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어

덤프버전 :

튀르크어족
[ 펼치기 · 접기 ]
보편 튀르크어파
차가타이어파
동부 차가타이어파
위구르어 · 에이누어 · 일리 투르키어
서부 차가타이어파
우즈베크어 · 우즈베크 남부 방언
차가타이어
오구즈어파
동부 오구즈어파
투르크멘어 · 우즈베크 오구즈 방언 · 호라산 튀르크어
서부 오구즈어파
튀르키예어 · 아제르바이잔어 · 가가우즈어 · 오스만어
남부 오구즈어파
카슈카이어 · 아프샤르어 · 차하르마할어 · 아이날루어
살라르어
시베리아어파
남시베리아어파
사얀어파
투바어 · 토파어 · 두하어
알타이어파
북부 알타이어
예니세이어파
서유구르어 · 하카스어 · 푸위 키르기스어 · 쇼르어
출름어파
출름어
북시베리아어파
돌간어 · 사하어
킵차크어파
킵차크-노가이어파
카자흐어 · 시베리아 타타르어 · 노가이어 · 카라칼파크어 · 페르가나 킵차크어
킵차크-불가르어파
바시키르어 · 타타르어
킵차크-쿠만어파
카라차이-발카르어 · 쿠미크어 · 크림 타타르어 · 카라임어 · 우룸어
킵차크-키르기즈어파
남부 알타이어 · 키르기스어
아르구어파
할라지어
오구르어파
추바시어 · 불가르어



.نامويكى، طرفيڭزدن تأدي ادلن آغاچ معلومات

(Namuviki, tarafınızdan teeddi edilen ağaç-ı malumat)[1]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لغت عثمانیه
오스만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
없음
(1928년 이전까지 오스만 제국, 튀르키예)
원어민
없음
어족
튀르크어족
오우즈어파
오스만어

문자
아랍 문자(페르시아 문자)
그리스 문자[2]
언어 코드
ISO-639-1
-
ISO-639-2
ota
ISO-639-3
ota
주요 사용 지역

튀르키예어
Osmanlıca
영어
Ottoman Turkish

1. 개요
2. 역사
3. 교육
4. 문자
5. 모음 표기
6. 오스만어 숫자
7. 문법
7.1. 인칭대명사
7.2. 명사의 복수어미
7.3. 명사의 서술어미
7.4. 명사어미
7.5. 전치사
7.6. 후치사
7.7. 튀르크어에 기반한 오스만어 조사
8. 오스만어 문장 예시
9. 그 외 : 카라만어(Karamanlıca)
10. 기타




1. 개요[편집]


لغت عثمانیه (Lûgat-ı Osmanîye)

오스만 제국의 건국 이후 튀르키예1928년 언어개혁까지 사용되었던 튀르키예어로, 오스만 터키어 혹은 오스만 튀르크어라고도 한다. 19세기 이후의 근대 오스만어와 오스만 제국 초기에 쓰인 초기 오스만어는 현대 터키어와 비교해도 문자만 다를 뿐 웬만한 단어는 (라틴 문자로 옮겨놓으면) 거의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없지만 16-18세기에 쓰인 중기 오스만어는 아랍어, 페르시아어피진이라도 불러도 될 만큼 외래어가 많아서 현대 튀르키예인들은 거의 이해하기 힘들어 하며 오히려 아제르바이잔인이나 중앙아시아 튀르크인들이 오스만어를 상대적으로 잘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튀르키예 지역 언어의 역사가 순수 튀르크어에서 외래의 영향을 받아 이해하기 힘든 언어로 변했다가 다시 민족주의 열풍으로 튀르크 고유어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현대까지 오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 내내, 그리고 공화국 수립 이후에도 1928년까지는 오스만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튀르키예사를 전공하거나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오스만어가 필수이다.[3] 또한 튀르키예어 문학 전공자도 오스만어를 필수적으로 배우고 있다.


2. 역사[편집]


이 부분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우선 오스만 제국 이전의 아나톨리아 반도의 언어에 대해 설명할 필요가 있다.

오스만 제국이 수립되기 이전에 존재하던 룸 셀주크 왕조는 튀르크계 왕조이지만 행정 언어는 페르시아어였으며 오스만 제국 이전부터 튀르크어에는 페르시아어적 요소가 유입되고 있었다. 튀르크인들이 중앙아시아에 거주하며 이슬람교를 받아들였을 때도 이웃한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고 있었고, 아프가니스탄 발흐 출신의 수피철학자 잘랄 웃 딘 루미콘야에 머물며 활동하던 당시에는 튀르크어는 전혀 모르던 루미가 판관 업무를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4] 페르시아어가 흔히 통용되었다. 그가 남긴 저술들도 전부 페르시아어로만 쓰여졌으며, 현대 이전까지는 터키어로 번역된 적도 없었다.

한편 아나톨리아의 남동부와 시리아에는 아랍인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아나톨리아 동부에는 쿠르드족아르메니아인, 그리고 에게해와 지중해, 흑해 연안에는 그리스인[5]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말라즈기르트 전투 이후 아나톨리아에 들어오기 시작한 튀르크인들은 이 언어들의 영향을 골고루 받았으며, 특히 오래 전부터 문화 교류를 이어오던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짙게 받았다. 하지만 오스만 제국은 페르시아어 위주의 과거 왕조에 비해 (초기에는) 좀 더 튀르크 성향이 강했고, 궁정의 언어로 튀르크어를 사용하면서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점차 줄여나가기 시작했다. 그렇게 줄였지만 문자며 문법이며 죄다 페르시아어다. 그리고 제국이 확대되면서 새로 포섭된 피지배층과의 소통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공용어가 필요했고, 오스만어는 그로 인해 튀르크어를 중심으로 페르시아어, 아랍어를 보조로 하며 그 외의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프랑스어 등의 단어들을 받아들였다.

기본적으로 오스만어는 구어가 아닌, 문어였다. 즉 문자로 표기하는 오스만어를 완전히 모국어로 익히는 사람은 없었다. 오스만 제국 내의 다양한 민족들은 각자 고유어를 가지고 있었고, 일상생활에서는 자신들의 고유어를 사용하나 글을 쓸 때에는 오스만어를 사용했다. 당대의 터키어 구어체에서는 아래 설명할 페르시아어, 아랍어적인 요인이 거의 유입되지 않았으며, 오스만 제국시기 내내 문해율은 10~15% 내외로 극히 일부만이 오스만어를 읽고 쓸 줄 알았기 때문에 오스만어가 다른 언어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적었다.[6] 게다가 오스만 제국 내의 그리스인이나 아르메니아인들은 자신들의 문자를 가지고 있었고, 콘야지방에 거주하던 터키어를 모국어로 하는 정교도들인 카라만인들처럼 터키어를 표기할때도 자신들의 문자를 사용했다.


3. 교육[편집]


오스만어는 철저히 문어체계였으며 페르시아어와 아랍어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기 때문에 오스만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튀르크어 뿐만 아니라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지식도 갖추고 있어야 했다. 즉 튀르크어가 모국어라고 하더라도 오스만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교육이 필요했다. 오스만어는 멕테프(مکتب, Mektep)라고 불리는 서당이나 메드레세(مدرسه, Medrese)라고 불리는 이슬람 신학교에서 가르쳤으며, 튀르키예 문자 개혁을 위해 초빙된 교육학자 존 듀이에 따르면 서당에 입학한 학생들은 제일먼저 글자를 어떻게 쓰는지 배우고, 그 다음에는 쿠란을 학습하면서 오스만어의 아랍어적 요소들을 학습하고, 샤나메(شاهنامه, Şehname), 마스나비예 마나비(مثنوی معنوی, Mesnevî-yi Manevî) 같은 페르시아어 고전들을 학습하면서 오스만어의 페르시아어 요소들을 학습했다. 이 기간은 대략 3년 이상이 소요되었으며 오스만어를 읽고 쓸 줄 아는 식자층들은 모두 페르시아어와 아랍어 교양도 갖추고 있었다. 애초에 튀르크어, 페르시아어, 아랍어를 모두 알아야 오스만어를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다.[7]


4. 문자[편집]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페르시아 문자로 표기하였으며, 페르시아어에 없는 터키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ݣ (네프 혹은 Kâf-ı nunî (눈 발음이 나는 캬프) 문자를 추가했다. 오스만어의 음운은 현대 터키어와 동일한 모음 8개, 자음 21개이지만 총 34개의 글자를 사용했다. 아랍어, 페르시아어 어원의 단어는 원문 그대로 표기하고 튀르키예식으로 읽었기 때문에 터키어에서는 변별되지 않는 동일한 발음의 다른 문자가 여러개 있다. 다만 아랍어 어원의 단어의 경우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쿠란을 비롯한 아랍어 문헌에서 쓰이는 모음표기(hareke)를 오스만어에서는 장식서체에서나 쓸 뿐 일상문헌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았으며, 아랍어의 타마르부타(ة, tâ-i marbuta) 기호를 항상 ت (te)로 표기한다는 점이 다르다. 가령 공화국을 뜻하는 جمهوریت (cumhuriyet)의 원래 아랍어 표기는 جمهوریة 이며 (cumhuriyya, 줌후리야)라고 읽지만 오스만어는 줌후리예트라고 t음을 붙여서 읽으며, 페르시아어로는 جمهوری (comhuriye, 좀후리예)가 된다.

문자 이름은 엘리프바(اليفبا, Elif-ba)라고 불렀으며, 문자의 첫번째 글자와 두번째 글자에서 비롯되었다.

글자 쓰는 규칙, 즉 독립형, 어두형, 어중형, 어순형의 사용은 아랍어나 페르시아어와 동일하며, 이 두 문자와 마찬가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고 읽는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문자
문자이름 오스만어/터키어
한글 이름
현대 터키어 글자
예시 단어
ا
اليف(elif)
엘리프
a, e[8]
آت (말, at)
ب
به(be)

b
بابا (아버지, baba)
پ
په(pe)

p
پاشا (파샤, paşa)
ت
ته(te)

t
تكیر (태비고양이, tekir)[9]
ث
ثه(se)

s
ثامر (열매를 맺은 나무, sâmir)[10]
ج
جيم(cim)

c
جاده (큰 거리, cadde)
چ
چه(çe)

ç
چاريك (사분의 일, çar-ı yek)
ح
حا(ha)

h
حاكم (판관, 통치자, hâkim)
خ
خي(hı)

h
خلق (국민, 민족, halk)
د
دال(dal)

d
دائما (항상, dâima)
ذ
ذال(zel)

z
ذابح (도축, zâbih)[11]
ر
ره(ra)

r
رخصت (허가, ruhsat)
ز
زه(ze)

z
زوق (즐거움, zevk)
ژ
ژه(je)

j
ژاندارمه (헌병, jandarma) [12]
س
سين(sin)

s
سپور (운동, spor)
ش
شين(şın)
쉬은
ş
شرق (동쪽, şark)
ص
صاد(sad)
사드
s
صلح (평화, sulh)
ض
ضاد(dad)
다드
d,z
ضرب (때림, 쿠데타, darbe) [ㅏ]
ط
طا(tı)

t,s
طياره (비행기, tayyare)
ظ
ظا(zı)

z
ظفر (승리, 달성, zafer) [ㅏ]
ع
عين(ayın)
아이은
a
عائله (가족, aile)[13]
غ
غين(gayın)
가이은
g, ğ
غيرت (노력, gayret)
ف
فه(fe)

f
فرصت (기회, fırsat)
ق
قاف(kaf)
카프
k
قندیل (초, 등잔, kandil) [14]
ک
كاف(kef)[15]
케프
k
كمیك (뼈, kemik)
گ
گاف(gef)[16], كاف فارسى(kâf-ı Fârisî)
게프, 캬프 파리씨[17]
g
گونش (태양, güneş)
ݣ
ڭاف(nef), كاف نونى(kâf-ı Nûnî)
네프, 캬프 누니[18][19]
n, ng
دݣز (바다, deniz[20]
ل
ﻻم(lâm)

l
لیمان (항구, liman)

ﻻاماليف(lâmelif)
랴멜리프

لاله (튤립, lâle)[21]
م
ميم(mim)

m
موز (바나나, muz)
ن
نون(nun)

n
نهر (), nehir)
و
واو(vav)
바브
v, o, ö, u, ü
والیز (큰 가방, valiz)[22]
ه
هه(he)[23]

h
همشیره (간호사, hemşîre)
ى
يه(ye)[24]

y
یومورطه‌ (달걀, yumurta)


5. 모음 표기[편집]


오스만어 또한 현대 터키어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립하는 양성모음 a, ı, o, u와 음성모음 e, i, ö, ü 총 8개가 존재하지만 아랍/페르시아 문자는 기본적으로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아브자드 구조이기 때문에 모음을 표기하는데 상당히 복잡하다. 사실 이 점이 튀르키예 문자 개혁의 가장 큰 원인이기도 했다. 하지만 아랍어와 같이 처음보는 단어를 보면 어떻게 읽어야 할지 햇갈리는 정도는 아니고 나름대로 규칙이 있어서 어느정도는 추측이 가능하다.

일단 오스만어에서 모음표기 기능을 하는 글자는 총 4개이다.

ﺍ (엘리프) :
  • 음절 끝에 붙는 엘리프는 a로 읽는다.
  • 맛데(위에 붙은 물결선)가 붙은 엘리프는 음절 처음에 위치하며 a로 읽는다. 가끔 e로 읽힐때도 있다.
  • 맛데가 붙지 않은 엘리프가 음절 처음에 위치할 경우에는 뒤에 붙은 헤, 바브, 예가 모음임을 표시하는 용도이다.

예시 - آغاچ (ağaç, 나무), آي (ay, 달), بايراق (bayrak, 깃발), باشاق (başak, 처녀), چاى (çay, 홍차), أو (ev, 집)

ه (헤) :
  • 페르시아어와 동일하게 음절 뒤에 붙는 헤는 e로 읽는다.
  • 단 음절 어두나 중간에 붙는 헤는 무조건 자음 h 발음이 된다.
  • 예외적으로 음절 뒤에 붙는 헤를 a로 읽는 경우도 있으며, 대부분은 외래어이다.
  • 반드시 e로 읽어야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단어 중간에 갑자기 어미형 헤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a와 e중에서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햇갈리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시 - دده (dede, 할아버지[25]), نه (ne, 무엇), چشمه (çeşme, 샘물), چانته (çanta, 가방)[26], مارقه (marka, 상표). گله نك (gelenek, 전통), ته‌كنیسیه‌ن (teknisyen, 기술자)[27]

ي (예) :
  • 음절 끝에 붙는 경우 모음조화규칙에 따라 ı(으) 또는 i(이)로 읽는다.
  • 예가 음절 처음에 붙을 경우에는 y로 읽지만 맛데 없는 엘리프와 함께 붙을 경우 i 모음으로 읽는다. 맛데있는 엘리프와 함께 붙을 경우에는 ay로 이중모음이 된다. (예: ايپ - ip, 실)

예시 - قيش (kış, 겨울), كيم (kim, 누구), چادير (çadır, 천막), پوليس (polis, 경찰), باقير (bakır, 구리), تيلكى (tilki, 여우)

و (바브) :
  • 음절 끝에 붙는 경우 모음이 되어 o,ö,u,ü로 읽는다. 마찬가지로 모음조화규칙에 따라 읽는다.
  • 바브가 음절 처음에 붙을 경우에는 자음 v로 읽지만 맛데 없는 엘리프와 함께 붙을 경우 모음으로 읽는다. (예: اوق - ok, 화살)

예시 - او (o, 그/녀)[28], بو (bu, 이것), اوچ (üç, 숫자 3), قوم (kum, 모래), بويوك (büyük, 큰), آوروپه (avrupa, 유럽)

모음 글자가 없는 경우 :
사실 이 경우가 가장 많다. 앞서 언급한 모음글자들도 음절 처음에서 자음과 결합할 경우에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고, 아랍어, 페르시아어 기원의 단어는 그 언어의 원래표기를 그대로 따라가고 단지 터키어식으로 읽기 때문이다. 이럴 경우에는 일일이 외우거나 그나마 e로 읽는 경우가 많으니 이를 참고하면 된다. 튀르크어 기원의 단어는 어두의 e를 생략하는 것 이외에는 모음 문자를 거의 항상 붙이기 때문에 제일 읽기가 수월할 것이다. 기타 외래어의 경우 18세기 이후 들여오기 시작한 프랑스어 계열 단어들은 읽기가 수월한 편이다.

예시 -
  • 페르시아어 기원 단어: پچته (peçete, 휴지), پهلوان (pehlivan, 레슬링 선수), دنیا (dünya, 세계), بلبل (bülbül, 종달새), چنگل (çengel, 갈고리)
  • 아랍어 기원 단어: جمهوریت (cûmhuriyet, 공화국), جمعه (cuma, 금요일), جاهل (cahil, 무지), فائض (fâ'iz, 이자)[29], محافظه كار (muhafazakâr, 보수주의)[30], مهندس (mühendis, 기술자)[31]
  • 기타 외래어: آسانسور (asansör, 엘리베이터), دوماتس (domates, 토마토), قونسروه (konserve, 통조림), قونسولوسخانە (konsoloshane, 대사관), تنكه (teneke, 깡통), تره‌ن (tren, 기차)

자음 글자를 통한 모음구분 :
이것은 주로 튀르크 고유어나 아랍어, 페르시아어 이외의 외래어들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똑같은 음가를 갖는 자음들을 쌍으로 묶어서 어떤 글자가 나오느냐에 따라 따라오는 모음이 강모음(a,ı,o,u)인지, 약모음(e,i,ö,ü)인지 구별하는 방법이다. 다만 원어표기를 따르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기원 단어들은 해당사항이 없으며 짤없이 외워야한다.

강모음용 자음
약모음용 자음
튀르키예 글자
ط
ت
t
ص
س
s
غ
گ
g
ق
ک
k

예시 -


6. 오스만어 숫자[편집]


기본적으로 아랍 문자와 페르시아 문자의 숫자와 동일하지만, 지역, 지방, 그리고 사람에 따라 숫자 쓰는 방법이 약간씩 차이가 있어서 페르시아 숫자와 아랍 숫자가 혼용되었다. 16세기 이후에는 유럽과의 교역시 오류를 피하기 위해 현대식 아라비아 숫자도 자주 사용했다. 숫자 자체는 현대 터키어와 동일하게 읽었지만, 페르시아어 숫자도 종종 쓰였으며 오늘날에도 백개먼게임을 할때 주사위 눈 읽는 법에서 그 흔적이 남아있다.

숫자
오스만어
페르시아어
아라비아숫자
۰
سفر (sıfır)
سفر (sıfır)
0
۱
بر (bir)
یک (yek)
1
۲
ايكى (iki)
دو (dü)
2
۳
اوچ (üç)
سه (se)
3
٤
دورت (dört)
چهار (çehar)
4
٥
بش (beş)
پنج (penj)
5
٦
التى (altı)[32]
شش (şeş)
6
٧
يدى (yedi)
هفت (heft)
7
٨
سكز (sekiz)
هشت (heşt)
8
٩
دوقوز (dokuz)
نه (noh)
9
۱۰
اون (on)
ده (deh)
10

서수 중에서는 특히 파디샤의 세수를 표기하거나 할 때엔 아랍어 서수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들면 메흐메트 2세는 محمد ثانى (Mehmed-i sanî)라고 쓴다. 그리고 페르시아어에서 비롯된 서수를 쓰는 경우도 있는데, 튀르크어, 아랍어, 페르시아어에서 비롯된 오스만어 서수체계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서수
오스만어
아랍어
페르시아어
첫번째, 최초의
برنجی (birinci)
اول (evvel)[33]
يکم (yeküm), نهست (nühüst)
두번째
ایكینجی (ikinci)
ثانى (sanî)
دوم (düvüm ) , ديم (düyüm)
세번째
اوچيجی (üçüncü)
ثالث (salis)
سوم (sivüm) , سيم (siyüm)
네번째
دردنجی (dördüncü)
رابع (rabi')
چهارم (çehârüm)
다섯번째
بشنجی (beşinci)
خامس (hâmis)
پنجم (pencüm)
여섯번째
التىنجى (altıncı)
سادس (sâdis)
ششم (şeşüm)
일곱번째
يدنجی (yedinci)
سابع (sâbi')
هفتم (heftüm)
여덟번째
سكزنجی (sekizinci)
سامن (sâmin)
هشتم (heştüm)
아홉번째
طقوزنجی (dokuzuncu)
تاسع (tâsi')
نهم (nühüm)
열번째
اوننجي (onuncu)[34]
عاشر ('âşir)
دهو (dehüm)



7. 문법[편집]


기본적으로 격조사, 동사변화는 현대 튀르키예어와 동일하지만 페르시아어 식의 문법과 일부 아랍어 문법이 섞여서 사용되고 있다. 튀르크어족인도유럽어족, 셈어파가 합쳐진 혼종이다.


7.1. 인칭대명사[편집]


인칭
주격
소유격
여격
대격
처격
탈격
1인칭 단수(나)
بن (ben)
بنم (benim)
بنا (bana)
بني (beni)
بنده (bende)
بندن (benden)
2인칭 단수(너)
سن (sen)
سنݣ (senin)[35]
سڭا (sana)[36]
سنى (seni)
سنده (sende)
سندن (senden)
3인칭 단수(그/녀)
او (o)
انݣ (onun)
اڭا (ona)
اوڭى (onu)
اونده (onda)
اوندن (ondan)
1인칭 복수(우리)
بز (biz)
بزم (bizim)
بزه (bize)
بزى (bizi)
بزده (bizde)
بزدن (bizden)
2인칭 복수(너희)
سز (siz)
سزݣ (sizin)
سزه (size)
سزى (sizi)
سزده (sizde)
سزدن (sizden)
3인칭 복수(그/녀들)
اونلر (onlar)
انلرݣ (onlarin)
انلره (onlara)
انلرى (onları)
انلرده (onlarda)
انلردن (onlardan)


7.2. 명사의 복수어미[편집]


현대 터키어와 똑같은 لر 를 쓰고 모음조화에 따라 -lar 또는 -ler로 읽지만 페르시아어에서 비롯된 단어는 페르시아어 복수어미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ان (ân) : 일반적으로 생물명사의 복수형으로 쓰인다. 예) زن (zan) 여자 → زنان (zenân) 여자들
  • ها (hâ) : 무생물명사의 복수형으로 쓰이나 극히 예외적으로 생물명사에 쓰일때도 있다. 예) آب (âb) 물 → آبها (âbhâ) 물들
  • 명사의 끝부분이 ٥ (he)로 끝날 경우, گ 글자를 덧붙인다. 예) بنده (bende) 노예 → بندگان (bendegân) 노예들
  • 명사의 끝부분이 ٥ (he)로 끝나는 무생물 명사의 경우 마지막 he 글자를 생략한다. 예) لاله (lâle) 튤립 → ﻻلها (lâlehâ) 튤립들
  • ان (ân) 어미의 앞에 vav 혹은 ye가 나올 경우 음을 바꿀 수 있다. 예) آهو (âhû) 가젤 → آهوان (âhuvân) 가젤들, ايرانى (İrânî) 이란인 → ايرانيان (İrâniyân) 이란인들


7.3. 명사의 서술어미[편집]


명사와 명사를 서술할 때에 현대 터키어에서는 속격조사 -(n)ın을 사용하지만 오스만어는 페르시아어에서 비롯된 -ı 를 사용한다. 다만 페르시아어와 마찬가지로 표기상으로는 전혀 반영되지 않으며 명사 두개가 나란히 올 때 알아서 모음조화에 따라 -ı 혹은 -i를 붙여서 읽는다. 명사가 모음으로 끝날 경우에는 중간에 y를 끼워서 읽는다. 그리고 수식하는 명사는 현대 터키어와 달리 뒤에 붙는다는 점도 다르다. 그리고 여러개가 붙을 수도 있다.

예시)
  • قرآن کریم - Kuran-ı kerim (성 쿠란)
  • كتاب مقدس - Kitab-ı mukaddes (성경)
  • بحر ابیض - bahr-ı siyah (흑해), 현대 터키어로는 Karadeniz 이다.
  • خریطه اسياى ىشرقى - harita-yi asya-yi şarkı - 동아시아의 지도



7.4. 명사어미[편집]


주로 페르시아어에서 비롯된 단어들에 해당하며, 개중에는 현대 터키어에서도 쓰이는 단어들도 있지만 해당 동사 - 명사의 활용방법이 사라졌기 때문에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현대 터키어에서는 무의미하지만 오스만어에서는 의미있는 문법이다.

해당 어미가 붙으면 무조건 명사이다.

  • بان (-bân) : 무언가를 지키는 사람, 물건의 의미이며 현대 터키어의 -çı 와 비슷하게 쓰인다. 예) باغبان (bağbân, 정원사) , سايه بان (sayebân, 그늘천막)
  • دان (-dân) : 무언가를 담거나 보존하는 도구 예) چايدان (çaydân, 찻주전자), قلمدان (kalemdân, 필통)[37]
  • گاه (-gâh) : 장소 맟 때를 의미한다. 예) اوردوكاه (ordugâh, 군대 막사), اقامتکاه (ikâmetgâh, 거주지), گذرگاه (güzergâh, 정거장)
  • گان (-gân) : 사람을 의미한다. 예) بازاركاه (bâzârgân, 시장상인)[38]
  • کده (-gede) : 장소를 의미한다. 예) ميکده (meygede, 주점)
  • ستان (-stân) : 장소 및 계절을 의미한다. 예) تركستان (Türkistân, 튀르키스탄) , زمكستان (zemistân, 겨울), قبرستان (kabristân, 묘지)
  • كار (-kâr), گار (-gâr) , كر (-ger) : 일정한 일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거나 직업을 삼는 사람 예) زيانكار (ziyankâr, 낭비가 심한 사람) , زركر (zerger, 보석상인), خداوندكار (hüdavendigâr, 신이 내린 통치자), خنكار (hünkâr, 폐하)
  • سار (-sâr) : 장소를 의미한다. 예) سنکسار (seng-sar, 채석장)
  • شن (-şen) : 장소를 의미한다. 예) کلشن (gülşen, 장미정원)
  • ی (î) : 현대 터키어의 -lık 과 같은 용도로 사용하며 어딘가의 소속 혹은 도구를 사용하는 사람 등의 의미로 활용되는 어미이다. 예) ايرانى (İranî, 이란인) , چنكى (çengî, 하프연주자)
  • چه (-çe,içe) : 지소사 예) باغچه (bağçe : 작은 정원[39])


7.5. 전치사[편집]


현대 터키어는 물론이고 튀르크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개념이지만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단어들과 함께 사용법이 들여왔다. 주로 16-18세기 문헌에서 많이 찾을 수 있으며, 오스만어를 난해하게 만드는 주범이기도 하다. 오히려 페르시아어와 아랍어를 알고 있는 사람들이 터키어만 아는 사람보다 오스만어를 잘 이해할 정도다.

부정적인 의미의 전치사 - 현대 터키어에서 -sız 용법, - olmayan과 비슷하게 쓰인다.
  • نا (na-) : ناپاك (nâ-pâk, 깨끗하지 않은), ناموسلمان (nâ-müslüman, 비무슬림)
  • بى (bî-) : بى چاره (bî-çare, 중요하지 않은), بیناموس (bî-nâmûs, 명예롭지 않은/정조 없는)[40]
  • بلا (bîla-) : بلا فائز (bîla faiz, 無이자),

무언가를 포함하는 의미의 전치사 - 현대 터키어의 -lı 용법과 비슷하게 쓰인다.
  • ب (be-) : بنام (be-nâm, 명성이 있는)
  • با (bâ-) : با كمال (be-kemâl, 케말(사람이름)과 함께), بنام خدا (be-nâm-ı Hüdâ, 신의 이름으로)[41]
  • تا (tâ-) : - 까지의 의미를 갖는다 보통은 be- 전치사와 함께 쓰인다. تابسحر (tâ-be-seher, 동틀녘까지)
  • بر (ber-) : -위에, -이 포함된 이라는 의미이다. بركمال (ber-kemâl, 케말을 포함하여)
  • هم (hem-) : 동일한, 비슷한 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هم جنس (hem-cins, 동일한 종류의)


7.6. 후치사[편집]


마찬가지로 현대 터키어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후치사를 사용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페르시아어, 아랍어 용법에서 영향을 받았다.
  • ان (-ân) : آبادان (âbâdân, 발전한)
  • ی (-î) : استانبولى (İstanbulî, 이스탄불 출신의 사람)
  • ين (în) : 어떤 재료로 만들어졌는지를 의미하거나, 시간을 의미하거나, 또는 무엇을 포함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예) زرين (zerr-în, 금으로 된) , ديرين (dîrîn, 오래전의, 머나먼)

아래의 후치사들은 모두 현대 터키어의 -li 와 같은 의미이다.
  • کين (-gîn) : غمکين (gamgîn, 슬퍼하는)
  • مند (-mend) : دردمند (derd-medn, 고민이 있는)
  • ناك (-nâk) : دردناك (derd-nâk, 고민이 있는)
  • وار (-vâr) : اميدوار (ümitvâr, 희망이 있는)
  • ور (-ver) : هنرور (hüner-ver, 능력이 있는)
  • ونمد (-umend) برونمد (ber-ûmend, 생산적인)
  • ن(-in) : چركن (çirk-in, 더러운)[42]
  • مان (-mân) : شادمان (şad-mân, 기뻐하는)
  • ير (-îr) : دلير (dil-îr, 용기있는)
  • يار (-yâr) : بختيار (bahtyâr, 행복한, 행복이 있는)
  • رو (-ûr) : رنجور (renc-ûr, 병이 있는, 환자)
  • آكين (-âgîn) : شرم آكين (şerm-âgîn, 부끄러운)
  • كار (-kâr) : هيله كار (hilekâr, 속임수를 쓰는, 속임수가 있는)
  • گار (-gâr) : يادگار (yadgâr, 기억을 상기시키는, 기억)
  • گر (-ger) : افسونگر (efsunger, 마법사, 마법을 행하는 사람)

아래의 후치사들은 무언가에 빗대는 의미를 갖으며 현대 터키어의 gibi와 의미가 같다.
  • آسا (-âsâ) : جنت آسا (cennet-âsâ, 천국과 같은)
  • مانند (-mânend) : ديو مانند (dîv-mânend, 거인과 같은)
  • سان (-sân) : پرىسان (perî-sân, 요정과 같은)
  • سار (-sâr) : پرىسار (perî-sâr, 요정과 같은)
  • وار (-vâr) : ديووار (dîv-vâr, 거인과 같은)
  • وش (-veş) : بلبل وش (bülbül-veş, 꾀꼬리 같은)

색깔에 사용하는 후치사
  • كون (-gûn) : كلكون (gülgûn, 장미꽃 같은 색)
  • فام (-fâm ) : كلفام (gülfâm, 장미꽃 같은 색)
  • ی(î) : خاكى (hâkî, 흙과 같은 색)[43]
  • ٥ (-e) : زرده (zerd-e, 계란 노른자색)

아래 두 후치사는 ~에 걸맞는 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 وار (-vâr) : شاهوار (şahvâr, 왕에게 어울리는, 왕과 같은)
  • آنه (-âne) : شاهانه (şah-âne, 왕에게 어울리는)


7.7. 튀르크어에 기반한 오스만어 조사[편집]


아래의 조사들은 현대 터키어에서도 쓰이고 있으나, 모음조화에 따라 알아서 읽어야 한다. 단 개중에는 모음에 따라 구분해 놓은 것도 있다.

  • 속격 -(n)ın : ݣ (kef를 쓸 수도 있다),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نݣ (nın/nin)을 붙인다.
  • 여격 -a (e) : ه (a/e), 모음으로 끝나는 명사 뒤에는 يه (ya/ye)를 붙인다.
  • 목적격 -i (ı,u,ü) : ى
  • 처격 -de (da,de,ta,te) : ده
  • 탈격 -den (dan,tan,ten) : دن

  • 현재진행형 동사 어간 -yor : يور
  • 과거형 동사 어간 -di (dı,du,dü,tı,tu,tü) : دى
  • 단순 현재형 동사 어간 -ar (er) : ار, 모음으로 끝날 경우 a를 생략하고 ر 를 붙인다.
  • 단순 현재형 동사 어간 -ur (ür) : ر 또는 ور
  • 미래형 동사 어간 -cak (cık,cuk) 혹은 -acak : جق
  • 미래형 동사 어간 -cek (cik,cük) 혹은 -ecek : جك [44]
  • 동사어미 -dır (dir, dur, dür, tır, tir, tur, tür) : در
  • 수동태 어간 -il, -ıl : ل

  • 의무 명령형 어미 -meli,-malı : ملى (드물게 약모음에는 مالى (malı) 강모음에는 مه لى (meli)으로 구분해 쓰기도 한다)
  • 금지 명령형 어미 -ma (me) : مه (드물게 약모음에는 ما (ma) 형태로 구분해서 쓰기도 한다)
  • 동사 원형어미 -mak : مق (모음 뒤에 붙을 경우 مغ 형태로 연음화된다)
  • 동사 원형어미 -mek : مك (모음 뒤에 붙을 경우 مغ 형태로 연음화된다)
  • 동사 및 명사 어미 -miş (mış,muş,müş) : مش

  • 조건사 -se (-sa) : سه
  • 의문사 mı(mi) : مى

  • 명사 복수어미 -lar(ler) : لر

  • 문장 연결사 ki : كى
  • ~~ 하기 전에 : مادن (-madan), مدن (-meden)
  • ~~ 하면서 : رق (-arak), ه رك (-erek)
  • ~~ 한 이래로 : الى (-alı), ه لى (-eli)
  • ~~ 하고 : وب (-ıp, -ip, -up, -üp)
  • ~~ 할 때 : ايكن (-iken) 모음으로 끝날 경우 كن (-ken)이 된다.
  • ~~ 할 수록 : دقجه (-dıkça), دكجه (-dikçe)

  • 명사어미 -ce (ca,ça,çe) : جه
  • 명사어미 -ci (cı,cu,cü,çi,çı,çu,çü) : جى
  • 명사어미 -daş : داش
  • 동사어간 -laş : ﻻش, -leş : لش
  • 명사어미 -li (lı) : لى
  • 명사어미 -lu(lü) : لو
  • 명사어미 -sız (siz,suz,süz) : سز
  • 명사어미 -lik (lük) : لك, -lık (luk) : لق
  • 서수어미 -ncı (nci,ncu,ncü) : نجى

  • 동사 1인칭 단수 어미, 명사 1인칭 단수 한정어미 -m (-ım, -im) : م
  • 동사 1인칭 복수 어미, 명사 1인칭 복수 한정어미 -mız (miz,muz,müz) : مز
  • 동사 2인칭 단수 어미, 명사 2인칭 한정어미 -sin (-sın,sun,sün) : سݣ
  • 동사 복수 2인칭 어미 -siniz (sınız,sunuz,sünüz) : سڭز
  • 명사 복수 2인칭 한정어미 -nız (niz,nuz,nüz) :ڭز
  • 명사 3인칭 단수 한정어미 -si (sı,su,sü) : سى
  • 동사 3인칭 단수 과거어미 -ti (tı,tu,tü,di,dı,du,dü) : دى 또는 تى
  • 문어체 동사 3인칭 어미 -makta : مقده, -mekte : مكده


8. 오스만어 문장 예시[편집]


ايرماقلرده شراپ آقاجك ديورسݣ (Irmakta şarap akacak diyorsun)

جنت علا میخانه مىدر (Cennet-i âlâ meyhane midir)

هر مؤمن ه ايكى حوری ديورسݣ (Her mü'mine iki huri diyorsun)

جنت علا كرخانه مىدر (Cennet-i âlâ kerhane midir)

냇물에서 포도주가 흐를 것이라고 말하는구나
천상의 가장 높은 층이 술집이란 말이냐
모든 믿는 자들에게 두 명의 천상의 여인이 주어진다고 말하는구나
천상의 가장 높은 층이 매춘굴이란 말이냐 [45]

خلق ايچنده معتبر بر نسنه يوق دولت كبى (Halk içinde muteber bir nesne yok devlet gibi)

اولميه دولت جهانده بر نفس صحت كبى (Olmaya devlet cihanda bir nefes sıhhat gibi)

사람들 가운데 국가만큼 강한 것도 없다네
세상에는 건강한 공기같은 국가도 없다네[46]

파일:III Ahmet Çeşmesi Levha.jpg

آچ بسمليليە اچ صويى خان احمد ايله دعاء (Aç Besmeleyle iç suyu, Han Ahmede eyle dua)

베스멜레(기도)와 더불어 (수도를)열고, 물을 마시라. 아흐메트 칸을 위해 기도하라[47][48]

파일:ilan.jpg

اعلان (İ'LÂN)

دوبريچده پناير جاده سنده بقال (Dobriç'de Panayır Caddesi'nde Bakkal)

مصطفى رضا حاجى محمد (Mustafa Rıza Hacı Mehmed)

اوغلى مغازه سى (Oğlu Mağazası)

بٯ مغازه ده قهوه، پرنچ، شكر، غاز و سائر (Bu mağazada kahve, princ, şeker, gaz ve sâir)

اشيا ايله برابر بلغارستانده موجود توتون فابرقه لرندن (eşyâ ile berâber Bulgaristan'da mevcûd tütün fabrikalarından)

گتيرلمش توتون ائواعى طوپدن و پراكنده اولارق (getirilmiş tütün envâ'i topdan ve perakende olarak)

صاتيليور. أليوم رمضان شرىفه محصوص توتون پاكتلرى (satılıyor. Elyevm Ramâzan-ı şerîfe mahsûs tütün paketleri)

اولديغى كبى يڭى سنه ايچون قصبه و كوى دكانجيلرينه (olduğu gibi yeni sene içün kasaba ve köy dükkancılarına)

اهون فياتله امتعه ده كوندره يلر. (ehven fiyatla emtiâ' da gönderilir.)

공지
도브리치 파나이으르 거리에 위치한 상점
무스타파 르자 하즈 메흐메트
의 아들의 가게

본 가게에서는 커피, 쌀, 설탕, 가스 등등의
상품과 더불어 불가리아 내 위치한 담배공장들에서
가져온 다양한 담배를 도매 및 소매로
팔고 있습니다. 금일 성스러운 라마단 기간동안 판매되는 갑담배
와 같이 신년을 위해 동네 및 마을 상점주들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보내드립니다. [49]

파일:1876-belge-01.jpg

معجله سى ۱۰۰ (yüz muaccelesi)

اوراق نقديه (Evrak-ı Nakdiye-yi)

دولت عليه دن (Devlet-i aliyyeden)

يالڭز يوز غروشلق (yalnız yüz kuruşluk)

قائمه معتبره در (kaime-i muteberedir)

가치 100[50]
(본) 재산증서는
제국에서 발행하여
오직 100 쿠루쉬의 가치를 갖는
화폐 대신에 통용된다. [51]

파일:izmit2.jpg
Tophâne-i Âmire Müşîriyyeti
Husûsiyye
İzmid de derdest-i inşâ olan gaz deposu ebniyesiyle su yollarına sarf eylemek üzere yüz altmış karataş
barutuyla yiğirmi kutu fitilin i`tâsı liva-i mezkûr mutasarrıflığından bâ-tahrîrât iş`âr olunmuş ve mezkûr barut ve fitilin
esmânı Tophâne veznesine teslim olunmuş olmağla bunların i`tâsı hakkında emr ü fermân-ı hümâyûn-ı hazret-i pâdişâhî her ne ise
vechile şeref- sünûh ve sudûr buyurulur ise mantûk münîfine tevfik-i muamele olunmak üzre arz ve istinâden keyfiyyete ibtidâr olundu
ol babda emr ü fermân hazret-i men lehül emrindir | fî 6 Şaban sene 309 ve | fî 22 Şubat sene 307 (05/03/1892)

Yâverân-ı Hazret-i Şehryârîden
Tophâne-i Âmire ve Umûm Mekâtib-i
Askeriyye-i Şâhâne Nâzırı (*)

토프하네 육군 사령부
개인용

이즈미트에서 공사중인 가스 창고 건물과 더불어 수로에 사용한 160통의 화약과 20상자의 도화선에 대한 지불은 읍사무소가 공문으로 협력한다. 그리고 귀하는 화약과 도화선 비용을 토프하네 경리계에게 지불하라. 해당 지출에 대해서는 파디샤 군주 폐하의 황명과 법령이 무엇이든 따라서 폐하의 명예를 빛내어 폐하의 칙명에 따라 적합성 심사를 거쳐 요청 및 이에 근거하여 시작하였다. 부서에서 칙령 및 법령을 받든 책임자 각하의 명령이다. 309년 샤반월 6일 그리고| 307년 2월 22일 (양력 1892년 3월 5일)[52]

폐하의 비서
토프하네 사령관 및 왕립 군사학교장

파일:askermektubu.jpg

한 통의 편지를 썼네 네 면에다가

안에는 서사시가 놓였네

여섯 달이 지났구나 군대에 간지


한 통의 편지를 썼네 틈날때마다

적군을 물리쳤네 우리 땅에서

바라건대 만나리라 우리도 창조주와


한 젊은이가 편지를 썼네 친애하는 벗에게

어디서 무얼 하고 있는가 우체국은

이국의 새들과 같이 갇혀있네 새장속에서

나의 눈은 길에, 나의 귀는 그대들에게 있네


겨울 앞에 한 초록빛 사과가 있네

알라의 사랑으로 편지를 쓰시오 망설이지 말고

고향에 도착하거든 모직옷감 하나 이상 보내지 마시게


조국과 민족을 위해 갔네 군대에

신이 보우하사 참아 견디고 있네

10월이 오거든 우리도 받으리라 훈장을


앙카라의 장미꽃은 노랗고 빨갛네

모든 벗들이 우리를 잊어버렸네

아 나도 그대들을 그리네

나의 벗들이여 모두들 우리를 잊어버렸는가?[53]


파일:Osmanlica Dergi.jpg

!جمهوريت، فدانى ياشاتالم (Cumhuriyet fidanını yaşatalım!)

قره گوز - حايدى افنديلر، حايدى اقالر، حايدى پاشالر بو ميوسز، بو خيرسز، بو قارت كوتوگوده ويره لم كه كورپه جك فدانمز بويويوب (Haydi efendiler, haydi ağalar, haydi paşalar bu meyvesiz, bu hayırsız, bu kart kütüğü devirelim ki körpecik fidanımız büyüyüp

!چيچگني آچسين، ميوه سنى ورسين çiçeğini açsın, meyvesini versin!)

공화국 묘목을 살립시다!
카라괴즈 - 어서 신사분들, 어서 어르신들 어서 파샤님들 이 열매도 맺지 못하고, 이 이롭지도 않고, 이 오래된 나무뿌리를 뒤엎어서 어린 묘목이 자라서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합시다!

나무 뿌리에는 "반동"(ارتجاع, irtica), 나뭇가지에 달린 해골에는 "미개(تعصب, taassup)", "낡은 머리(اسكى قافا, eski kafa)"라고 쓰여있고, 묘목의 잎에는 "발전"(تَرَقّ۪ي, terakki), "개혁"(تجدد, teceddüt), "복지"(رفاه, refah), "부유함"(ثروت, servet)이라고 쓰여있다. [54]


9. 그 외 : 카라만어(Karamanlıca)[편집]


오늘날 튀르키예 중부지방인 콘야, 카파도키아, 카라만 일대에 거주하던 카라만인들은 일상언어는 튀르크어를 썼으나 종교적으로는 정교도였고 전례언어로도 그리스어를 썼기 때문에 말은 튀르크어로 쓰되, 글을 그리스 문자로 쓰는 독특한 문화가 있었다. 기년법 또한 정교회를 믿었기 때문에 서력기원을 썼다는 점이 특이하다.

파일:karamanlica1.jpg

ΠΟΥ ΜΕΖΑΡΤΑ ΣΑΚΙΝ (Bu mezarta sakin-i)

ΝΙΓΔΕ ΚΑΡΓΕΣΙΝΤΕΝ ΙΛΟ(Niğde-yi karyesinden ilo)

ΣΟΝΛΟΥ ΜΕΧΑΝΕΤΖΗ ΣΑΒ (-sonlu meyhaneci Sav-)

ΒΑ ΖΕΒΤΖΕΣΗ Χ ΒΗΘΛΕΕΜ (-va zevcesi Hacı Vithleem)

ΓΙΑΤΙΟΡ ΑΛΛΑΧ ΡΑΧΜΕΤ (yatıyor. Allah rahmet)

ΕΙΛΕΣΙΝ 1897.ΙΟΥΛΙΟΣ.21. (eilesin 1897 İulios 21)

이 무덤에는

니으데 마을 일족 가운데 일로손 출신의

포도주점 주인 삽바(삽바스)의

부인인 하즈 비쓸레엠

잠들고있다. 하느님께서 안식을 주시길[55]

1897년 7월 21일


10. 기타[편집]


오스만어를 자유자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대 튀르키예어보다는 아랍어페르시아어, 특히 페르시아어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16-18세기)의 오스만 제국 공문서나 기록들은 순수 터키어는 극소수에 거의 다 페르시아어로 된 장식문구, 미사구, 서술구가 범벅이 되어있어 이게 페르시아어인지 터키어인지 알 수 없을 정도이다. 물론 문자나 어휘문제도 있기 때문에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오스만어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터키어, 페르시아어, 아랍어를 모두 처음부터 시작한다는 기분으로 들어가야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7:46:56에 나무위키 오스만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번역이 잘못되었거나 더 나은 번역이 있다면, 수정하기 전에 이곳에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눠 주시기 바랍니다.[2] 오스만어를 쓰면서도 종교는 정교회였던 이들 한정. 카라만인(Karamanlılar, καραμανλήδες)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인데, 오스만어를 쓰면서도 문자는 그리스 문자를 사용했다.[3] 오스만어 이외에도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밀레트 제도에 의해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유대교 공동체들은 고유의 언어를 사용했고 이들 공동체 내의 공문서 등에도 고유 언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오스만 제국사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그리스어, 아르메니아어 등도 익히면 유용하다.[4] 루미는 사실 페르시아(현재의 이란) 혈통의 사람으로써 룸의 술탄이 튀르크계였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국제적인 인사를 많이 뽑았다. 따라서 룸술탄국의 수도인 콘야에는 루미뿐만 아니라 많은 아랍인과 페르시아인들이 관료로써 거주하고 있었다.[5] 당시에는 룸(Rum), 즉 로마인이라고 불리고 있었으며 현재도 아나톨리아에 거주하는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정교도들은 룸이라고 불리고 있다.[6] 오스만 제국 시기 내내 식자층들은 마을 어른, 지역 유지 취급을 받았다.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사람이 워낙 적으니 글만 알면 대필소라도 차려 돈을 쉽게 벌 수 있는 시대였다.[7] 조선 시대에 천자문사서삼경 등의 유교 경전을 이용해 문어인 한문을 배운 걸 생각해 보면 쉽다.[8] 페르시아어와 마찬가지로 맛데가 붙은 엘리프(آ)는 무조건 a 발음을 내며 오스만어의 경우 어두에 붙는 엘리프는 거의 항상 맛데를 붙인다.[9]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대체로 튀르크어 계열 단어중 양성모음 a,ı,o,u가 따라오는 t음은 'ط', 음성모음 e,i,ö,ü가 따라오는 t음은 'ت' 가 쓰인다. 아랍어 계열 단어들은 두 글자의 발음이 다르기 때문에 아랍어 원래 표기를 따른다.[10] 아랍어 기원 단어나 그리스어 기원 단어중 th 음을 포함하는 경우에서만 쓰임. 이럴때에는 t로 읽었다.[11] 아랍어 기원 단어에서만 쓰임[12] 외래어, 특히 페르시아어 및 프랑스어 기원 단어에서만 쓰임. 아랍어 기원 단어에서는 절대로 찾아볼 수 없다.[ㅏ] A B 아랍어 기원 단어에서만 쓰임[13] 아랍어에서는 인두음을 표기하기 위한 문자이나 오스만어에는 페르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인두음이 없기 때문에 해당 단어에 모음이 있으며, 외래어 기원의 단어라는 의미밖에 없다.[14]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튀르크어 기원의 단어 기준으로 양성모음 a,ı,o,u가 따라오는 k음은 'ق', 음성모음 e,i,ö,ü가 따라오는 k음은 'ک' 가 쓰인다.[15] 이 글자의 독립형은 페르시아식으로 ک 가 될수도 있고, 아랍문자식으로 ك 로도 쓸 수 있으나 페르시아식이 더 일반적이다.[16] 이 글자의 독립형은 페르시아식으로 گ 가 될수도 있고, 자위문자식으로 ݢ 로도 쓸 수 있으나 페르시아식이 더 일반적이다.[17] 페르시아인의 k라는 의미이며 말 그대로 페르시아어 기원 단어나 g 음가를 갖는 터키어 고유 단어의 표기를 위해 쓰인다.[18] n발음이 나는 k라는 의미이며 혹은 튀르크인의 k라는 의미로 Kâf-ı Türkî 라고도 불렀다. 절대로 어두에 위치하지 않는다는 특성도 가지고 있으며, 오직 튀르크어에서만 쓰다.[19] 키보드로 칠 경우 아랍식 케프 위에 점 세개가 찍힌 ڭ 가 나오는데, 엄밀히 말해 틀린 표기이다. 오스만 제국 시절에 네프를 쓸 때에는 페르시아식 케프 위에 점 세개가 찍힌 ݣ 만 사용했었다. 혹은 귀차니즘을 이유로 점을 찍지 않고 ک 으로 퉁치기도 했기 때문에 독음시 주의가 필요한 글자이다.[20] 고대 튀르크어나 현대 터키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비음이 들어가 '뎅이즈'로 발음되는데, 이 표기를 반영해서 ݣ를 썼다. 그 외에 터키어 소유격인 -nin 같은데서도 ݣ를 쓰며, 해당 문서가 오스만어라는 것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일부러 사용하는 문자이다.[21] 럄과 엘리프가 합쳐진 형태이며, لاخانا (lâhana, 양배추), لاءیک (lâik, 세속)과 같이 항상 랴멜리프가 붙으면 얇은 a발음이 들어간 lâ음을 낸다.[22] 이 글자는 자음 v로 읽히면서 다른 글자와 결합하면 모음 o, ö, u, ü 행세를 하기도 한다. 자세한 방법은 모음 읽는 법에서 설명한다.[23] 오스만어에 세 종류나 있는 h중 특히 구분하기 위해 '예쁜 헤' (گوزل هه, güzel he)라고 부르기도 한다. 어두형의 모양이 복잡해서 이런 이름이 붙은듯(...) 하, 흐는 외래어에서 주로 쓰이나 순수 튀르크어에서 비롯된 단어들은 이 헤로 표기한다.[24] 아랍문자와 달리 독립형 ye의 경우 밑에 점 두개를 찍지 않는다. 페르시아어와 동일하다.[25] 첫번째 음절의 e가 표기되지 않기 때문에 دهده 가 아니다.[26] 끝에 붙은 헤가 a로 읽히는 경우이다.[27] 이 단어는 단어 중간에 어미형 he가 두번이나 들어갔다. 프랑스어 기원 단어이며 어미형 he대신 어중형을 사용했더라면 tahknisihan, tehknisihen 따위로 읽힐 수도 있다.[28] 맛데 없는 엘리프가 앞에 붙어서 바브가 o 모음이 되었다.[29] 헴제(hemze)라는 따옴표 모양의 표기가 쓰였는데, 이건 오직 아랍어 기원의 단어에서만 볼 수 있는 표기이며 터키어 표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아랍어에서는 성문파열음을 나타내나 오스만어에서는 페르시아어와 마찬가지로 띄어서 읽는다는 의미밖에 없다.[30] 아랍어 기원인 muhafaza와 페르시아어 어미인 kâr가 결합된 형태이다.[31] 현대 터키어 알파벳으로 쓰면 mhnds 다섯 글자 이다. 순수한 아랍어 기원의 단어들은 어떻게 읽는지 무조건 외우는 수밖에 없다.[32] 4,5,6은 페르시아식으로 ۴, ۵, ۶으로도 쓸 수 있다.[33] 원래 아랍어 서수로 첫번째는 حادى (hâdî)이지만 오스만어에서는 evvel을 자주 쓴다,[34] 현대 터키어 표기로는 모음조화에 따라 모음을 다르게 쓰지만 오스만어 표기법으로는 기수 뒤에 무조껀 نجی 만 붙이고 모음조화에 따라 알아서 읽는 것을 볼 수 있다.[35] 네프(ݣ)가 쓰인 부분을 필기체로 쓸때는 점 세개 찍기 귀찮아서 생략해서 케프(ك)와 똑같이 쓰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이 부분들을 주의해야 한다. 이 외에도 네프는 자주 생략되는 편이다.[36] 표기된대로 읽으면 네프(ݣ)때문에 sang-a (상아)라고 읽어야 하지만 오스만 제국 후기시절에 이미 이 음가가 사라져버렸기 때문에 현대어와 동일한 sana로 읽는다. 하지만 현대 터키어에서도 일부 방언들,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어 중에서는 아직도 이 발음을 간직하고 있는 언어도 많이 있다.[37] 현대 터키어로는 두 단어 모두 뒤에 튀르크 명사어미 -lik을 덧붙여서 çaydanlık, kalemdanlık 으로 사용하고있다.[38] 쓰기는 페르시아어 원어에 따라 이렇게 쓰고 읽을때는 pazargân(파자르갼)으로 읽는다. 페르시아어 원어식으로는 '버저르건'이라고 읽는다.[39] 현대 터키어로는 bahçe가 되어 일반명사로 쓰이고 있다.[40] 이 말은 옆나라말인 아제르바이잔어에서 현재에도욕설로 쓰인다.[41] 오스만 제국 시절 공문서나 계약서 서두에 항상 보이는 글귀이다. 페르시아에서 시작된 전통으로 현대에도 페르시아어에서 "베 나메 호더(be nam-e Xodâ)"로 자주 쓰인다.[42] 현대 터키어로는 çirkin이 되어 '더러운'이라는 의미에 '못생긴'이라는 의미가 추가 파생되었다.[43] 페르시아어 단어로 카키색의 어원이기도 하다.[44] 이 경우에는 양성모음과 음성모음의 표기가 다른 것을 볼 수 있는데, 경자음 ق를 약모음 뒤에 붙이고, 약자음 ك를 강모음 뒤에 붙였다.[45] 셀주크 시절의 시인인 외메르 하이얌(عمر خیام Ömer Hayyam)의 시로 오스만어 이전의 튀르크어 특징이 많이 살아있는 구성을 보여준다.[46] 쉴레이만 대제의 시 중 일부[47] 튤립시대의 건물 아흐메트 3세의 분수에 새겨진 명문, 쉴뤼스체로 장식되어 쓰여있다.[48] 현대 튀르키예어로 읽어도 곧장 이해가 될 만큼 쉽게 쓰인 명문이다. 공공시설에 장식된 문구이기 때문에 평민들도 쉽게 이해하도록 일부러 쉽게 썼다고 볼 수 있다.[49] "발칸" 신문 (플로브디프 발행) 제77호 제4페이지 중 1322년 테슈린이 에웰(Teşrin-i evvel, 9월) 17일 - 양력 1906년 10월 30일자[50] 이 부분은 같은 단어가 두 번 대칭형으로 쓰여있다. 제목을 장식하는데 많이 찾아볼 수 있는 양식이다.[51] 1876년 발행된 100쿠루쉬(1리라)짜리 지폐에 쓰여진 문구[52] 오스만 제국의 공문서 양식의 예시이다. 리카(rika)체로 흘려서 썼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비스듬히 올라가는 독특한 양식을 하고 있다. 날짜 표기는 두 날짜 모두 같은 날이지만 이슬람력율리우스력을 기반으로 한 탄지마트 개혁시기 이후에 쓰이기 시작한 루미 역법(Rumî takvimi, 로마인의 달력)을 동시에 표기했다.[53] 튀르키예 독립전쟁당시 군인들의 편지를 모은 것이다. 시 처럼 각운을 따른 내용이 흥미롭다.[54] 카라괴즈(Karagöz)잡지 1923년 12월 5일 제 1640호 내 캐리커처[55] 고인은 하즈 베들레헴, 즉, 베들레헴 순례자이므로 그리스도인일 가능성이 확실하지만 이 부분은 무슬림들이 쓰는 표현과 동일하게 Allah rahmet eylesin을 쓰고있다는 점이 독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