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샘

덤프버전 :


우리말샘
파일:우리말샘 로고.png
종류
국어사전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언어
한국어
회원가입
선택
소유
국립국어원
개설
2016년 10월[1]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설명
3. 신뢰도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국어사전이다. 2016년에 공개되었으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로 배포된다.


2. 설명[편집]


표준어 뿐만 아니라 신조어, 중세 한국어근대 한국어고어, 방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대한민국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은 외래어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그런지 표제어 수가 110만 단어가 넘었다.

한 단어에 쓰이는 여러가지 방언형이 있다. 지역마다 다른 발음의 단어 또한 개개의 것으로 보고 '사랑'과 '샤랑'이 따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여러가지 지명, 학교 이름, 인명, 책이름까지 포함되어 있다. 가령 운수 좋은 날, 이화여대 = 이화여자대학교 등 한국인이 알만한 책과 지명은 죄다 등재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단어사전이 아니라 백과사전의 성격도 어느 정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신뢰도[편집]


참여형 사전이기 때문에 우리말샘이 네이버 오픈사전처럼 최소한의 검증 장치도 없이 누구나 단어를 올릴 수 있는 공신력이 떨어지는 사전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우리말샘에 등록된 단어와 뜻풀이는 참여자 제안 정보전문가 감수 정보로 나뉘어지며, 참여자들이 항목을 작성하면 국립국어원의 전문가가 감수해서 항목을 등록한다. 누구나 등록할 수 있는 참여자 제안 정보와는 달리 전문가 감수 정보국립국어원의 전문가가 직접 표현, 표기와 내용을 감수한 정보이기 때문에 네이버 오픈사전과는 달리 최소한의 신뢰성이 담보된다는 차이점을 갖추고 있다. 국립국어원온라인가나다에 올라오는 맞춤법, 띄어쓰기 등 규범 표기에 대한 질문 또한 우리말샘전문가 감수 정보를 기반으로 답변이 이루어지므로 일부의 오해와는 달리 우리말샘의 전문가 감수 정보는 사실상 국립국어원에서 공인한 가장 믿을 만한 정보라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어원 정보들은 분명 검수를 받은 것이기는 하지만 한국어 어원 연구가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있기 때문에 100% 신뢰하기는 어렵다. '그나마 통설로 봐줄 만한 것' 정도를 실었다고 보는 것이 좋다. 이 역시 일반인 수준에서는 어원 정보를 찾을 때 우리말샘을 인용해도 큰 무리는 없는 정도이다.

'북한어'라는 표기는 단순히 표준국어대사전엔 실리지 않았으나 북한의 한국어 사전에 실린 어휘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심지어 남한에서 쓰이기 쉬운 '넝쿨장미' 같은 말까지 북한어 취급을 하여 당혹스럽다는 시각도 있다. #

단, 국립국어원에서 인정한 것은 '이 단어가 많이 사용된다', '이런 뜻으로 쓰인다' 정도이고, 표준어로 인정했다고까지 보기는 어렵다. 표준어 등재 여부는 어디까지나 표준국어대사전을 참고해야 한다. 때문에 유행어/신조어를 주로 다루는 나무위키에서는 '우리말샘엔 실렸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엔 실리지 않았다'라고 설명하게 되는 단어들이 꽤 있다.

4. 여담[편집]



위 동영상에서 우리말샘을 참고한 모양인지 한국어의 단어가 100만 개가 넘는다고 하고 있다. 다만 위에서 보듯 동일한 형식의 여러 방언형이 수록되어 있고 고형도 포함되어 있기에 현대 한국어의 단어 개수라고 보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단어 수는 50만 개 정도 된다. 어쨌거나 우리말샘을 세계 최대의 온라인 자국어-자국어 사전으로 볼 수 있겠다.

표준국어대사전을 기반으로 검색이 편하게 정렬한 워드 로우 등의 사이트가 있다. 단어 첫부분이나 끝부분만 기억날 때 사용하기에는 편리하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1:27:40에 나무위키 우리말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