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식 로마자 표기법/한국어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 펼치기 · 접기 ]



Yale romanization of Korean / 한국어의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1. 개요
2. 규정
3. 특징
4. 표기 예시
5. 기타
6. 문제점 및 비판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현대 한국어중세 한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예일 대학교 출신 새뮤얼 엘모 마틴(Samuel Elmo Martin)과 그의 동문들이 만들었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1937)보다 약 10년 쯤 뒤에 만들어졌다.

한국어 발음을 기본 로마자만 활용하여 음운론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특히 현대 한국어에서 소실된 역사적 음운에 대한 표기도 고안되어 있다. 즉, 예일식 표기법은 애초부터 한국어학 및 언어학에서의 사용을 염두에 두고 고안된 것이다. 때문에 한글 표기와 발음 등을 모두 체계적으로 고려하여 만들어졌기에, 해외의 적지 않은 한국어 학자들이 이 표기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해외 학계, 특히 언어학계에서는 거의 표준 수준으로 쓰이는 표기법이다. 하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일상적으로는 쓰기 어려운 면[1]은 다소 있다.

한글을 입력하면 예일식 표기법으로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사이트가 있다.


2. 규정[편집]


각각의 글자는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표기되며, 모든 기호는 대문자로 적으라고 명시한 경우가 아니면 원칙적으로 소문자로만 적는다.

2.1. 현대 한국어 표기[편집]


한글



















로마자
k
n
t
l
m
p
s
ng
c
ch
kh
th
ph
h
kk
tt
pp
ss
cc

한글





















로마자
a
ya
e
ye
o
yo
wu
yu
u
i
ay
yay
ey
yey
oy
wi
uy
wa
we
way
wey
  • 초성에 오는 은 표기하지 않는다.
  • 양순음(ㅁ, ㅂ, ㅃ, ㅍ)의 뒤에서는 ㅜ를 wu가 아닌 u로 표기한다. 이는 양순음 뒤에 원순모음이 등장하지 않는 한국어의 음소배열제약에 따른 것이다.
  • q는 된소리되기 현상을 표기할 때 사용된다.
    • 할 일 : halq il
    • 할 것 : halq kes
    • 글자 : kulqca
  • 음절 구분이 필요할 경우 .을 찍거나 어깻점(')을 찍어서 구분한다.
    • 늙은 : nulk'un 또는 nulk.un
    • 같이 : kath'i 또는 kath.i
  • 장음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 모음자 위에 마크론(macron)을 추가한다.
    • 말〔馬〕 : mal
    • 말〔言〕 : māl
  • 두음 법칙에 의한 음운 변동을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 l, n을 윗첨자로 올려(l, n)적는다.
    • 영도(領導) : ˡyengto
    • 노인(老人) : ˡnoin
    • 영변(寧邊) : ⁿyengpyen

2.2. 중세 한국어 표기[편집]


한글




로마자
W
z
G
q

한글







로마자
wo
woy
ywo
ywu
yuwy
o
oy
  • 중세 한국어에서는 가 무조건 "wu"로 표기된다. 즉 기본 모음인 ㆍ, ㅡ, ㅣ를 각각 o, u, i로 표기하고, ㆍ에 구축(口蹙)이 적용된 ㅗ를 wo, ㅡ에 구축이 적용된 ㅜ를 wu로 표기한다. 구축(≒원순) 모음을 'w-'로 표기한 것.
  • 은 /g/~/ɣ/~/ɦ/ 음가를 갖는 경우에만 'G"로 표기되며, 그 이외에는 생략한다.

2.3. 그 외[편집]


  • 모음 조화에 따른 이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 기호를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언(用言)에서 ㅓ와 ㅏ 발음을 한꺼번에 표기하기 위해 ᵉ⁄ₐ(e/a)를 쓰는 게 그 예이다. 또한 중세 한국어에서는 ㅡ와 ㆍ의 치환을 나타내기 위해 ᵘ⁄ₒ(u/o)를 쓸 수 있다.
  • 어깻점(')으로 축약이나 생략을 나타낼 수도 있다.
    • 나 + 의 → 내 na 'y
    • 별 + 으로 → 별로 pyel 'lo
  • 불규칙 활용을 나타내기 위해 ㄷ과 ㄹ 발음에 무관하게 한 기호로 대문자 T를 쓸 수도 있다.
    • 걷다 : keTta
    • 걸어요 : keTᵉ⁄ₐyo
  • 방언이나 고어 발음 등을 표기하기 위해 다른 보조 부호를 첨가할 수도 있다.


3. 특징[편집]


현대에 사용되는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 중 거의 유일하게, 비록 일부이긴 하나 옛한글의 표기까지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중세국어를 논문에서 표기할 때는 옛한글과 더불어 예일식 표기법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딴이가 달린 모음은 현대 한국어 발음과 중세 한국어 추정음의 음성학적 차이를 구분해서 적지 않는다. 예를 들어 ㅔ는 원래 중세 한국어에서 /əj/~/ej/로 발음된 것으로 추정되고 현재는 /e/로 발음되지만[2] 예일식에서는 발음에 따른 구분 없이 ey로만 적는다.[3]


4. 표기 예시[편집]


<Aykwukka[4]>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tonghaymulkwa payktwusani maluko talhtolok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hanunim.i powuhasa wulinala mansey

남산 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namsan wiey ce sonamu chelkap.ul twulun tus

바람 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palam seli pulpyenham.un wuli kisang.ilsey

가을 하늘 공활한데 높고 구름없이
kaul hanul konghwalhantey nophko kwulum eps.i

밝은 달은 우리 가슴 일편단심일세
palk.un talun wuli kasum ilphyentansim.ilsey

이기상과 이 맘으로 충성을 다하여
i kisangkwa i mam.ulo chwungseng.ul tahaye

괴로우나 즐거우나 나라 사랑하세
koylowuna culkewuna nala salanghasey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mukwunghwa samchenli hwalye kangsan

대한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tayhan salam tayhan.ulo kil.i pocenhasey

5. 기타[편집]




6. 문제점 및 비판[편집]




7.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1:24:39에 나무위키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한국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때문에 레딧의 r/korea 서브레딧에서는 이 표기법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2] 사실 현대에는 ㅐ와 ㅔ의 구분이 사라져 /e̞/ 정도로 발음하는 사람이 대다수이다. 음운론 논문에서는 편의상 'E'로 적곤 한다.[3] 사실 ㅟ를 제외한 딴이가 달린 모음을 y를 받쳐 적은 것은 중세 한국어 발음과 한글 철자를 기준으로 한 표기이지 현대 한국어 발음을 반영한 것이라고 보긴 어렵다.[4] 애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