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구르어

덤프버전 :

튀르크어족
[ 펼치기 · 접기 ]
보편 튀르크어파
차가타이어파
동부 차가타이어파
위구르어 · 에이누어 · 일리 투르키어
서부 차가타이어파
우즈베크어 · 우즈베크 남부 방언
차가타이어
오구즈어파
동부 오구즈어파
투르크멘어 · 우즈베크 오구즈 방언 · 호라산 튀르크어
서부 오구즈어파
튀르키예어 · 아제르바이잔어 · 가가우즈어 · 오스만어
남부 오구즈어파
카슈카이어 · 아프샤르어 · 차하르마할어 · 아이날루어
살라르어
시베리아어파
남시베리아어파
사얀어파
투바어 · 토파어 · 두하어
알타이어파
북부 알타이어
예니세이어파
서유구르어 · 하카스어 · 푸위 키르기스어 · 쇼르어
출름어파
출름어
북시베리아어파
돌간어 · 사하어
킵차크어파
킵차크-노가이어파
카자흐어 · 시베리아 타타르어 · 노가이어 · 카라칼파크어 · 페르가나 킵차크어
킵차크-불가르어파
바시키르어 · 타타르어
킵차크-쿠만어파
카라차이-발카르어 · 쿠미크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우룸어
킵차크-키르기즈어파
남부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아르구어파
할라지어
오구르어파
추바시어 · 불가르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위구르어
ئۇيغۇرچە | Uyghurche | Уйғурчә
ئۇيغۇر تىلى | Uyghur Tili | Уйғур тили

Uyghur language
파일:1205px-Uyghur_language_geographical_extent.svg.png
유형
교착어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
서자방향
우횡서(아랍 문자)
좌횡서(로마자, 키릴 문자)
문자
아랍 문자(중국)
키릴 문자(러시아, 중앙아시아)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중국|

중국
display: none; display: 중국"
행정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원어민
약 1,040만 명
계통
튀르크어족
보편 튀르크어파
차가타이어군
동부 차가타이어군
위구르어
언어 코드
ISO 639-1
UG
ISO 639-2
UIG
ISO 639-3
UIG
글로톨로그
uigh1240

نامۇۋىكى، بىز بىرلىكتى ئۆستۈرگىن بىلىم دەرىخى.

Namuwiki, biz birlikti östürgin bilim derixi.

Намувики, биз бирликти өстүргин билим дәрихи.

나무위키, 우리가 함께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2. 우즈베크어와의 차이점
4. 한국어와 닮아서 배우기 쉬운 언어?
5. 들어보기
6. 기타




1. 개요[편집]


우즈베크어와 함께 튀르크어족 차가타이어파에 속하는 언어다. 위구르어와 우즈베크어는 방언 정도의 차이로 서로 말이 통한다.[1] 사용 인구는 약 800만~1,100만 명. 주로 중국신장 위구르 자치구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의 위구르족이 모어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러시아, 독일, 미국, 튀르키예에 거주하거나 망명중인 위구르인들이 모어로 사용한다.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공식 언어로, 이 지역 학교에서 사용되는 위구르어 교과서도 있다. 관련글

위구르어의 방언은 크게 동부 방언, 중앙 방언, 남부 방언으로 구분한다. 이 중 중앙 방언 화자가 전체 위구르어 화자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자유아시아방송 http://www.rfa.org/uyghur/과 TRT에서는 위구르어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TRT 에서는 아랍문자(UEY), 라틴문자(ULY), 키릴문자(USY)를 모두 제공하고 있다. 세 문자로 위구르어를 어떻게 표기하는지 궁금한 사람은 한 번 들어가서 비교해보자.TRT 위구르어 뉴스 (아랍문자) TRT 위구르어 뉴스 (라틴문자) TRT 위구르어 뉴스 (키릴문자)

크게 보면 같은 튀르크어족에 속하지만 고대 위구르 칸국이나 고창회골 등 위구르 계통 제국(諸國)에서 쓰이던 쓰이던 고(古) 위구르어와는 계통적으로 차이가 있다. 단순히 인접언어의 영향을 받아서 변한 것이 아니다. 현재 신장지역에서 쓰이는 위구르어의 직계 조상은 카라한 칸국의 건국을 주도한 카를룩족(Karluks)들의 언어다. 반면 고 위구르어는 하서회골의 후신인 유고족의 일부가 사용하는 서유구르어로 이어졌다. 고 위구르어와 현대 위구르어를 구별하기 위해 튀르키예어에서는 신 위구르어(yeni uygurca) 같은 표현을 쓰기도 한다. 위구르어는 과거에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현대에는 중국어러시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원 간섭기 시절 고려에는 이 위구르어가 역관들에게 필수 외국어였다고 한다.


2. 우즈베크어와의 차이점[편집]


파일:4D25A3F1-2D33-4BB6-B258-905006FD460A.png
우즈베크어(빨간색)와 위구르어(녹색) 사용 인구의 분포
가장 큰 차이점은 문자가 다르다는 점이다. 구 소련 지역 위구르인들은 위구르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한다. 대표적인 예가 카자흐스탄 위구르인들의 위구르어 표기법. 두 언어의 키릴 문자를 보면 우즈베크어에는 위구르어에 없는 ў, ҳ 가 있고, 위구르어에는 우즈베크어에 없는 ң, җ, һ 가 있다. 위구르어 키릴 문자 җ 는 우즈베크어 키릴 문자 ж, һ 는 ҳ, ң 는 нг 에 대응한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이유는 위구르어 키릴 문자 표기는 카자흐어 키릴 문자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에서 사용중인 위구르어 아랍 문자 역시 우즈베크어 아랍 문자 표기와 상당히 다르다. 중국 위구르어 아랍 문자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두 가지가 있다. 먼저 모든 모음을 다 표시해 준다. 두 번째로 어두나 모음 뒤에 모음이 올 경우 반드시 앞에 ئ 를 써서 자음-모음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우즈베크어는 공식적으로 모음조화를 인정하고 있지 않지만, 위구르어는 모음조화를 인정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다. 우즈베크어도 모음조화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단지 우즈베크인 화자들이 우즈베크어를 발음할 때 모음조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데다, 표기법, 문법에서는 아예 모음조화가 무시될 뿐이다. 우즈베크어를 공부하고 들어보면 모음 발음이 여러 가지로 발음된다는 것을 알게 되는데, 이 원인이 바로 구어체에서는 모음조화가 아직 살아 있기 때문이다. 반면 위구르어는 모음조화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문법, 표기법에도 모음조화가 반영되고 있다.

문법적으로는 우즈베크어는 진행상 접사가 a 이지만, 위구르어는 i (и, ى)다. 그리고 현재미래시제에서 3인칭 접사가 우즈베크어는 di (ди) 이지만 위구르어는 du (ду, دۇ) 형태다.

chiq- (나가다) 의 현재미래시제 (현재시제 진행상)
  • 우즈베크어: chiqadi / чиқади (chiq-a-di)
  • 위구르어: چىقىدۇ / чиқиду (chiq-i-du)

이 외에 문법, 발음, 어휘에서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나, 서로 그럭저럭 알아들을 수 있는 정도의 차이다.


3. 위구르 아랍 문자[편집]


문자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는 아랍 문자(정확히는 페르시아 문자)를 차용한 위구르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구 소련권 지역에서는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한다.

고대에는 돌궐 문자, 중세에는 아람 문자에서 유래한 소그드 문자를 개량한 위구르 문자를 썼으며, 이 문자는 몽골 문자만주 문자의 모체가 된다. 이후 이슬람교가 들어오면서 아랍 문자가 주로 사용되는 문자가 되었다. 이후 20세기에는 모음을 추가하는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소련스탈린은 소수 민족들에게 키릴 문자를 사용하도록 강제했는데, 이에 따라 현재의 카자흐스탄 지역에 거주하는 위구르인들은 키릴 문자로 위구르어를 표기하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에서도 1950년대에 소련을 따라 키릴 문자를 도입하였다가 얼마 안 가 소련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60년대부턴 한어병음에 Ə, Ⱪ, Ƣ와 같은 특수 문자가 추가된 라틴 문자로 교체했고[2], 마오쩌둥이 사망하고 사회적 분위기가 느슨해지던 80년대부터 다시 아랍 문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소련과 중국에서의 위구르어 문자개혁 과정 대만의 경우 키릴 문자를 쓰던 시기에 망명해온 위구르인들은 키릴 문자를, 라틴 문자를 쓰던 시기에 망명해온 위구르인들은 라틴 문자를 쓰기도 했으나 현재는 대만에서 폭넓게 보장되는 종교의 자유 때문에 중국 대륙의 위구르인들처럼 아랍 문자를 쓴다. 이슬람교의 영향이 매우 강력하게 남아있는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에서는 위구르어의 아랍 문자 표기가 단절되지 않고 계속 이어져왔다.

위구르어를 표기할 때 사용하는 아랍 문자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언어들이 아랍 문자를 차용하면서 모음을 표기하지 않는 특징을 그대로 받아들인 데에 비해, 위구르어는 문자 개혁을 통해 모음을 표기한다는 점이다. 그래서 아랍어로는 책을 كتاب kita:b 이라고 쓰지만, 위구르어에서는 كىتاپ kitap 이라고 쓴다. ى 와 ا 가 들어갔다고 해서 장음인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ى 와 ا 는 단지 모음을 나타내기 위해 쓴 것일 뿐이다. 이 외에 ي , ه , و의 변형에 별도의 모음표기을 통해 8모음을 모두 표기한다. 위구르어를 공부하기 전에 아랍어 및 아랍 문자를 공부한 사람들은 위구르어를 보면 자꾸 장음으로 읽고 싶어지며, 타이핑을 치려고 하면 엄청난 자판 배열에 기겁하게 된다.

파일:external/uyghurchedotnet.files.wordpress.com/kb_uyghur_arabic.png

이것이 위구르 아랍문자 키보드다. 아랍 문자 자판이지만 병음에 기초한 쿼티 자판을 베이스로 하고 있다.


4. 한국어와 닮아서 배우기 쉬운 언어?[편집]


한국어와 비교했을 때 다른 외국어에 비하면 배우기가 쉽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외국어도 어떤 외국어냐에 따라 다르다. 일단 위구르어는 어순이나 문법 구조가 한국어와 닮은 편이기 때문에 아예 문법적으로 이질적인 굴절어나 고립어 계통의 언어보다는 쉽게 배울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인이 가장 쉽게 배울 수 있다는 만주어일본어에 비하면 다소 어려운 편이다. 실제 난이도는 튀르키예어와 비슷하다는 평이며[3] 6개월 정도만 해도 현지인처럼 말을 할 수 있게 된다는 말은 과장에 가깝다. 한자를 주 문자로 사용하는 중국어와 일본어의 어휘는 한자 문화권인 한국어와 겹치는 경우가 많지만, 위구르어의 경우 그런 경우도 없다.

우즈베크어와는 같은 투르크어족의 차가타이어파에 속해있기 때문에 위구르족과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별도의 통역 없이도 의사소통이 된다.[4] 실제 BBC 우즈벡어 방송에서 위구르어로 인터뷰하는 사람이 나와도 우즈벡어 자막을 따로 넣지 않을 정도다. 하지만 문자는 달라서 필담으로는 통하지 않는다고 한다. 위구르어의 발성법과 일부 단어들은 튀르키예 남동부 지방의 튀르키예어 사투리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이 지방 출신들은 위구르어를 들으면 완전히는 아니지만 대략 60% 정도는 알아듣는다고 한다. 일부 단어는 카자흐어, 키르기스어와도 비슷하다.


5. 들어보기[편집]



압두레힘 헤이트(ئابدۇرېھىم ھېيت, Abdurehim Heyt, Абдурәһим Һәйт)[5]의 "모어(ئانا تىل, Ana til, Ана тил)". 전통현악기인 두타르( دۇتتار, Duttar, Дуттар) 연주자로 유명하다.


위구르족 힙합 가수 나우커러[6]가 2018년 랩 오브 차이나(中国新说唱)에서 선보인 위구르어 . 곡의 대부분은 표준중국어이지만 1분 29초 부분부터 위구르어 가사가 잠시 나온다.


6. 기타[편집]


2020년 2월 이후로 구글 번역기에 위구르어 번역도 추가되었다.

위구르어 위키피디아가 개설되었다. 주로 아랍문자를 사용한다.

캔서스대학서 공짜로 배포하는 위구르어pdf배움자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3:01:01에 나무위키 위구르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애초에 우즈베크어와 위구르어도 다양한 방언들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위구르어 같은 경우에는 언어의 통일이 정책적으로 이루어진 적이 없기에 더욱 그러하다.[2] 현재 쓰이는 라틴 문자 표기법과는 차이가 있다. 현재 쓰이는 표기법은 비교적 특수문자 사용을 지양한 편.[3] 당연히 튀르키예어도 속설과 다르게 쉽지는 않다. 그나마 튀르키예어는 한국인들이 많이 접하는 라틴 문자로 표기되지만 위구르어는 한국인들이 덜 접하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다 보니 이런 면에서 진입장벽이 높아지기도 한다.[4] 마치 튀르키예어와 아제르바이잔어가 공통점이 많은 것과 비슷하다.[5] 위구르족 전통 현악기 연주자로도 유명한 사람이다. 분리독립에 민감한 중국정부에 의해 신장 재교육 수용소에 수용되었다. 원인은 그의 노래 가사에서 '전쟁의 순교자들'이라는 가사가 들어간 것 때문으로 여겨진다.[6] 본명은 نەۋقىران يۈسۈپ 혹은 Newqiran Yüsüp, Нәвқиран Йүсүп 중국어명은 那吾克热·玉素甫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