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계충

덤프버전 :

요사(遼史)

[ 본기(本紀) ]

||<tablewidth=100%><tablebgcolor=#a0522d><width=33%> 1·2권 「태조기(太祖紀)」 ||<width=33%> 3·4권 「태종기(太宗紀)」 ||<width=33%> 5권 「세종기(世宗紀)」 ||
||<rowbgcolor=#fff,#191919> 야율아보기 || 야율요골 || 야율올욕 ||
|| 6·7권 「목종기(穆宗紀)」 || 8·9권 「경종기(景宗紀)」 || 10·11·12·13·14·15·16·17권 「성종기(成宗紀)」 ||
||<rowbgcolor=#fff,#191919> 야율술률 || 야율명의 || 야율문수노 ||
|| 18·19·20권 「흥종기(興宗紀)」 || 21·22·23·24·25·26권 「도종기(道宗紀)」 || 27·28·29·30권 「천조제기(天祚帝紀)」 ||
||<rowbgcolor=#fff,#191919> 야율지골 || 야율사랄 || 야율아과 · 야율순 · 야율아리 · 야율대석 ||
||<-3><width=1000> ||
※ 31권 ~ 62권은 志에 해당. 63권 ~ 70권은 表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본기(本紀) ]

||<tablewidth=100%><tablebgcolor=#a0522d><width=33%> 1·2권 「태조기(太祖紀)」 ||<width=33%> 3·4권 「태종기(太宗紀)」 ||<width=33%> 5권 「세종기(世宗紀)」 ||
||<rowbgcolor=#fff,#191919> 야율아보기 || 야율요골 || 야율올욕 ||
|| 6·7권 「목종기(穆宗紀)」 || 8·9권 「경종기(景宗紀)」 || 10·11·12·13·14·15·16·17권 「성종기(成宗紀)」 ||
||<rowbgcolor=#fff,#191919> 야율술률 || 야율명의 || 야율문수노 ||
|| 18·19·20권 「흥종기(興宗紀)」 || 21·22·23·24·25·26권 「도종기(道宗紀)」 || 27·28·29·30권 「천조제기(天祚帝紀)」 ||
||<rowbgcolor=#fff,#191919> 야율지골 || 야율사랄 || 야율아과 · 야율순 · 야율아리 · 야율대석 ||
||<-3><width=1000> ||
※ 31권 ~ 62권은 志에 해당. 63권 ~ 70권은 表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71권 「후비전(后妃傳)」
소탁진 · 소아리신 · 소월리타 · 소암모근 · 술률평 · 소온 · 소철갈지 · 견비 · 소황후 · 소작 · 소보살가 · 소누근 · 소달리 · 소삼천 · 소관음
소탄사 · 소탈리라 · 소사고 · 소비비 · 소귀가
72권 「종실전(宗室傳)」
73권 「야율갈로등전(耶律曷魯等傳)」
야율배 · 야율이호 · 야율준 · 야율오로알
야율갈로 · 소적로 소아고지 · 야율사열적 야율로고 야율파덕 · 야율욕온 · 야율해리(海里)
74권 「야율적랄등전(耶律敵剌等傳)」
75권 「야율적렬등전(耶律覿烈等傳)」
야율적랄 · 소흔독 · 강묵기 · 한연휘 · 한지고
야율적렬 · 야율탁진 · 왕욱 · 야율도로군
76권 「야율해리등전(耶律解里等傳)」
야율해리(解里) · 야율발리득 · 야율삭고 · 야율노불고 · 조연수 · 고모한 · 조사온 · 야율구리사 · 장려
77권 「야율옥질등전(耶律屋質等傳)」
78권 「야율이랍갈등전(耶律夷臘葛等傳)」
야율옥질 · 야율후 · 야율안단 · 야율와 · 야율퇴욱 · 야율달열
야율이랍갈 · 소해리 · 소호사 · 소사온 · 소계선
79권 「실방등전(室昉等傳)」
80권 「장검등전(張儉等傳)」
실방 · 야율현적 · 여리 · 곽습 · 야율아몰리
장검 · 형포박 · 마득신 · 야율도로군 · 야율팔가
81권 「야율실로등전(耶律室魯等傳)」
82권 「야율융운등전(耶律隆運等傳)」
야율실로 · 왕계충 · 소효충 · 진소곤 · 소합탁
야율융운 · 야율발고철 · 소양아 · 무백 · 소상가 · 야율호고
83권 「야율휴가등전(耶律休哥等傳)」
84권 「야율사등전(耶律沙等傳)」
야율휴가 · 야율사진 · 야율해저 · 야율학고
야율사 · 야율말지 · 소간 · 야율선보 · 야율해리
85권 「소달름등전(蕭撻凜等傳)」
소달름 · 소관음노 · 야율제자 · 야율해리(諧理) · 야율노과 · 소류 · 고훈 · 해화삭노 · 소탑열갈 · 야율살합
86권 「야율합주등전(耶律合住等傳)」
야율합주 · 유경 · 유육부 · 야율요리 · 우온서 · 두방 · 소화상 · 야율합리지 · 야율파적
87권 「소효목등전(蕭孝穆等傳)」
소효목 · 소포노 · 야율포고 · 하행미
88권 「소적렬등전(蕭敵烈等傳)」
소적렬(蕭敵烈) · 야율분노 · 소배압 소항덕 · 야율자충 · 야율요질 · 야율홍고 · 고정 · 야율적록(的琭) · 대강예
89권 「야율서성등전(耶律庶成等傳)」
90권 「소아랄등전(蕭阿剌等傳)」
야율서성 · 양석 · 야율한류 · 양길 · 야율화상
소아랄 · 야율의선 · 소도외 · 소탑랄갈 · 야율적록(敵祿)
91권 「야율한팔등전(耶律韓八等傳)」
92권 「소탈랄등전(蕭奪剌等傳)」
야율한팔 · 야율당고 · 소출철 · 야율결 · 야율복리독
소탈랄 · 소보달 · 야율후신 · 야율고욱 · 야율독매 · 소한가 · 소오야
93권 「소혜등전(蕭惠等傳)」
소혜 · 소우로 · 소도옥 · 야율탁진
94권 「야율화가등전(耶律化哥等傳)」
야율화가 · 야율알랍 · 야율속살 · 소아노대 · 야율나야 · 야율하로소고 · 야율세량
95권 「야율홍고등전(耶律弘古等傳)」
야율홍고 · 야율마륙 · 소적렬(蕭滴冽) · 야율적록 · 야율진가노 · 야율특마 · 야율선동 · 소소삽 · 야율대비노
96권 「야율인선등전(耶律仁先等傳)」
야율인선 · 야율량 · 소한가노 · 소덕 · 소유신 · 소악음노 · 야율적렬 · 요경행 · 야율아사
97권 「야율알특랄등전(耶律斡特剌等傳)」
야율알특랄 · 해리 · 두경용 · 야율인길 · 양적 · 조휘 · 왕관 · 야율희손
98권 「소올납등전(蕭兀納等傳)」
소올납 · 야율엄 · 요신 · 야율호려
99권 「소암수등전(蕭巖壽等傳)」
100권 「야율당고전(耶律棠古等傳)」
소암수 · 야율살랄 · 소속살 · 야율달불야 · 소달불야 · 소홀고 · 야율석류
야율당고 · 소득리저 · 소수알 · 야율장노 · 야율출자
101권 「야율적랄등전(耶律敵剌等傳)」
102권 「소봉선등전(蕭奉先等傳)」
야율적랄 · 야율아식보 · 소을설 · 소호독
소봉선 · 이처온 · 장림 · 야율여도
103·104권 「문학전(文學傳)」
105권 「능리전(能吏傳)」
소한가노 · 이한 · 왕정 · 야율소 · 요휘 · 야율맹간 · 야율곡욕
대공정 · 소문 · 마인망 · 야율탁로알 · 양준욱 · 왕당
106권 「탁행전(卓行傳)」
107권 「열녀전(列女傳)」
소차랄 · 야율관노 · 소포리불
야율상가 · 소의신 · 소와리본 · 소뇌란
108권 「방기전(方技傳)」
109권 「영관·환관전(伶官宦官傳)」
직로고 · 왕백 · 위린 · 야율적로 · 야율을불가
나의경 · 왕계은 · 조안은
110·111권 「간신전(奸臣傳)」
야율을신 · 장효걸 · 야율연가 · 소십삼 · 소여리야 · 야율합로 · 소득리특 · 소와도알 · 소달로고 · 야율탑불야 · 소도고사
112·113·114권 「역신전(逆臣傳)」
야율할저 · 야율찰할 · 야율누국 · 야율중원 · 야율활가 · 소한 · 야율첩랍 · 야율랑 · 야율유가 · 야율해사 · 야율적랍 · 소혁 · 소호도 · 소첩리득 · 고첩 · 야율살랄죽 · 회리보 · 소특열
115권 「이국외기(二國外記)」
고려 · 서하
※ 116권은 國語解에 해당. 요사 문서 참고




1. 개요
2. 생애
2.1. 북송 시절
2.2. 요나라 시절


1. 개요[편집]


王繼忠
(? ~ 1023)

북송, 요나라의 인물.

송나라 황제인 진종의 측근이었다가 요나라에서 붙잡힌 후에는 사성을 할 정도로 총애받았고, 전연의 맹을 성사시킨 사람이다.


2. 생애[편집]



2.1. 북송 시절[편집]


아버지가 와교관 전투에서 전사하자 여섯 살에 동서반전시에 임명되었고, 진종이 태자가 되었을 때 좌우근시가 되어 최측근이 되었으며, 진종이 즉위하자 내전숭반으로 옮겼다가 전전도우후, 영 운주관찰사가 되었다.

심주부도부서에 임명되었다가 고쳐서 진, 정, 고양관 삼로검할 겸 북도전운사가 되었으며, 고양관부도부서로 갔다가 정주로 옮겼다.

1003년에 정주 망도에서 요나라의 군사가 도착하자 강촌에 도착해 싸웠지만 패하고 야율노과에게 생포되었으며, 송나라에서는 왕계충이 이 때 죽은 것으로 알아서 대동군절도사에 봉하고 그의 아들들은 벼슬을 받았다.


2.2. 요나라 시절[편집]


예지태후가 왕계충이 현명한 것을 알고 호부사에 임명하면서 강묵기 집안의 딸을 아내로 주어 요나라에 살도록 했으며, 왕계충도 감격해 요나라를 섬겼다. 송나라에서 왕계충이 선제 때의 원로급 신하라면서 사신을 보낼 때마다 하사품을 보냈고, 성종이 왕계충에게 받으라고 지시했다.

1004년에 송나라의 사신으로부터 화살, 채찍, 평화협정의 주선을 요청하는 글을 받았으며, 성종이 허락하자 전연의 맹을 체결시켰다.

집에 노비가 없다고 해서 황실에 예속된 30호를 하사받고 좌무위상장군에 책봉되었고 1013년에는 중경유수, 검교태보에 임명되었으며, 1016년에는 한족행궁 도부서, 낭야군왕이 되었고, 1017년에는 초왕이 되고 국성을 하사받았다.

성종과 함께 술을 마시다가 소합탁을 북원추밀사로 삼으면 어떻냐고 묻자 문장에 재능이 있지만 정치에 어둡다고 했으며, 소적렬이 재능과 행실을 겸비해 감당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성종은 소합탁을 임용했고 소합탁을 보내 고려를 공격하면서 야율계충을 출동군 부부서로 임명했으며, 소합탁이 흥화진을 공격했다가 1개월이 넘도록 점령하지 못하고 철수하자 야율계충이 사람보는 눈이 있다고 해서 추밀사에 임명되었다.

1023년에 벼슬에서 은퇴하고 죽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9 12:28:06에 나무위키 왕계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