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은군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영조 현효대왕
도정궁 사손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
순조 숙황제
상계군
전계대원군
남연군
풍계군
진안군
문조 익황제
철종 장황제
익평군
회평군
영평군
흥녕군
흥완군
흥인군
‡흥선헌의대원왕
완평군
완성군
헌종 성황제
고종 태황제

†덕안군
경은군

청안군
†완림군
완순군
†완영군
흥친왕
†완은군
†인양군
의양군
예양정
완창군

†완효헌친왕
순종 효황제
의친왕
의민황태자

†풍선군
영선군
경원군

청풍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
※ 은신군은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후사를 이었으나 당시에는 장조 의황제의 아들로 간주하여 그 후손들에게 황족 작호를 수여함
† 대한제국 수립 전에 사망했으나 사후 황족 작위를 추증받은 사람
‡ 대한제국 수립 이후에 사망했으나 사후 황족 작위를 추증받은 사람







대한제국 장조[1]의 현손
완은군 이재선 | 完恩君 李載先


조선 장종의 현손
완은군 이재선 | 完恩君 李載先

봉호
완은군(完恩君)
이름
이재선(李載先)[2][3]

산남(山南)
부친
흥선대원군 이하응
모친
부대부인 여흥 민씨(적모) 계성월(생모)
출생
1842년 8월 1일
한성부 중부 정선방 돈녕부상계 니동 운현궁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
사망
1881년 10월 28일 (향년 39세)

1. 소개
2. 생애
2.1. 최후
2.2. 사후
3. 가족과 후손
4. 대중매체
5. 여담
5.1. 오해



1. 소개[편집]


조선왕족이자 무관#武官. 흥선대원군과 계성월 사이에서 태어난 서장자(庶長子)로 흥친왕 이재면고종황제의 형이다.

2. 생애[편집]


1842년(헌종 8) 8월 1일, 한성부 중부 정선방 돈녕부상계 니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현궁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행적은 알 수 없다.

무과에 급제하여 이복동생 고종의 즉위 후 훈련원 주부와 훈련원 첨정을 거쳐 오위장과 남양감목관, 그리고 양주 목사와 첨지중추부사가 되는 등 주요 보직들을 맡았고 최종적으로 종2품 참판에까지 이르렀다.


2.1. 최후[편집]


별군직에 있던 1881년(고종 18년) 소위 '이재선 추대 대역 음모 사건'에 연루되었다. 이 사건은 흥선대원군이 실각한 후 민씨 일파가 실권을 쥐고 개국 정책을 펴자, 이에 불만을 품은 흥선대원군의 측근들인 전(前) 승지(承旨) 안기영(安驥泳) · 권정호(權鼎鎬) 등이 민씨 세력을 몰아내고 이재선을 추대하여 흥선대원군을 권좌에 복귀시키려는 음모였다. 이들은 거사 자금 · 군대 동원 · 요인 암살 등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기회를 기다렸으나, 8월 28일 경기도 광주부 장교 이풍래의 밀고로 모두 체포되었다.

직접적으로 개입은 하지 않았어도 반란 세력의 택군 대상[4]이었던 이재선은 심문을 피할 수 없었다. 단, 잡히기 전에 먼저 의금부에 자수를 하기는 했다. 그래도 역모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혹독한 고문을 동반한 심문을 받았다.

결국 안기영 · 권정호 · 이두영(李斗榮) 등 많은 관련자들이 사형당하고, 이재선은 제주도귀양을 갔다. 그러나 양사와 홍문관으로부터 계속 탄핵을 받아[5] 결국 같은 해 사약을 받고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때 죽지 않고 한성으로 돌아와서 사사되었다는 설과, 비공식적으로 신분을 바꾸고 살았다는 설 등이 있다.


2.2. 사후[편집]


1899년(광무 3년)에 그의 족보 상 고조할아버지인 사도세자가 장종을 거쳐 장조의황제로 추존받았다. 황제의 4대손까지는 황족으로 대우한다는 법에 근거하여 저 조건에 해당하는 황족들은 봉호를 받았지만[7] 역모로 죽은 이재선은 아무 작위를 받지 못했다. 1907년(광무 11년) 7월에 고종이 그를 사면시켰고 '완은군(完恩君)'으로 추봉했다.


3. 가족과 후손[편집]


판관(判官)을 지낸 신석완(申錫完)의 딸 평산 신씨(1843. 6. 20 ~ 1922)와 혼인하여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장남 이주용(李𡓣鎔,? ~?)의 삶은 기록에 전해지지 않는다. 장녀의 이름은 이창화(李昌和, 1867 ~ 1937)이고 차녀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다. 부인 신씨는 경술국치 이후 1922년까지 살았다.

이창화는 3살 어린 평산 신씨 가문의 시어(侍御) 신형균과 혼인했으며 70세까지 장수했다.#

이재선 사후 부인인 신씨는 그의 실제 혈통 상[8] 7촌 조카인[9] 이관용(李'土+灌'鎔)을 양자로 입적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관용(1891) 문서 참조.


4. 대중매체[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찬란한 여명 완은군.png}}} ||
〈찬란한 여명〉의 완은군
1996년 KBS찬란한 여명〉에서는 박현이 연기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성황후 이재선.png}}} ||
〈명성황후〉의 완은군
2001년 KBS명성황후〉에서는 이우석이 연기했다.




5. 여담[편집]



5.1. 오해[편집]


파일:46580b3b35893.jpg}}}
파일:46580b50029ea.jpg
파일:46580b66279d5.jpg
완은군 이재선으로 잘못 알려진 청안군 이재순의 사진
한 때 이 사진들이 흥선대원군의 서장자인 완은군 이재선으로 잘못 알려진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재선의 사진이 아니다.

사진의 주인공은 완은군과 족보 상 8촌이자 철종의 생가 누동궁의 사손인 청안군 이재순이다.

추정하자면 아마 당시 외국인들이 이재순의 'Sun'과 'Soon'을 혼동해서 표기했고 이 와중에 'Sun'을 이 아닌 '선'으로 잘못 읽어 오해가 빚어졌다.

하지만 두 번째, 세 번째 사진 아래 설명을 보면 확실하게 'Soon'으로 적혀있다. 그리고 첫 번째 사진 설명문에는 1890년에 촬영했다고 하는데 완은군 이재선은 1881년에 죽었기에 사진을 찍을래야 찍을 수 없다. 그리고 조선에서 조선인이 직접 찍은 첫 번째 사진은 1880년대 중반에 가서야 나타난다.[11] 즉 이재선 생전에는 조선에 사진을 촬영할만한 곳도 그런 기술을 가진 사람도 없었기에 사진을 찍을 수가 없었다.

또 하나, 밑에서 첫 번째 사진에 해당 인물에 대한 설명이 'Cousin of King' 으로 적혀있다. 비록 이복형제라 해도 엄연히 아버지가 같은 형제를 'Cousin' 으로 쓰는 것은 말이 안 된다. 'Cousin'은 4촌 뿐 아니라 더 먼 같은 항렬의 즉 형제뻘을 이르는 단어로도 쓰이며, 족보 상 고종과 8촌인 청안군 이재순은 이에 해당한다. 그래서 이 사진들 속 사람은 청안군 이재순이 맞다.[12]

즉, 실제 완은군의 남아있는 사진은 없다.

[1] 남연군의 양아버지 은신군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봉사손이었다. 그러나 계대 문제로 조선시대 당시에 은신군의 후손들은, '우리는 연령군의 제사를 챙길 뿐, 엄연히 사도세자(장조)의 자손'이라고 인식했고, 왕실에서도 그들에게 영조 - 사도세자의 후손 자격으로 군호를 주었다.(20세기 중반부터는 연령군을 조상으로 인정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연령군, 낙천군, 은신군 문서 참조.[2] 장조의 현손 항렬 대에서는 이름에 '어진사람 인(儿)'이 들어간 글자를 공유한다. 정조의 증손인 헌종은 '환()'으로 안에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고종은 '형()'으로 좌우로 밖에 나뉘어 있으며, 초명 '재황(載)'에는 '황(晃)'의 밑에 발의 형태로 들어가있다. 은언군의 증손인 덕안군은 '재덕(載)', 청안군은 '재순(載)'으로 파자하지 않으면 잘 알아보기 어려운 형태이다. 은신군은전군의 증손으로 완림군은 '재원(載)', 완순군은 '재완(載)', 완영군은 '재긍(載)', 흥친왕은 '재면(載)', 완은군은 '재선(載)', 인양군은 '재근(載)', 의양군은 '재각(載)', 예양정은 '재규(載)'로, 고종의 초명과 마찬가지로 발의 형태로 온전히 들어가있다. 완평군의 둘째 아들 '재현(載)'은 본가의 양자로 들어가 황실 종친 자격을 잃었지만 이름자에 '儿'은 그대로 있다. 유일하게 경은군 '재성(載星)'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았는데, 서자인데다 작호를 받은 게 굉장히 늦은 시기여서 그런 듯하다.[3] 사족으로 아이러니 한 것은, 저 중 헌종을 제외하고 장조의 실제 혈통을 물려받은 사람은 유일하게 저 규칙을 사용하지 않은 이재성 뿐이라는 것이다.(나머지는 전부 입양을 통해 족보상 후손이 된 경우이다.)[4] 擇君. 왕으로 선택 된 대상.[5] 큰아버지 흥인군 이최응 역시 그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6] 작위 수여 당시 고인.[7] 은언군계 : 증(贈)[6] 덕안군 이재덕, 경은군 이재성, 청안군 이재순.
은신군계 : 증(贈) 완림군 이재원, 완순군 이재완, 증(贈) 완영군 이재긍, 완흥군 이재면.
은전군계 : 증(贈) 인양군 이재근, 의양군 이재각, 예양정 이재규.
[8] 완은군의 가계는 원래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후손이나 완은군의 할아버지 남연군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했다.[9] 《인평대군파보》에 따르면, 이관용은 남연군의 친동생 이휘중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생가 사촌동생인 형조판서 이명응의 손자이며 군수를 지낸 이재택의 둘째 아들로 나와있다.[10] 이때 걸린 과정이 어이가 없는데 미사가 끝나고 김 아녜스와 밤길을 걷던 윤준혁과 마주쳤고 연무학원 시절 교관이었던 그에게 이재선이 경례를 하자 이에 윤준혁이 응하는 과정에서 소매에 감췄던 성경이 떨어져 버린 것...[11] 조선에서 처음으로 사진을 찍은 시기는 1871년도이긴 한데, 그 때 찍은 사진은 신미양요 때 미국 해군이 조선군 포로를 촬영한 것이다.[12] 아랫 사진을 보면 'Fat Prince' 라고 적혀있는데 번역하면 '뚱보 공(公)'. 외국인들 사이에서 그의 별명이었다. 더 위의 관복을 입은 사진을 보면 뱃살이 나와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재선 문서의 r41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재선 문서의 r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6:23:35에 나무위키 완은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