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역사책)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
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
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
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
동국통감제강
본조편년강목
사략(史略)
본조사략
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
일성록
동궁일기
각사등록
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
응제시주
제왕운기
기타
삼국유사
개황력
대사편년
대사기
속무정보감
국조통기
발해고
해동고승전
동국병감
단군세가
기자지
동사
단군고기
신라고기
백제고기
해동고기
본국고기
삼한고기

기타 실전(失傳)
고구려
유기
신집
신라
국사
제왕연대력
화랑세기
백제
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
서기
고려
구삼국사
가락국기
편년통록
왕대종족기
성원록
금경록

위서(僞書)
환단고기
규원사화
단기고사
부도지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1. 개요
2. 상세
3. 실전



1. 개요[편집]


留記

고구려역사책.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언급되었다.


2. 상세[편집]


"고구려는 초기에 ≪유기≫라는 100권으로 된 역사서를 편찬한 바 있는데 영양왕 11년(서기 600년)에 태학박사 이문진은 이것을 신집(新集)≫이라는 5권의 책으로 개수하였다" 라고 기록되어있다.

즉, 신집과 함께 고구려의 역사서로 생활, 문화, 역사가 적힌 역사서로 생각된다. 그러나 정식 백제의 '서기' 와 마찬가지로 역사서인지는 불명확한데 유기라는 이름 자체가 특정 역사서 제목인 고유명사가 아니라 한자 그 자체를 뜻풀이했을 때 '남은 기록, 즉 과거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오만 잡다한 기록을 묶어 부른 것'을 말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백 권이라는 것도 진짜로 1권부터 100권까지 있는 구성이란 의미가 아니라 단순히 많다는 관용적 수사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다.

100권이란 분량을 사실이라고 추측한다면, 유기가 고구려 초기의 기록이 맞다면 아직 종이가 그리 대중화되지 않은 시기라 간독에 기록되었을 가능성도 있는데, 간독 100권의 내용을 종이책 5권에 옮겼다면 100권의 내용을 5권으로 간추린 것은 충분하고도 남을 수 있다.


3. 실전[편집]


현대에는 전해지지 않았으며 만약 지금까지 전해졌다면 여러 가지로 사료가 부족한 고구려[1]의 역사를 재정립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전근대 사서에서 책 5권은 진짜 아무것도 안되는 분량이긴 하지만 삼국사기중 고구려본기의 분량이 총 10권이며, 삼국사기 자체가 삼국시대에서 500년이 지나서, 당시까지 전해져 내려오던 신라 위주의 사료였던 지금은 실전된 구 삼국사를 바탕으로 했고 사료부족으로 많은 내용을 중국의 서적에서 그대로 인용했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1차 사료라는 것은 물론, 당대에 편찬된 1차 사료라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지닌다.

다만, 유기를 서적화한 '신집'이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5권 분량에 해당한다는 설이 존재한다. 자세한건 고구려 사서 신집문서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유기 문서의 r9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유기 문서의 r9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7:40:25에 나무위키 유기(역사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고구려 뿐만 아니라 한국 고대국가 전부 해당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