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친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완친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고종의 황자
완친왕 | 完親王


조선 고종의 왕자
완화군 | 完和君


파일:완화군묘.jpg

완화군묘 전경
출생
1868년 5월 31일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
1880년 2월 21일 (향년 11세)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묘소
완화군묘(完和君墓)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선(墡)
부모
부황 고종 태황제
모친 영보당 귀인 이씨
형제자매
4남 1녀 중 장남
작호
조선: 완화군(完和君)

대한제국: 완친왕(完親王)[1]
시호
조선: 효헌공(孝憲公)

대한제국: 효헌왕(孝憲王)

1. 개요
2. 생애
3. 사망과 이후
4. 여담
5. 대중매체
5.1. 드라마
5.2. 소설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완친왕은 조선왕자이자 (사후) 대한제국의 황족. 생전에 받았던 봉호는 완화군(完和君). 시호가 효헌(孝憲)이라 '완효헌왕(完孝憲王)' 혹은 '완왕(完王)'이라고도 한다.

고종의 첫 아들이었지만 서자였다.[1] 즉, 고종의 전체 9남 4녀[2] 중에서 맏이로 서장남이다. 고종은 명성황후와 가례를 올렸을 때 이미 9살이나 연상인 궁녀 이씨를 총애했었고, 그래서 명성황후와는 신혼 때 서먹하게 지냈다. 그 때 이씨에게서 얻은 아이가 바로 완화군이다.


2. 생애[편집]


조선 후기로 갈수록 많은 왕손들이 태어나자마자, 혹은 유아기때 죽거나 젊은 나이에 요절해버려[3] 왕실의 손이 귀해졌고, 후궁 소생의 서자나 그 서손들이 왕위를 잇는 일이 흔했다. 때문에 생모가 미천한 신분이여도 왕의 자식으로만 태어나면 아들 딸 막론하고 적출 못지않은 존귀한 대접을 받았으며, 그렇기 때문에 아들, 그것도 왕의 장자를 출산했다면 왕비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왕의 모후를 꿈꿔보는 것이 허황된 이야기는 아니었다. 실제로 신분은 낮았으나 아들이 세자 책봉을 받거나 왕위에 올랐던 희빈 장씨, 숙빈 최씨, 영빈 이씨, 의빈 성씨 등이 있었다.

실로 오랜만에 왕자가 탄생하자[4], ‘영보당’이라는 당호만 가진 승은상궁 소생의 서자임에도 원자 탄생 못지않게 온 조정과 왕실이 기뻐했다. 특히 흥선대원군은 첫 손주인 완화군을 정말로 귀여워하며 육아에 적극 참여했을 정도로 완화군은 사실상 암묵적인 원자 대접을 받았다.[5] 또 완화군은 서출 왕자로선 파격적인 대우로 강학청을 설치해 별도의 교육을 받았다. 강학청은 원자나 왕세자를 위한 교육기관이니 당시 완화군의 왕실 내 입지가 어떠했는지를 알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3년 후 명성황후가 원자를 낳자 대원군이 자신이 아끼는 완화군을 세자로 삼기 위해 명성황후의 아들을 인삼을 보내 독살했다는 야사까지 생겼다. 이는 일고의 가치도 없는 거짓말이니 속지 말자. 세상에 어떤 멍청이가 서자를, 그것도 아무 뒷배 없는 궁녀가 낳은 왕자를 후계로 세우겠답시고 적손을 죽인단 말인가. 훗날 명성황후와 흥선대원군의 관계가 완전히 틀어져 정적이 된 것 때문에 생긴 소문일 뿐이다. 정사에는 분명히 항문 기형[6]으로 출생 4일 만에 사망했다고 적혀있다.

흥선대원군이 물러난 직후인 1874년(고종 11년), 명성황후와 고종 사이의 차남이자 적자인 이 태어나자, 당시 7살이던 완친왕은 원자의 입지를 위해서였는지 어머니 영보당 이씨와 함께 궁 밖에 나가 살았다.


3. 사망과 이후[편집]


1880년(고종 17년)에 열병을 앓다 1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는 현재의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에 있는 월곡산에 있었다가, 8.15 광복 이후 도시 개발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서삼릉 근처로 옮겼다.# 1897년(광무 원년) 대한제국 성립 후 완친왕으로 추존되어 군(君)에서 왕(王)으로 작호가 격상되었다.


4. 여담[편집]


  • 명성황후가 완친왕 모자를 꺼렸던 것 때문에 시중에는 명성황후가 완화군을 독살했다는 소문이 나돌았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소문일 뿐 제대로 된 근거는 없다.[7] 심지어 완화군 생모인 영보당 이씨마저 아들의 죽음에 충격을 받아 자살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그런데 1928년 12월 19일자 동아일보에는 1880년이 아니라 그 이틀 전 17일 정오에 영보당 이씨가 사망했다는 기사가 실렸다.# 이를 보아 자살설은 낭설인 듯 하다.

  • 구한말 상궁들의 증언에 따르면, 완화군이 죽자 조 대비가 매우 애통해하며 완화군의 제삿상에 생전에 좋아했던 군밤을 올리도록 했으며, 행여 군밤이 식기 전에 영전에 올리라고 상궁들에게 성화를 냈다고 한다. 고종 군밤 루머의 진짜 주인공은 완화군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것도 야사라서 정확한 사실은 모른다.

  • 원자나 왕세자가 아닌 서출 왕자의 신분으로 파격적인 대우를 받아 완화군 한 사람만을 위한 별도의 교육기관 강학청이 관례를 올린 이후 시점인 1876년 부터 사망하기 직전인 1879년까지 유지되었다.[8]

5. 대중매체[편집]



5.1. 드라마[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성황후 완화군 아역.png}}} ||<width=420>
파일:명성황후 완화군.png
[1] 그것도 궁녀라는 한미한 신분 출신의 어머니를 둔.[2] 만 2세 이전에 요절한 자녀를 제외하면 4남 1녀[3] 그래서 듣보방계 왕족인 고종이 즉위할 수 있었다.[4] 앞서 철종이 1854년, 1858년, 1859년, 1861년, 1862년에 각각 왕자를 낳았으나 모두 일찍 죽었다.[5] 훗날 정비 명성황후가 적자인 순종을 낳은 것은 6년 뒤의 일이었다. 사실 순종 위로 원자 하나가 더 있었는데, 항문폐쇄증으로 태어난 지 5일을 넘기지 못한 채 사망했다고 한다. 뒤이어 태어난 둘째아이는 왕자가 아닌 공주였으며, 역시 첫 돌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했기 때문에 당시 정세는 여러모로 완화군 모자에게 유리한 상황이였다.[6] 선천적으로 항문이 없었는데, 묘안 증후군인 듯하다. KBS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도 이를 정확히 고증했다.[7] 명성황후 입장에선 이미 자신이 낳은 아들인 이척이 세자가 된 상황에서 나이는 많지만 서출이라 계승 서열이 밀리는 완화군을 굳이 먼저 죽일 이유는 없다.[8] 이 시기 왕실의 사정을 살펴보면 이미 원자인 뒷날의 순종이 태어나 있었음에도 완화군에 대한 종친부와 왕실의 대우가 남달랐음을 알수 있다
〈명성황후〉의 완친왕
2001년 KBS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는 강성현(유년), 김영찬(소년)이 연기했다.


5.2. 소설[편집]


서자이지만 고종의 장자이고, 실제 역사에서 일찍 죽었다는 점 때문인지 구한말을 다룬 대체역사물에서는 종종 주인공을 맡기도 한다. 당연히 여기서는 요절하지 않고 살아남아 조선의 근대화를 이끈다.

6.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영조 현효대왕
도정궁 사손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
순조 숙황제
상계군
전계대원군
남연군
풍계군
진안군
문조 익황제
철종 장황제
익평군
회평군
영평군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헌의대원왕
완평군
완성군
헌종 성황제
고종 태황제

†덕안군
경은군

청안군
†완림군
완순군
†완영군
흥친왕
†완은군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
완창군

†완효헌친왕
순종 효황제
의친왕
의민황태자

†풍선군
영선군
경원군

청풍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대한제국 수립 전에 사망했으나 사후 황족 작위를 추증받은 사람
‡ 대한제국 수립 이후에 사망했으나 사후 황족 작위를 추증받은 사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6:45:17에 나무위키 완친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