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족공화

덤프버전 :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오족공화를 상징하는 오색기[1]
1. 개요
2. 역사
3.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오족공화()는, 중화민국에서 내세운 정치구호로, 한족, 만주족, 몽골족, 무슬림(후이족, 위구르, 카자흐인, 키르기스인 등), 티베트족으로 구성된 중국겨레들이 어울리자는 뜻이다. 영어로는 보통 Five Races Under One Union라고 한다.[2]


2. 역사[편집]


장치옌이 처음 주장했다. 이른바 "한만몽회장(漢滿蒙回藏)". 쑨원신해혁명 이전과 혁명 시기에는 한족 민족주의를 주창했으나 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성립된 이후에는 오족공화를 수용했다.

중화민국 시기 해당 구호를 밀어준 배경에는 청나라의 멸망 전후하여 영국과 러시아가 각각 티베트와 몽골, 동튀르키스탄을 노리는데 있었다. 청나라 치하의 티베트와 외몽골은 청나라 멸망 이후 자신들은 만주족이 청나라와 관계를 맺었을 뿐 한족과는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으며 독립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한 편 청나라 치세 당시에는 만주족, 몽골족은 귀족 계급에 속했고, 티베트인은 명목상으로나마 한족보다 우대받던 민족 계급이기도 했다.

  • 한족(漢) : 청나라가 명나라를 정복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과정에서 중화 제국의 영토는 크게 확장되었지만 한족의 주 거주 지역은 이전 명나라 영토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청나라가 새로 정복한 지역의 한족 인구는 희박한 편이었고, 만주를 제외하면 이주를 희망하는 한족도 많지 않았다.
  • 만족(滿) : 만주족의 청나라가 멸망한 이후 상당수의 만주족은 기득권 지위를 상실하고 평소에 만주족과 원한이 깊었던 한족이나 후이족들에게 보복을 당한다. 한 편 티베트와 몽골은 상술한 것처럼 만주족의 청나라와 관계를 맺은 것이지 한족과는 관계가 없다고 선을 그으며, 독립을 시도하고 동시에 러시아 제국/소련 혹은 인도를 식민통치하던 영국과 접촉하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과거 청나라 영토 영유권 전체를 주장하기 위해 만주족과 한족은 같은 민족이라는 이데올로기를 주장하는 것이 자연스러웠다.
  • 몽골족(蒙) : 몽골족은 만주족과 함께 팔기군의 주축이었고, 청나라의 성립과 정통성은 원나라의 옥새를 이어받아 만몽연합정권이 구성됨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한 편 중화민국 북쪽에서는 러시아 제국과 그 후신인 소련이 외몽골 일대의 영토를 노렸다.
  • 회족(回) : 무슬림들을 그냥 다 뭉뚱그린 표현이다. 20세기 초반 청나라 영내에는 후이족 외에도 여러 무슬림 민족 집단이 살고 있었으나, 청나라 정부는 이들을 편의에 따라 이들을 회민(무슬림 백성)으로 혹은 팔기군에 편입할 때는 몽골팔기로 분류하였지 구체적으로 분류하지는 않았다.[3] 참고로 동튀르키스탄 일대의 튀르크계 무슬림들을 위구르족이라고 지칭한 계기는 소련의 튀르크 언어학자 세르게이 말로프의 민족 분류에 바탕을 둔 것이었다.[4][5] 신장성의 경우는 민족 구성이 복잡하고 무슬림 민족집단끼리의 알력이나 차이도 만만치 않아서 오족공화 같은 막연한 이론이 무용지물일 수 밖에 없었다.
  • 티베트족(藏) : 티베트족 외에도 그냥 티베트 근처에 티베트 불교를 믿는 민족 전반을 다 싸잡아서 장족으로 분류했다.[6] 중화민국은 오늘날 티베트 자치구에 해당하는 티베트(1912~1951)에 행정력을 행사하는데 실패했지만, 대신 칭하이성의 상당수의 티베트계 주민들이 있었다.

원래 입헌군주제를 유지하면서 청나라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던 입헌파들의 주장에서 중요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입헌군주제 지지자들의 주요 논지 중 하나는 애초에 청나라의 여러 민족들을 구심점으로 묶는 것은 청나라 군주정인데, 청나라를 없애버리면 자연스럽게 몽골, 만주, 티베트, 위구르는 떨어져나갈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지만 쑨원과 같은 한족 민족주의자들은 이런 주장을 무시하면서 소수민족들이 한족의 공화국에 알아서 귀부할 것이라는 뇌피셜로 일관했다. 청나라 붕괴 이후 소수민족 이탈이 현실화되면서 입헌파가 맞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군주정 붕괴를 더 이상 막을 수 없자 대안으로 내세운 것이 다민족 공화국 개념인 오족공화였던 것. 그러나 북양정부 수립 후에도 국민당의 강경 한족주의자들과 중국의 여러 군벌들은 이러한 구호에 불쾌감을 느꼈다고 한다. 애초에 만주족에 대항한 한족 민족주의 혁명을 주장하던 쑨원에게 있어서 타도 대상이며 압도적 소수인 만주족과의 공화라는 개념 자체가 어이가 없는 것이었지만 신해혁명은 쑨원이 아니라 청나라 입헌파들이 주류가 된 혁명이었고 쑨원은 임시정부와의 지분 협상 과정에서 마지못해 이를 받아들였으나, 그가 북양정부와의 관계를 단절하면서 자연스럽게 오족공화도 부정해버렸다.

오늘날 중국에서도 쓰이지 않는다. 애초에 국공내전 한참 이전인 북양정부의 이념이라서 북양정부 멸망과 함께 사라진 이념이니 내세울 이유도 없거니와 국공내전의 승리 이후 중국 공산당은 과거 신장의 성스차이 군벌정권에서 도입한 소련식 소수민족 구분체계를 도입하여 소수민족 분류를 더 세분화했기 때문이다. 오족공화 자체가 엄청나게 세분화되는 현행 민족개념에 부적합하기도 하고, 지방의 왕공 제도를 인정하는 등 연방제, 자치제의 개념이 강한데 중국공산당의 성격상 용납가능한 부분이 아니다.

만주국의 오족협화와 억지로 묶는 주장도 있지만, 오족공화는 군주제가 폐지된 중국에서 군주제 붕괴의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국가를 유지하려는 개념이고, 군벌정권들의 폭주로 소수민족 자치가 심하게 훼손되기 이전까지는 소수민족 엘리트들도 그런대로 받아들인 것이었다. 세계적으로 억지 괴뢰국으로 인정받은 만주국과 달리 중국의 영토가 티베트, 위구르, 만주, 외몽골을 포괄한다는 것은 국제적으로 다 인정받은 것이고 영국, 러시아, 미국도 인정했다. 2차 세계 대전 중에 미국에서 제작된 중일전쟁 선전물을 보면 외몽골도 중국 영토로 표기한다. 하지만 오족협화는 만주에서 중국 정체성을 지우기 위해 만주의 인구 대다수가 이미 중국인인 상황에서 억지로 창조한 것으로, 일부 몽상가적 일본인 야심가들을 제외하곤 어떤 동조도 얻어낸 적도 없는 일본 침탈의 도구였다.

3. 같이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0:19:29에 나무위키 오족공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중화민국 북양정부의 국기이도 하다.[2] 실제로 영어로 오족공화를 설명할 때 Ethnic 대신 Race를 쓴다. 동북아시아의 '민족' 개념이 영어의 Ethnic이나 Nation보다는 독일의 Volk를 의미하기 때문이다.[3] 한족 관료들은 한어를 못하는 무슬림들은 그냥 편의상 이런저런 멸칭으로 불렀다.[4] 본래 이슬람교는 민족 간의 구분을 장려하지 않는다. 유사 사례로 팔레스타인인이라는 민족 개념이 19세기 초반부터 성립이 되었더라 하더라도 팔레스타인인이라는 민족 명칭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20세기 초반부터였던 사례를 들 수 있다.[5] 20세기 초반 성스차이 군벌 정권은 중화민국 정부보다는 오히려 소련과 훨씬 더 가까운 사이였다.[6] 대표적인 사례로 유고족이 중화민국 시기 장족으로 분류된 사례를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