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예멘 관계

덤프버전 :





1. 개요
2. 역사적 관계
2.1. 고대
2.2. 중세
2.3. 근세~근대
2.4. 20세기
2.5. 21세기
3. 문화 교류
4. 교통 교류
5. 관련 문서
6.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오만예멘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양국은 아랍 연맹, 이슬람 협력기구에 속해 있다.


2. 역사적 관계[편집]



2.1. 고대[편집]


고대 이래 예멘과 오만은 모두 유향의 산지로 유명하였다. 예멘의 경우 아프리카의 뿔 지역과 매우 가까웠고 고대 에티오피아악숨 왕국 등과 교류가 활발하였다면, 오만의 경우는 페르시아 만 넘어 이란과 인접해있기 때문에 사산조 페르시아등 이란 고원에서 발흥한 강대국들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아왔다. 같은 아라비아 반도 내 이웃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상당히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니게 되었다.


2.2. 중세[편집]


7세기 이슬람이 발흥하고 아랍 부족들이 통일된 여파로 오늘날 예멘과 오만에 해당하는 지역은 급속히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예멘과 오만의 여러 해양 도시들은 중계무역 기지로 번영을 누렸다. 예멘과 오만은 아라비아 반도의 사막으로 인해 다른 지역과 고립된 일종의 섬과 같은 지역이었고, 이러한 지리적 여건은 예멘에 자이드파, 오만에는 이바디파 등등 이슬람권 소수 종파들이 자리잡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2.3. 근세~근대[편집]


포르투갈 왕국이 인도양으로 팽창하는 과정에서 오만의 항구 도시들을 점령하고 식민지를 건설하였으나, 오스만 제국과 좀 더 가까운 위치였던 그리고 인구밀도가 더 높아 침략이 쉽지 않았던 예멘 지역에는 식민지를 건설하지 못하고 넘어갔다. 예멘의 상당 지역의 오스만 제국의 식민지가 되었으며 이집트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오만의 경우에는 포르투갈 해양 세력이 약화되고 영국과 프랑스가 오만의 해적들을 지원하면서 세력을 키워 오만 제국으로 성장하고, 오스만 제국의 발길이 닫지 않은 탄자니아 해안 지대로 팽창하여, 인도양 노예 무역을 주도하게 되었다.


2.4. 20세기[편집]


예멘 남부지역(남예멘)은 영국의 지배를 받았고 오만은 영국의 직접 지배를 받진 않았으나 보호령이 되었다. 1951년 오만은 완전한 독립을 인정받게 되었고, 1967년 남예멘은 영국으로부터 독립되면서 오만과 접했으나 남예멘은 공산 국가였고 오만은 왕정 국가였기에 두 나라간의 갈등이 있었다. 한 편 북예멘의 경우 오만과 반공 체제였다보니 두 나라 간의 관계는 유지되기도 했었다. 예멘이 통일된 후 예멘과 오만은 화해를 하면서 서로 협력하는 관계가 되었다.

1991년 12월 16일, 양국은 국경선협정을 조인하기로 했다.#

1994년 7월 15일, 양국 대사가 알제리에서 괴한들에게 피랍된 적이 있었다.#


2.5. 21세기[편집]


2004년 8월 31일, 예멘에서 캐나다 석유회사 소속의 오만인 2명, 예멘인 1명, 호주인 1명이 무장단체에 의해 납치됐다.#

2011년 초에 양국에서 아랍의 봄 혁명이 일어났다.#

2012년 1월 28일, 살레 대통령이 오만을 경유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6월 27일, 예멘 남부의 알카에다 지부가 오만으로 침투(!)했다는 첩보가 생기자 예멘과 오만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2015년 예멘 내전이 재발발하면서 오만은 예멘 내전에 대해 중재를 하려고 한다.#1#2 6월 13일, 관타나모 기지에 수감중이던 예멘인 6명이 오만으로 이송됐다.# 예멘에서 내전이 일어나자 오만으로 건너가는 예멘 출신 난민들이 늘어났다.# 오만으로 떠난 예멘 난민들이 51,000명으로 나타났다.# 11월 2일, 예멘에서 사이클론이 몰아치자 오만 정부는 비상대책단을 가동했다.#

2016년 3월 9일, 사우디 연합군과 후티반군 휴전에 오만이 중재했다.# 4월 9일, 오만군이 예멘 후티 반군에 억류중이던 미국인을 석방시켰다.#

2020년 1월 12일, 하디 대통령은 오만의 술탄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 국왕을 추모하기 위해 오만을 방문했다.#

2021년 9월 24일, 오만의 한 동굴 탐사단이 예멘 동부의 사막 한복판에 있는 동굴을 탐사한 적이 있었다.#


3. 문화 교류[편집]


양국은 무슬림 비중이 높은 편이며 아랍어 사용국에 속해 있다. 예멘의 경우 아프리카의 뿔 지역과 매우 가까웠고 오만의 경우는 페르시아 만 넘어 이란과 인접해있기 때문에, 같은 아라비아 반도 내 이웃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상당히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니게 되었다.

오만은 이슬람권 소수종파인 이바디파 인구가 많고, 예멘의 경우는 순니파 인구와 시아파 인구가 반반이다. 예멘의 순니파 인구는 이웃한 이집트와 마찬가지로 샤피이파 법학파를 따르며 시아파 인구의 경우 대개 이른바 5이맘파라고 불리는 자이드파에 속한다.

전근대 예멘은 아라비아 반도 여타 지역과 다르게 땅이 비옥한 것은 물론 커피 재배와 수출로 유명한 나라였고, 농경과 상업 모두가 활발한 이유로 유대인 인구가 적지 않았다. 오만의 경우 토양이 예멘만큼 비옥한 것도 아니고 유대인 인구 비중이 매우 적은 편이었다. 오늘날 기준으로는 예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 등으로 망명하고 예멘 난민들이 해외로 퍼지면서 예멘 문화가 해외에 나름 퍼지는데 비해, 오만인들의 경우 오늘날 오만이 나름 먹고 살만한 산유국인데다가 오만인 이바디파들의 경우 해외에서 이바디파인 상태로 대놓고 다른 순니 무슬림들과 상대하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이유로 해외 이주를 꺼리는 편이라, 오만인 디아스포라는 예멘인 디아스포라에 비해 규모가 빈약한 편이다.


4. 교통 교류[편집]


두 나라 간의 항공 노선이 존재한다. 양국은 국경을 접하고 있지만, 예멘에서 내전이 일어나자 국경이 폐쇄된 적이 있었다.


5. 관련 문서[편집]




6. 외부 링크[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6:02:37에 나무위키 오만-예멘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