퇴각하는 사태가 벌어진 것이다. 이때문에 자기 휘하의 병사들을 대거 잃고 패하여 분노한 김백선은 알려진 대로 본영으로 돌아가 안승우에게 칼을 빼들며 따지며 분노했고, 진작부터 김백선을 곱지 않게 보던[10] 유인석은 군율 위반을 이유로 김백선을 처형했다. 또한 당시 상황상으로 안승우가 지키는 지역은 방어에 유리한 제천성으로 일본군에게 빼앗길 경우 허리가 잘리는 모양이 되어 심각하게 불리해질 수 밖에 없으며, 실제로도 김백선 처형이후 일본의 재공세에 함락되어 안승우도 부상을 입고 일본군에게 처형당하게 될 정도로 공세가 강하게 집중된 지역이었다. 군 지휘계통과 당시 상황을 고려했을때, 처형까진 아닐지언정 처벌이 필요하긴 했다.

하지만 즉시처형이라는 가혹한 조치로, 의병 내의 양반과 평민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평민 출신의 포수들과 농민들이 김백선의 처형에 반발하며[11] 양반 의병장 지휘에서 대거 이탈하여 독자세력을 만들었고 이는 가뜩이나 허약한 의병세력의 분열을 초래하여 의병이 실패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유인석이 "나라가 망하더라도 공맹과 주자가 이어간 오랜 질서를 지키는 것이 중하다."는 사고관을 끝까지 고수한 데서 비롯되었다. 군사적으로 유능한 평민들에게 고개를 숙여가며 외적에 대항하는 것은 그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었다. 더욱이 김백선의 일을 그대로 묵과해버린다면 차후에도 비슷한 일이 얼마든지 일어날 수 있고, 평민이 양반을 우습게 보는 등 신분질서가 붕괴될 가능성이 있었다. 개화파를 조선을 금수로 만든 역적으로 여기고 개화파가 실시한 갑오개혁을 결코 인정하지 않은 그는 갑오개혁으로 인해 신분제가 철폐된 것 역시 결코 수용하지 않았다. 그러니 그가 김백선을 처형한 건 유인석의 입장에선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문제는 당시 의병은 단합해도 승패를 장담할수 없는 상황에서 유인석이 독단으로 김백선을 처형하는 월권행위를 저지르고 본인의 봉건적인 사상을 그대로 드러내어 의병들의 반감을 크게 사게된것은 의병의 단합을 파괴하는 행위였으며 이는 의병을 실패하게 만드는데 큰 원인을 제공한터라 변명의 여지가 없는 명백한 실책이다.[12]





[1] 27세손 석(錫) 항렬. 유관순 열사 및 유관순 열사의 오빠 유우석(柳愚錫)과 같은 항렬이다.
[2] 인근의 발산리와 함께 고흥 류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유봉석·유중악·유하석·유홍석도 이 마을 출신이다.
[3] 이때 중국에서 반일운동가로 활동하자 그에게 분노한 일본에서 암살자들을 파견하여 암살을 시도했으나 유인석이 사전에 도주하는 바람에 실패한다.
[4] '의암집(毅庵集)' 부록 '년보(年讀) 699쪽.
[5] 독립유공자 한기수와 동명이인이다.
[6] 회비경송(會秘警送) 제 706호(1908년 11월 22일)
[7] 용연김정규일기(龍淵金鼎奎日記) 1910년 3월 7일자 기록
[8] '소의신편'
[9] 특히 제전의병의 핵심적인 간부였던 민의식과 서석화가 가장 심하게 반발하며 김백선이 처형된 다음날에 바로 휘하 병력들과 함께 의병을 이탈했다.
[10] 당시 유인석 진영에서는 김백선이 유인석이랑 의병 수뇌부와의 갈등이 심하여 자기가 이끌던 포수들과 함께 독립을 한다느니, 심지어 김백선이 윗선을 다 엎어버리고 자기가 대장이 되려 한다느니 하는 소문까지 돌았다.
[11] 특히 조선의 신분제는 1894년에 법적으로 폐지되었기에 유인석이 이를 알면서도 김백선을 양반에게 항명한 죄로 처형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의병 지도부가 월권행위를 저지른 유인석을 처벌하지 않다보니 반발이 클 수밖에 없었다.
[12] 초반에 제천의병의 숫자가 3500명이었는데 이 사건 이후로 유인석이 의병을 해산시킬때까지 남아 있었던 제천의병이 초기의 10%도 안되는 219명에 불과했다. 특히 다른 의병들도 유인석에게 협력하는것을 끝까지 거부했고 유인석이 의병을 해산시킬때까지도 협력하지 않았다. 이만큼 유인석의 행위가 의병들한테서 분노를 크게 샀던 것이다.


7. 그외[편집]


유인석이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에서 암살한 뒤 일제 형사들에게 취조를 받을 때 '의병 총대장'으로 거론한 김두성과 동일인물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안중근은 김두성이 강원도 출신이며, 허위, 민긍호, 홍범도, 이범윤, 이은찬, 신돌석 등이 그의 휘하에 있다고 밝혔다. 또한 그는 김두성의 직함이 ‘팔도총독’이며, 이는 전국의병의 총대장이라고 한다. 또한 자신은 김두성으로부터 ‘특파독립대장'에 임명되어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는 임무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유인석은 강원도 춘성군 출신이며, 당대의 거유(巨儒)였고, 13도의군 도총재로 추대되는 등 연해주 의병대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만큼 그가 김두성일 가능성은 분명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또한 안중근은 일제의 심문을 받을 때 형사가 유인석과의 관계를 묻자 다음과 같이 밝혔다.

유인석은 작년(1908년) 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만났다. 유는 그때 15세 가량의 남자를 데리고 있었다. 금일의 국가형세에 대해 선생의 가르침을 받겠다고 말했더니 ‘어떻게든 애국하여 주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했을 뿐 많이는 말하지 않았다. 귀가 어둡고 눈이 약해 매우 노쇠하였다. 학자의 풍모로 다언(多言)을 좋아하지 않는 모양이므로 그냥 떠났다. 노쇠한 그는 다만 일본인을 미워할 뿐이며 세계의 대세 동양의 백면(百面)을 아는 사람이 아니다. 한국에 있는 일본인을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뿐 결코 금일의 형세에는 통하지 않는 것이다. 한인 중에는 본국에서 학자가 왔다 하여 모두 가서 여정을 위로하나 금일 동지에 있는 한인은 그와 같은 완고하고 시세에 어두운 사람과는 의사가 합치하지 않으며, 다만 노인이므로 경의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경시의 심문에 대한 안응칠의 공술(제2회)'

안중근은 여기서 유인석을 완고하고 시세에 어두운 사람이라고 비판적으로 평했지만, 독립운동 방략에 대한 조언을 구하기 위해 그를 예방한 사실만큼은 밝혔다. 또한 그는 '유음석(劉陰錫)'의 제자인 이진룡을 찾아가 이토를 사살하는 것에 대해 논의했다고 진술했다. 여기서 유음석은 유인석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며, 안중근은 유인석을 보호하기 위해 일부러 가명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직후, 이상설은 유인석에게 편지를 보내 피신을 권유했다. 이에 유인석은 거주지를 옮겨 이종루(李鍾壘)의 집에서 유거하면서 다음과 같은 답신을 이상설에게 보냈다.
대감이 매우 근심해 주어 지극히 감동될 뿐이다. 대저 왜놈들이 후간(候簡)을 보내 정탐하는 데 이르게 되면 정세는 혹독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등박문(伊購博文)을 죽인 것은 내가 그 계획을 아는 것이 아니지만 억지로 나로부터 했다고 한다면 혹 되겠는가. 대체로 인석이 이곳에 오지 않았으면 이석대(이진룡의 이명) 역시 오지 않았을 것이며, 이석대가 오지 않았으면 안응(安應)도 형세가 일을 하지 못하게 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말한다면 혹 나로부터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와 이석대를 여기에 오게 한 것은 이등박문(伊購博文)의 소행이다. 그 놈이 죽은 것은 그 자신으로부터이지 어찌 다른 사람으로부터이겠는가.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17 00:48:41에 나무위키 유인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5:26:55에 나무위키 유인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인근의 발산리와 함께 고흥 류씨 집성촌이다.[2] 27세손 석(錫) 항렬. 유관순 열사 및 유관순 열사의 오빠 유우석(柳愚)과 같은 항렬이다.[3] 인근의 발산리와 함께 고흥 류씨 집성촌이다.[4] 이때 중국에서 반일운동가로 활동하자 그에게 분노한 일본에서 암살자들을 파견하여 암살을 시도했으나 유인석이 사전에 도주하는 바람에 실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