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흥부대부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의친왕비
흥친왕비
대원왕비
순목대원왕비
영친왕의 부인 이방자는 영친왕호를 폐작한 후에 결혼했으므로 영친왕비가 아니다.
대한제국 황실





대한제국 고종의 생모
여흥순목대원비 | 驪興純穆大院妃


조선 고종의 생모
여흥부대부인 | 驪興府大夫人

시호
여흥순목대원비(驪興純穆大院妃)
호칭
여흥부대부인(驪興府大夫人)
출생
1818년 2월 3일
한성부 서부 인달방 사직동 이옥 사저
사망
1898년 1월 8일 (향년 79세)
한성부 북부 운현궁
능묘
흥선대원군묘
본관
여흥 민씨
부모
부친 - 민치구(閔致久)
모친 - 전주 이씨(全州 李氏)
부군
흥선헌의대원왕(興宣獻懿大院王)
자녀
2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녀 - 조경호(趙慶鎬)의 처
장남 - 흥친왕(興親王)
차남 - 고종(高宗)
차녀 - 조정구(趙鼎九)의 처

종교
기독교 (천주교 | 세례명: 마리아)

1. 개요
2. 생애
3. 가족 관계
4. 대중매체에서



1. 개요[편집]


흥선대원군의 부인이자, 흥친왕 이재면고종의 친어머니이다.

후술하겠지만 명성황후와는 6대조인 여양부원군 민유중에게서 갈라진 같은 항렬의 자매 뻘이다. 흥선대원군이 며느리로 명성황후를 들이는 데에는 여흥부대부인의 영향이 컸다. 흥선대원군은 처가에서 며느리를 맞으면 그 외척을 자신의 정치 세력으로 끌어들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득이라고 생각했다. 마침 흥선대원군 자신의 외가도 여흥 민씨였기 때문에 여흥 민씨는 그에게 큰 힘이 될 수 있었다.[1] 그러나 역사는 다들 알다시피...


2. 생애[편집]


12세인 1830년(순조 30년)에 2살 어린 이하응과 혼인했다. 1834년(순조 34년)에 이하응이 흥선정 작호를 받을 때 신인(慎人, 정3품 종친의 처), 1841년(헌종 7년)에 흥선도정에 봉해질 때 신부인(慎夫人, 정3품 당상 종친의 부인)의 외명부 작호를 받았다. 직후 이하응이 흥선군이 되면서 군부인이 되었고, 1864년(고종 1년)에 차남 이명복이 왕위에 올라 남편은 흥선대원군, 자신은 여흥부대부인으로 봉해졌다.

원래 여흥부대부인은 천주교 신자였다. 고종의 유모로 고용한 박 마르타(? ~ 1868)가 천주교 신자였던 것을 계기로 천주교를 접했으며, 고종이 왕위에 올랐을 때 운현궁에서 감사 미사를 드리기도 했다고 한다. 병인박해 때 박 마르타가 순교하면서 한동안 천주교를 배우지 못했다. 그러다 1887년 한불 조약 이후 천주교가 허용되었는데, 이 때는 흥선대원군도 부인이 천주교를 믿는 것을 막지 않았다. 여흥부대부인은 1896년(건양 원년)에 조선교구 감목[2] 뮈텔 주교의 집전으로 세례를 받았다.참고

1866년(고종 3년)에 며느리 명성황후를 맞아들였으나 남편과 아들 내외가 사이가 멀어지면서 여흥부대부인은 이때부터 죽을 때까지 난처한 위치에 놓인다. 남편 편을 들자니 가문을 저버리는 셈이고, 가문 편을 들자니 남편을 저버리는 셈이니.

임오군란이 터지면서 흥선대원군이 입궐할 때 부대부인도 입궐했다. 이 때 그는 명성황후를 본인이 타고 온 가마에 숨겨 피신시켰다. 마침 이를 본 어떤 궁인이 난병들에게 밀고했다. 이 말을 들은 난병은 가마의 포장을 찢어 땅에 팽개쳤다. 그때 무예별감 홍재희[3]가 '그 여인은 상궁으로 있는 내 누이다. 그대들은 오인하지 말라'고 소리친 뒤에 명성황후를 등에 업고 궁궐을 빠져나왔다. 여흥부대부인은 자신을 의심하는 흥선대원군을 겨우 설득하여 추격을 막아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흥선대원군은 굉장히 화가 나 한동안 부대부인을 멀리하기도 했다.

결국 이 일로 명성황후가 에 원군을 요청해 청군이 임오군란을 가볍게 진압했다. 결국 이 일로 남편이 납치당해 텐진에 끌려가고 말았다. 물론 의도한 것은 아니었겠지만 결과적으로는 흥선대원군 납치의 원인을 제공한 셈.

저렇게만 보면 일생동안 남편과 대립했던 것 같지만, 여흥부대부인과 흥선대원군의 금슬이 그리 나쁘지는 않았던 것 같다.

1898년(광무 2년) 1월, 79세로 세상을 떠났다. 그로 인해 충격을 받았던 탓인지 흥선대원군도 불과 한 달 뒤에 사망했다.


3. 가족 관계[편집]


  • 부 : 민치구(閔鎭永)
  • 모 : 정경부인 전주 이씨(貞敬夫人 全州 李氏, ? ~ 1873) - 통덕랑 이옥[4](李𪸛)의 딸, 경원군의 고모

  • 시부 : 남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 ~ 1836)
  • 시모 : 군부인 여흥 민씨(郡夫人 驪興 閔氏) - 민정중[5](閔鼎重)의 4대손 민경혁(閔景爀)의 딸


6대조가 여양부원군 민유중이고, 며느리인 명성황후와는 먼 친척간이자 같은 항렬, 그러니까 12촌 자매간이다. 명성황후의 5대조는 민유중의 계실 은성부부인 송씨[6]가 낳은 장남 민진후이고, 여흥부대부인의 5대조는 3번째 아내인 풍창부부인 조씨가 낳은, 민유중의 3남 민진영이다.

여흥부대부인의 동생인 민승호민치록에게 입적하여 명성황후의 양오빠가 되었다. 민승호는 이렇게 ' 왕의 외삼촌(실제 혈통 상) '이자 ' 왕비의 오빠(법적) '라는 위치에서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매형인 흥선대원군과 처남인 민승호 사이가 껄끄러워지면서 여흥부대부인이 매우 난처해졌다.

손자며느리인 순명효황후와도 6대조인 민유중에서 갈라져 나온 사이이다. 순명효황후민유중의 차남인 민진원의 6대손으로, 여흥부대부인에게는 먼 친척 조카뻘이다.

정리하면 여흥부대부인과 명성황후는 시어머니 - 며느리 관계이지만, 여흥 민씨 집안으로는 서로 12촌 언니 - 동생 사이이다. 그리고 순종의 아내 순명효황후는 이들의 13촌 조카이다. 즉, 어머니와 할머니가 12촌 자매이므로, 순종은 아버지 고종과 부자관계 임에도 외가(여흥 민씨) 쪽으로는 같은 항렬로써 14촌 형 - 동생 관계이다. 순명효황후도 순종과 같은 항렬이므로, 순명효황후에게 시아버지 고종은 14촌 오빠, 남편 순종은 14촌 동생이다.

그런데 족보 상으로는 그렇지만, 사실 실제 혈통 상 명성황후와 여흥부대부인은 10대조 민사용에서 갈라진 20촌이다. 정확히는 민사용의 장남 민여건의 9대손이 명성황후, 5남 민여임의 9대손이 여흥부대부인이다. 부대부인의 할아버지 민단현이 15촌 숙부이자 민진영의 손자 민백술의 양자로 가면서 민유중[7]의 후손이 된 것.

여흥부대부인의 생모 이씨 부인은 덕흥대원군의 종가 도정궁 13대 사손 이하전고모이다. 즉, 여흥부대부인은 이하전의 고종사촌이다. 그런데 이하전은 전주 이씨 기준으로 고종의 조카 뻘 항렬이다. 그래서 여흥부대부인 입장에서는 아들과 어머니가 같은 항렬 남매 뻘이다. 아들이 외숙 뻘인 셈.(...)[8]


4. 대중매체에서[편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풍운 여흥부대부인.png}}} ||
〈풍운〉의 여흥부대부인
1982년 KBS 드라마 〈풍운〉에서는 배우 서우림[9]이 연기했다. 초반에는 파락호 행세하는 남편 흥선군(이순재 분) 때문에 속앓이를 한다. 고종(박칠용 분) 즉위 후 남편과 며느리(김영애 분)가 대립하자 이에 또 괴로워한다. 독실한 천주교 신자로 나오며 죽기 1년 여 전에 흥선대원군에게 허락을 받아 영세를 받는 장면도 등장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대원군 여흥부대부인.png}}} ||
〈조선왕조 500년〉의 여흥부대부인
1990년 MBC조선왕조 500년 - 대원군〉에서는 배우 엄유신[10]이 연기했다. 남편 흥선대원군(임동진 분)과 며느리 명성황후(김희애 분)의 대립에서 전반적으로는 남편의 편을 드나 며느리 입장에서도 최대한 생각하려고 한다. 〈풍운〉과 작가가 같기 때문에 두 작품에서 묘사한 모습이 비슷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찬란한 여명 여흥부대부인.png}}} ||
〈찬란한 여명〉의 여흥부대부인
1995년 KBS1 드라마 〈찬란한 여명〉에서는 배우 김창숙이 연기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성황후 부대부인 민씨 초반.jpg }}} ||
〈명성황후〉의 여흥부대부인
2001년 ~ 2002년 KBS2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는 배우 이덕희[11]가 연기했다. 명성황후(문근영[12])가 중전의 자리에 오르도록 도와주었으며 남편 흥선대원군(유동근 분)과 며느리 명성황후(이미연 분, 최명길[13])가 사사건건 충돌하고 반목하자 그 사이에 끼어 마음 고생을 한다. 주로 남편의 편을 많이 들지만 남편이 지나친 노욕을 보이면 이를 견제하기도 한다. 임오군란이 터져 명성황후가 죽을 위기에 처하자 자신의 가마를 내주어 무사히 도망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으나 명성황후가 돌아온 뒤 남편이 청나라로 끌려가자 이에 분개하여 한동안 명성황후를 외면한다. 아주버님 흥인군이 백성들에게 살해당했을때 남편이 손윗동서인 흥인군 부인에게 '사람도 아닌 짐승을 묻을 수 있냐, 대역죄로 다스리지 않는 것만으로도 고마운 일이지. 맘 같아선 사지를 절단내 효수하고 싶다'라며 막말을 하자 제정신이 아니라며 기겁을 한다. 실제 역사에서 여흥부대부인이 조선 말기의 막장 상황을 모두 겪은 만큼 드라마에서도 동일하게 나오는데 매 회 등장할 때마다 눈물마를 날이 없다.

2021년 8월 30일부터 9월 4일까지 《KBS Drama Classic》 유튜브 채널에서 〈명성황후〉를 연속으로 무료 스트리밍을 했는데 거기서 네티즌들에게 '부대찌개 부인'(...)이란 별명으로 불렸다. 심지어 여흥부대부인이 명성황후에게 자신의 가마를 주고 탈출시키는 장면에서는 '부대찌개부인의 렌트카 사업 진출', '부대찌개 배달용 가마 탑승'(...) 등의 드립이 등장했다.
[1] 즉, 남연군 - 흥선대원군 - 고종 - 순종 4대가 모두 여흥 민씨 가문의 여인과 혼인한 것. 고종 입장에서는 처, 어머니, 친할머니, 며느리가 모두 같은 가문인 셈이다.[2] 1911년에 플로리앙 드망즈 주교가 초대 주교(당시는 감목으로 불렸음)로 착좌하고 대구대교구가 신설되며, 기존 조선교구는 서울대교구가 되면서 교구가 늘어나기 시작했지만 1896년은 아직 조선교구만 있던 시절이었다.[3] 훗날 홍계훈으로 개명[4] 완성군의 동생[5] 민유중의 형, 인현왕후의 백부[6] 인현왕후의 생모다.[7] 민여건의 증손자.[8] 상술한 여흥 민씨 집안 서열과 바로 위에 적은 전주 이씨 집안 서열을 종합하면, 여흥부대부인에게 명성황후외숙모 뻘이자 동생 뻘이자 며느리(...)이다. 다만 이하전고종의 촌수가 무려 25촌으로(...) 너무 멀어 그쪽으로는 촌수 서열 계산을 당연히 거의 안 한다.[9]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왕건의 어머니 한씨 부인(위숙왕후) 역.[10] 2001년 KBS 드라마 〈명성황후〉에서는 동서인 흥인군 부인 역.[11] 1990년 KBS 특집극 〈왕조의 세월〉에서는 같은 여흥 민씨 출신이자 영친왕의 약혼녀 민갑완 역, 1995년 SBS 드라마 〈장희빈〉에서는 여흥부대부인의 6대조 할머니 풍창부부인 조씨 역, 2002년 SBS 드라마 〈야인시대〉에서는 김두한의 큰어머니 오숙근 역, 2014년 KBS 드라마 〈정도전〉에서는 공민왕의 모후인 명덕태후 역을 맡았다.[12] 아역.[13] 성인 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명성황후(드라마)
명성황후(드라마)
문서의 r78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7;"
, 7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분류:여흥 민씨 삼방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37:53에 나무위키 여흥부대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