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피나스

최근 편집일시 :


파일:FrontierGen-Espinas_Render_004.png
파일:에스피나스 선브레이크.png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1]


1. 개요[편집]


에스피나스 인게임 아이콘
파일:에스피나스 프론티어 아이콘.png
파일:에스피나스 온라인 아이콘.png
파일:에스피나스 라이즈 아이콘.png
MHF
MHO
MHRSB


파일:에스피나스 라이즈 아이콘.png

이름
에스피나스[2] / エスピナス / Espinas
별명
극룡(棘竜)[3][4]
종별
비룡종
분류
용반목-용각아목-극룡상과-에스피나스과
아이콘(MHRSB)
등장
MHRSB, MHF, MHO

전투 BGM
끝 없는 미로[5]
(終わりなき迷路)


전용 BGM
끝 없는 미로/수해[6]
(終わりなき迷路/樹海)


전신이 딱딱한 껍질과 날카로운 가시로 뒤덮인 비룡으로, 그 외형으로 인해 「극룡」으로도 불린다. 그 갑각과 가시가 적을 얼씬도 못하게 해서인지, 자신의 영역에서 무방비하게 누워 있는 등 여유로운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하지만 위험을 감지하면 몸의 일부가 붉게 물들 정도로 혈관을 확장시켜 흉포화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평소에는 주변을 신경 쓸 일 없이 유유자적하게 잠들어 있지만, 위험을 강하게 느꼈을 시 돌연 격분한다.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에서 처음 등장한 몬스터. 실질적인 최초의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오리지널 몬스터이다.[7] 2008년 1월 30일 시즌 2.0 '에스피나스, 각성' 업데이트로 추가되었으며, 리오레우스가 몬스터 헌터 시리즈의 상징이라면 에스피나스는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수해에 서식하며 온몸에 독을 내뿜을 수 있는 가시가 있어 '극룡'이라 불리며, '수해의 주인'이라고도 불린다. 설정상 에스피나스의 독은 에스피나스의 피인데 독이 있는 랑고스타나 독까스두꺼비를 먹고 독이 농축되어 혈액을 타고 흐르고 있다. 이 독은 "극룡의 농독혈" 이라 불리며 단 한방울로 주변 일대 초식종을 초토화 시킬수 있다고 한다.

비룡종이면서 태고에 수해에 군림한 고룡과 세력 다툼을 벌였다고 전해져, 단지 인간에게 위협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실제로 고룡종에 대항할 수 있는 의미의 고룡급 생물이라고도 한다.


에스피나스의 수면 상태
다른 비룡종 몬스터들과는 달리 적극적으로 사냥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평소에는 몸을 웅크리고 숨을 죽이고 있다가 주변에 다가온 소형 초식종, 갑충종 몬스터들을 포식하는데, 이는 완전한 의태가 아닌 경치에 녹아드는 채색과 전혀 움직이지 않는 인내의 결과라고 한다.[8] 이러한 특징 때문에 눈에 띄지 않아 발견이 늦어졌다. 또한 몸이 매우 단단하며 게으른 성격으로, 단단한 갑각과 날카로운 가시가 공격과 방어를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자신의 세력권에 들어온 적을 배제하기보단 적이 지쳐 포기할 때까지 기다리는 습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 설정은 인게임에도 구현되어 에스피나스를 상징하는 모습이 바로 헌터가 아무리 공격을 해도 고개를 흔드며 수면을 하는 모습이다. 또한 프론티어에서 구현된 '비분노 상태에서는 플레이어를 인식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어그로를 끌어 분노 상태로 만들어야 하는 기믹' 역시 설정을 패턴으로 구현한 것.[9]

1.1. 아종[편집]


파일:FrontierGen-Espinas_Subspecies_Render_001.png
파일:극다룡 에스피나스.png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

에스피나스 아종 인게임 아이콘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온라인 아이콘.webp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라이즈 아이콘.png
MHF
MHO
MHRSB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라이즈 아이콘.png

이름
에스피나스 아종 / エスピナス亜種 / Flaming Espinas
별명
극다룡(棘茶竜)[10]
종별
비룡종
분류
용반목-용각아목-극룡상과-에스피나스과
아이콘(MHRSB)
등장
MHF, MHO, MHRSB

일반종과는 색이 달라 「극다룡」이라 불리는 에스피나스의 아종 개체. 일반종처럼 대개는 자고 있어 웬만한 공격으로는 일어나지 않는다. 내뿜는 브레스에는 강력한 독과 장비도 부식시키는 고농도의 산이 섞여 있어 제대로 맞으면 뼈도 못 추린다.

아종으로 붉은 갈색빛을 띈 극다룡이 존재한다. 일반 필드를 메인으로 삼던 원종과는 다르게 협곡과 고탑에서 서식하며 브레스 속성 중 마비속성이 방어력 다운으로 바뀌었다.

단순한 육탄전을 주력으로 삼던 원종과는 달리, 아종만의 특징으로 차지 패턴들이 존재한다. 설정상으로도 의도적으로 빈틈을 보인 후 강력한 공격을 한다고 하는데 대놓고 장시간 입에 브레스를 머금고 충전하는 듯한 행동을 한 뒤, 주변을 죄다 원킬내는 차지 브레스나 300도 이상의 각도가 커버되는 차지 버전 철산고, 뿔 어퍼컷, 꼬리 날리기 등 다양한 패턴이 존재한다.

썬브레이크에서는 2022년 9월 말에 추가될 무료 2차 업데이트에 출현을 예고했다. 월신룡의 전용맵이던 밤의 탑의 비경에서 테오 테스카토르와 대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영상 말미 차지 어택의 건재함도 보여주었다.


1.2. 희소종[편집]


파일:에스피나스 희소종.png

파일:에스피나스 희소종 프론티어 아이콘.png

이름
에스피나스 희소종 / エスピナス希少種
별명
극백룡(棘白竜)
종별
비룡종
아이콘(MHF)
등장
MHF
6.0에선 온몸이 백색인 에스피나스 희소종이 등장한다. 별칭은 극백룡.

90도씩 뚝뚝 끊어져 방향 전환을 하는 일반 비룡종과 달리 한 번에 부드럽게 돌면서 허점을 잘 안 주며, 브레스가 네이팜탄 수준으로 지상에 남아서 활활 타오르는 신 패턴이 추가되었다. 게다가 불에 닿으면 독까지 걸리기 때문에 해독하지 않으면 피 줄어드는 속도가 장난이 아니니 주의.

그러나 불길 중앙에서 날갯짓을 하며 주변의 불길을 서서히 회전시키는 공격 때 불길 사이의 틈으로 안으로 헤집고 들어가서 데미지를 주면 해당 패턴이 캔슬되면서 대경직에 빠진다. 때문에 이 것을 노리면 오히려 원종보다도 쉬운 편으로, 나오자마자 광역화 띄운 수렵피리가 제때 힐을 해주면서 3쌍검이 마구 썰어주는 형식의 하메가 나오는 굴욕을 당했다.

G급에선 진타+검술 세트의 교복으로 인기가 높았으나 검신 스킬이 나오면서 인기가 완전히 떨어졌다.


1.3. 천이종[편집]



몬스터 헌터 시리즈간판 몬스터

[ 펼치기 · 접기 ]

MH / MHP / MH:W






파일:리오레우스 라이즈 아이콘.png


화룡(火竜)
리오레우스

파일:리오레우스 아종 월드 아이콘.png


창화룡(蒼火竜)
리오레우스 아종

파일:크샬다오라 라이즈 아이콘.png


강룡(鋼龍)
크샬다오라

파일:티가렉스 라이즈 아이콘.png


굉룡(轟竜)
티가렉스

파일:나르가쿠르가 라이즈 아이콘.png


신룡(迅竜)
나르가쿠르가





파일:라기아크루스 스토리즈2 아이콘.png

해룡(海竜)
라기아크루스

파일:진오우거 라이즈 아이콘.png


뇌랑룡(雷狼竜)
진오우거

파일:브라키디오스 월드 아이콘.png


쇄룡(碎竜)
브라키디오스
파일:MH4U-Gore_Magala_Icon.png

흑식룡(黑蝕竜)
고어 마가라
파일:셀레기오스 스토리즈2 아이콘.png

천인룡(千刃竜)
셀레기오스






파일:디노발드 월드 아이콘.png


참룡(斬竜)
디노발드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HXX-Valfalk_Icon.png

천혜룡(天彗龍)
발파루크

파일:네르기간테 월드 아이콘.png


멸진룡(滅尽龍)
네르기간테

파일:이베르카나 월드 아이콘.png


빙룡(冰龍)
이베르카나

파일:마가이마가도 라이즈 아이콘.png


원호룡(怨虎竜)
마가이마가도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은작룡(銀爵龍)
멜-제나





파일:FrontierGen-Zenith_Espinas_Render_001.png

파일:에스피나스 프론티어 아이콘.png

이름
에스피나스 천이종 / 辿異種エスピナス / Zenith Espinas
별명
극룡(棘竜)
종별
비룡종
아이콘(MHF)
등장
MHF


1.4. 열종[편집]


파일:메라기나스.webp

파일:메라기나스 프론티어 아이콘.png

이름
메라기나스 / メラギナス/Meraginasu
별명
흑천룡(黒穿竜)[11]
종별
비룡종
아이콘(MHF)
등장
MHF

G3 업데이트에서 등장한 에스피나스의 열종. 조도의 동굴 최심부에서 주로 등장하며 동굴에 오랫동안 진화해서인지 눈이 퇴화되어 앞을 못 본다고 한다. 그 대신 귀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했다고.


2. 특징 및 공략[편집]



2.1.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편집]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의 대형 몬스터

[ 펼치기 · 접기 ]
-2
||<table bgcolor=white,#1f2023><-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조룡종|{{{#white 조룡종}}}]]}}} ||
||<width=48>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스람포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width=140>[br][[도스람포스]] ||<width=48>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스게네포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width=140>[br][[도스게네포스]] ||<width=48>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스이오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width=140>[br][[도스이오스]] ||<width=48>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얀쿡크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width=140>'''괴조'''[br][[얀쿡크]] ||<width=48>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얀쿡크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width=140>'''청괴조'''[br][[얀쿡크 아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게리오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독괴조'''[br][[게리오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게리오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독괴조'''[br][[게리오스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얀가루루가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흑랑조'''[br][[얀가루루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프노크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면조'''[br][[히프노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프노크 번식기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창면조'''[br][[히프노크 번식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히프노크 희소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창백면조'''[br][[히프노크 희소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몽가의 부리[br][[천이종 히프노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르노크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경뢰조'''[br][[파르노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로쿠루루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화봉조'''[br][[포로쿠루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토리도쿠레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조뢰조'''[br][[토리도쿠레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현요의 날개[br][[천이종 토리도쿠레스]]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아수종|{{{#white 아수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스팽고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대저'''[br][[도스팽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바콩가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도모수'''[br][[바바콩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도블랑고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설사자'''[br][[도도블랑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쇄의 강완[br][[천이종 도도블랑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잔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금사자'''[br][[라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잔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홍련사자'''[br][[보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카무-올가론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웅향랑'''[br][[카무-올가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노노-올가론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자향랑'''[br][[노노-올가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도가론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폭랑'''[br][[미도가론]]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폭속의 다리[br][[천이종 미도가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고모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도비수'''[br][[고고모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우가루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청투수'''[br][[레이-고우가루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우가루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적투수'''[br][[로로-고우가루프]]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아룡종|{{{#white 아룡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오우거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뇌랑룡'''[br][[진오우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진오우거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옥랑룡'''[br][[진오우거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도로 울부짖는 진오우거|극도로 울부짖는[br]진오우거]]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수룡종|{{{#white 수룡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라간킨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폭추룡'''[br][[우라간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브라키디오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쇄룡'''[br][[브라키디오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블조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공폭룡'''[br][[이블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굶주려 먹어치우는 이블조|굶주려 먹어치우는[br]이블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도로 먹어치우는 이블조|극도로 먹어치우는[br]이블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비올그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영룡'''[br][[아비올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아올그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빙영룡'''[br][[기아올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빙괴의 꼬리[br][[천이종 기아올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스라바즈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노모룡'''[br][[가스라바즈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궤의 장완[br][[천이종 가스라바스라]]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갑각종|{{{#white 갑각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다이묘자자미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방패게'''[br][[다이묘자자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쇼군기자미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낫게'''[br][[쇼군기자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불락의 방패[br][[천이종 다이묘자자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요새게'''[br][[센가오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라-바심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미정갈'''[br][[아크라-바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크라-제비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희정갈'''[br][[아크라-제비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황황의 꼬리[br][[천이종 아크라-바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타이쿤자무자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다각해'''[br][[타이쿤자무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기암의 발톱[br][[천이종 타이쿤자무자]]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어룡종|{{{#white 어룡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스가레오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사토룡'''[br][[도스가레오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노토토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수룡'''[br][[가노토토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노토토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취수룡'''[br][[가노토토스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기위의 머리[br][[천이종 가노토토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볼가노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용암룡'''[br][[볼가노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볼가노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홍용암룡'''[br][[볼가노스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백은어룡'''[br][[알가노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황금어룡'''[br][[골가노스]]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해룡종|{{{#white 해룡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쿠아르세프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정룡'''[br][[쿠아르세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카라돈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동해수'''[br][[포카라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루라갈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식혈룡'''[br][[바루라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자교의 머리[br][[천이종 바루라갈]]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비룡종|{{{#white 비룡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오레우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화룡'''[br][[리오레우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오레우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창화룡'''[br][[리오레우스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오레우스 희소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은화룡'''[br][[리오레우스 희소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작열의 날개[br][[천이종 리오레우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르레우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휘계룡'''[br][[제르레우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도로 빛나는 제르레우스|극도로 빛나는[br]제르레우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오레이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자화룡'''[br][[리오레이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오레이아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앵화룡'''[br][[리오레이아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리오레이아 희소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금화룡'''[br][[리오레이아 희소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로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각룡'''[br][[라-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노블로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일각룡'''[br][[모노블로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모노블로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백일각룡'''[br][[모노블로스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아블로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각룡'''[br][[디아블로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아블로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흑각룡'''[br][[디아블로스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발사블로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염각룡'''[br][[발사블로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바살모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암룡'''[br][[바살모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라비모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개룡'''[br][[그라비모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라비모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흑개룡'''[br][[그라비모스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암장의 몸통[br][[천이종 그라비모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레아도모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수채룡'''[br][[그레아도모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티가렉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굉룡'''[br][[티가렉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괴열의 발톱[br][[천이종 티가렉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오렉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뇌굉룡'''[br][[디오렉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르가쿠르가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신룡'''[br][[나르가쿠르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도로 빨리달리는 나르가쿠르가|극도로 빨리달리는[br]나르가쿠르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벨리오로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빙아룡'''[br][[벨리오로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셀레기오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천인룡'''[br][[셀레기오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푸루푸루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br][[푸루푸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푸루푸루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br][[푸루푸루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이형의 얼굴[br][[천이종 푸루푸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패룡'''[br][[아캄토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피나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룡'''[br][[에스피나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다룡'''[br][[에스피나스 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스피나스 희소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백룡'''[br][[에스피나스 희소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사독의 뿔[br][[천이종 에스피나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메라기나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흑천룡'''[br][[메라기나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벨큐로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무뇌룡'''[br][[벨큐로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드라규로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명뇌룡'''[br][[드라규로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광명의 뿔[br][[천이종 드라큐로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나세리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열수룡'''[br][[제나세리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리아푸리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탄룡'''[br][[파리아푸리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듀라가우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빙호룡'''[br][[듀라가우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미-루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흑호룡'''[br][[미-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요사히 둔갑하는 미-루|요사히 둔갑하는[br]미-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렌제블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만룡'''[br][[그렌제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디바트라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노암룡'''[br][[오디바트라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휴지키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침전룡'''[br][[휴지키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자극의 침[br][[천이종 휴지키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놀파티스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폭거룡'''[br][[아놀파티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천폭의 톱각[br][[천이종 아놀파티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볼바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창음룡'''[br][[포볼바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보가바도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폭무룡'''[br][[보가바도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도로 덮치는 보가바도름|극도로 덮치는[br]보가바도름]]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고룡종|{{{#white 고룡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키린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br][[키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크샬다오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강룡'''[br][[크샬다오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녹슨 크샬다오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창강룡'''[br][[녹슨 크샬다오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갈바다오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금진룡'''[br][[갈바다오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나즈치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하룡'''[br][[오나즈치]]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나나-테스카토리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염비룡'''[br][[나나-테스카토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테오-테스카토르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염왕룡'''[br][[테오-테스카토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토아-테스카토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동왕룡'''[br][[토아 테스카토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오샨룽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노산룡'''[br][[라오샨룽]]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오샨룽 아종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암산룡'''[br][[라오샨룽 아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비악룡'''[br][[야마츠카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부봉룡'''[br][[야마쿠라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마츠마가츠치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폭풍룡'''[br][[아마츠마가츠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어-마가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흑식룡'''[br][[고어-마가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샤가르마가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천회룡'''[br][[샤가르마가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흑룡'''[br][[밀라보레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홍룡'''[br][[밀라보레아스#아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선조룡'''[br][[밀라보레아스#희소종]]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루코디오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룡'''[br][[루코디오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비디오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뇌극룡'''[br][[레비디오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자극의 날개[br][[천이종 루코디오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샨티엔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천상룡'''[br][[샨티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스피로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치동룡'''[br][[디스피로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나가미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아용룡'''[br][[이나가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도화의 꼬리[br][[천이종 이나가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루도메르그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사은룡'''[br][[하루도메르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천이종 프론티어 아이콘 임시.png|width=36]]}}} ||비은의 머리[br][[천이종 하루도메르그]]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케오알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염악룡'''[br][[케오알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관조름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제정룡'''[br][[관조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도로 통솔하는 관조름|극도로 통솔하는[br]관조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엘제리온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작열룡'''[br][[엘제리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도로 태워얼리는 엘제리온|극도로 태워얼리는[br]엘제리온]] ||
||<-10><bgcolor=#126730><color=white> {{{#!wiki style="margin: -2px"
종족 불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비엔테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대암룡'''[br][[라비엔테]]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비엔테 광폭기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대암룡'''[br][[라비엔테 광폭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비엔테 맹광기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대암룡'''[br][[라비엔테 맹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두레무디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천랑의 파수꾼[br][[두레무디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 프론티어 아이콘.png|width=36]]}}} ||[[극도로 거만한 두레무디라|극도로 거만한[br]두레무디라]] ||
||<-10>※ [[킹차차브]]는 [[몬스터 헌터 포터블 세컨드 G]]부터 대형 몬스터로 취급되나, 몬스터 헌터 도스 기반인 프론티어 온라인에서는 여전히 소형 몬스터로 취급한다.
※ 굶주려 먹어치우는 이블조는 미친듯이 먹어치우는 이블조([[미친 이블조]])와 사실상 같아 오리지널 몬스터로 취급되지 않으나, [[천유종]]도 아니다.
※ [[고어-마가라]]와 UNKNOWN([[라-로]], [[미-루]])는 종족 불명으로 표기되나, 각각 [[고룡종]]과 [[비룡종]]임이 밝혀졌다.
※ G급에서는 통상의 [[밀라보레아스]] 대신 [[변이된 밀라보레아스]]가 등장한다. 패종과 무쌍토벌전에서는 통상의 [[파리아푸리아]] 대신 [[갈식 파리아푸리아]]가 등장한다. ||



파일:에스피나스 프론티어 아이콘.png

파일:최소 금관 월드 아이콘.png 최소 금관
836.9
파일:최대 금관 월드 아이콘.png 최대 금관
2477.2
서식지

보통 수해 그늘에서 잠만 자고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자고 있는 모션과 같지만 실은 시스템 상 전혀 다른 상태로 취급된다. 수면 중의 특징인 '대미지 3배', '한 대 맞추면 깬다' 같은 특성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옆에서 헌터가 계속 패대도 잠만 잔다. 잠을 자는 중에는 워낙에 육질이 단단해서 공격 대부분이 튕기고 대미지도 거의 안 들어간다. 심지어 패는 중엔 귀찮다고 파리 쫒는 마냥 머리와 꼬리를 흔든다.

어떻게 패서 일어나도 한동안은 헌터를 크게 신경 쓰지 않고 돌아다닌다.

그러다가 계속 맞다보면 결국 분노해서 몸이 시뻘개지는데, 이때부터가 본격적인 에스피나스전의 시작. 분노 시간도 긴데다 공격력이 엄청나게 상승하고 패턴도 난폭해지지만, 육질이 연해지기 때문에, 사실상 에스피나스와의 전투는 분노 상태에서의 전투가 거의 90%를 차지한다.

이 몬스터를 상대할 땐 수면무기나 수면탄, 수면병 등 수면 상태이상을 유발하는 요소들은 봉인하는것이 좋다. 수면상태에 걸리고 깨어나면 분노가 풀려있다. 그 더러운 육질 상태를 다시 상대해야 한다는 것.

리오레이아처럼 3연 브레스를 쓰기도 하는데, 좀 차이가 있다. 2번째까지는 머리를 들고 좌우 대각선으로 뿜어대며 3번째 브레스는 그냥 그대로 뿜거나 리오레우스의 백스텝 브레스를 쓴다. 더군다나 브레스를 맞으면 독+마비가 걸리기 때문에 자칫 브레스에 맞으면 이어지는 초고속 돌진에 끔살하는 경우가 생긴다.


2.1.1. 천이종[편집]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Z 업데이트와 추가된 천이종으로 참전했다. 발달 부위는 뿔이며 프론티어에 없던 맹독을 지녔다. 천이종 중에서 난이도는 낮은 편이지만 사실 본체는 에스피나스가 아니라 맹독이다.

맹독은 본가와 달리 해독약으로 풀 수가 없다. 또한 체력 감소도 매우 빠른 속도로 3~4씩 깎여나가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하다. 특히 브레스는 마비까지 동반하기 때문에 마비에 걸린 동안엔 무방비로 맹독 틱뎀을 그대로 받아야 하니 더더욱 위험.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에스피나스가 경직할 때 마다 보라색 유실물을 떨어트리는데, 이게 맹독 해독제다. 뜬금 없이 에스피나스가 자기 자신의 약점인 해독제를 떨어트리는 황당한 상황. 그래도 이 점 때문에 에스피나스가 천이종 최약체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섬광구슬에 의한 경직에도 떨구기 때문에 해독제가 부족하면 섬광을 던지는 것도 방법.

해독제는 먹으면 즉시 맹독을 해제하고 1분 가량 맹독에 면역이 되는 상태가 된다. 이게 광역화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광역화를 띄운 유저가 있다면 상당히 편해진다.

독은 강화되지만 마비는 일반 마비기 때문에 마비무효나 상태이상무효 스킬을 띄워가면 한층 편하다. 독무효나 상태이상무효 스킬과 함께 내독강화 천이커프를 장착하면 맹독을 무효는 할 수 없지만 완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완화된 맹독은 일반 독과 똑같은 상태가 된다. 다만 해독약은 여전히 듣지 않는다. 붉은 게이지를 남기며 체력이 줄어드는 독의 특성상 회복 아이템을 사용하면 붉은 게이지를 전부 회복하는 약선인과의 궁합도 최고.

맹독의 높은 치사율을 고려해서인지 정작 에스피나스의 공격력은 매우 낮다. 심지어 천이 4성 추가 패턴도 근성 무효 공격임에도 두 대 다 맞아도 체력이 60 정도 밖에 깎이지 않는다. 물론 맹독 상태에서 맞는다면 긴 체공시간 동안 체력이 다할 것이다.

가장 쉬운 난이도를 지니고 있지만 정작 부위파괴 난이도는 최상급. 등과 배의 부위파괴가 악명 높다. 천이종은 함정이 통하지 않기 때문에 구멍함정으로 등과 배를 노리는 것도 불가능하고, 검사의 경우 찌르기 공격이 아닌 이상 배를 정확히 노리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고 천룡곤의 공중 공격이 아닌 이상 등을 노리는 것도 불가능하다. 관통탄도 배를 제대로 훑으며 쏘기 힘든 건 마찬가지. 게다가 에스피나스 답게 제자리에 얌전히 있질 않는다.


2.2.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편집]



몬스터 헌터 라이즈 · 선브레이크의 대형 몬스터

[ 라이즈 ]


[ 선브레이크 ]
[[파일:1px 투명.png
width=900&height=1]]|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은작룡
멜-제나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낫게
쇼군기자미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에스피나스 선브레이크 컷신.jpg

파일:에스피나스 라이즈 아이콘.png

위험도
★★★★★★★
파일:최소 금왕관 라이즈 아이콘.png최소 금관
1544.62 ~ 1579.73
파일:최대 금관 라이즈 아이콘.png최대 금관
2158.96 ~ 2194.06
서식지
사원 폐허, 요새고원, 밀림

かの地は そのものが密やかに

그곳은, 그것이 은밀히

同化し 深く漂う場所

동화하여 정처 없이 떠도는 장소

気付くことなく 安住に障りしものあれば

자각 없이 안식을 방해하는 자는

やがて知ることになろう

이윽고 알게 되리라

それが

그것이

命で贖わねばならぬ過ちということを

목숨으로 속죄해야 할 과오라는 것을

禁忌の邪毒

금기의 사독

극룡 에스피나스(棘竜 エスピナス

선브레이크 3차 PV에서 공개되었으며,[12][13] 프론티어에서 데뷔한 지 14년 만에 메인 시리즈에 합류했다. 본가 제작진과 공동으로 제작한 볼가노스히프노크가 일찍이 2nd G에 나온 이후 프론티어 오리지널 몬스터가 본가에 등장한 첫 사례여서 큰 화제가 되었다.[14] 프론티어가 본가와 별개의 세계관으로 분화된 분기점이 바로 에스피나스 업데이트인 만큼, 프론티어의 상징과도 같은 몬스터인 에스피나스의 본가 상륙을 계기로 다른 프론티어 오리지널 몬스터들의 부활 혹은 참전 또한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개발진이 20주년 방송에서 밝히길 선브레이크의 몬스터를 선정하는 도중 프론티어의 서비스 종료 소식을 듣게 되고, 더 이상 잡을 수 없는 프론티어 오리지널 몬스터를 데려오자는 마음으로 참전시켰다 한다. 그 과정에서 상징성과 완성도를 갖춘 에스피나스가 선정되었고 개발진은 기왕 데려오는 거 더 데려오고 싶었으나 프론티어의 요소가 많아질 걸 우려해 아종까지만 참전시키는 선에서 그만뒀다고 한다. 또한 공교롭게도 에스피나스의 참전이 확정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TEPPEN에서 에스피나스와 또다른 오리지널 몬스터인 바루라갈이 출시되었다. 당시 유저들은 바루라갈의 본가 참전도 기대했으나 기술적으로 개발이 불가능한 라기아크루스 계통의 골격이었기에 참전하지 못 했다.

전반적으로 디자인이 자연스러워졌는데, 전신의 가시 개수와 크기가 줄었으며 코에 난 뿔의 크기도 신체 비례에 맞게 작아졌다. 그 외에 사소한 변경점으로 입술이 생겨 입을 닫으면 윗이빨이 보이지 않는다.[15]

프론티어의 수해 지역 처완 퀘스트 BGM '끝 없는 미로'를 살짝 수정해서 전용곡으로 들고 나왔다.[16]

3차 PV와 인트로에서는 나르가쿠르가와 대치하는 장면이 나온다. 이는 의미 있는 매치업으로 2nd G 당시 수해 맵에 본가와 프론티어 팀이 대표 몬스터를 배치했는데, 프론티어 팀은 에스피나스를, 본가는 나르가쿠르가를 데뷔시켰기 때문.

전신이 딱딱한 껍질과 날카로운 가시로 뒤덮인 비룡으로, 그 외형으로 인해 「극룡」으로도 불린다. 그 갑각과 가시가 적을 얼씬도 못하게 해서인지, 자신의 영역에서 무방비하게 누워 있는 등 여유로운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하지만 위험을 감지하면 몸의 일부가 붉게 물들 정도로 혈관을 확장시켜 흉포화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평소에는 주변을 신경 쓸 일 없이 유유자적하게 잠들어있지만, 위험을 강하게 느꼈을 시 돌연 격분한다.

필드 진입 시 돌아다니는 대신 한 곳에서 곤히 자고 있는 기믹이나 자는 개체를 공격해도 한동안 뒤척거리기만 하고 일어나지 않는 기믹은 프론티어 때와 같다. 하지만 조금만 때려도 일어나며 헌터를 무시하고 돌아다니는 대신 바로 포효를 지르고 전투에 돌입한다. 깨우지 않아도 시간이 지나면 알아서 일어나 필드를 돌아다니기도 한다.

패턴은 기본적으로 프론티어 당시처럼 리오레이아, 디아블로스 등의 비룡종 지상패턴을 엮어놓은 스타일이며, 특히 프론티어에서 수많은 헌터들을 골로 보낸 바 있는 돌진 패턴[17]은 본작에서 필살기로 격상되었고 스피드와 위력이 상상을 초월한다. 그리고 브레스 속성도 프론티어에서도 그랬듯이 불속성 상태이상, 독, 마비를 확정적으로 걸어버리는 복합속성[18]인 것은 덤. 마비에 걸렸을때 몬스터의 체력이 많으면 리오레우스가 사용하는 제자리 점프로 그나마 덜 아프게 때리지만, 체력이 낮아지면 냅다 돌진으로 달려오기 때문에 근성이 터지자마자 로드킬을 당하거나, 돌진을 피하더라도 화상과 독의 시너지 도트딜로 사망하는 참상을 쉽게 볼 수 있다. 덩치도 워낙에 큰 몬스터라 판정 범위도 굉장히 넓은 편. 간혹 백점프와 동시에 광역 브레스를 시전하기도 한다.[19]

옛날에 만들어진 몹답게 특별한 대경직 기믹은 없지만 대신 다리를 중점적으로 공격하다 보면 2족 보행 비룡종 특유의 다리대경직이 나온다. 또한 분노 비분노 상관없이 다리는 육질이 상대적으로 연한 편. 따라서 브레스와 돌진을 조심하면서 다리를 노리다가 분노상태면 꼬리나 머리 날개를 공격하는게 에스피나스 공략의 핵심이다. 또한 일직선으로 달려드는 것에서 착안하여 미리 덫을 깔아두고 엿을 먹이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덫에 걸릴수록 발동 시간은 짧아지지만 어쨌든 돌진을 확정적으로 짤라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생물 '큰목구렁이'를 사용하면 지속시간 동안 상태이상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브레스 패턴에서 안전해지기 때문에 조우하기 전에 몇 마리 채집해서 가져가면 난이도가 크게 내려간다.

비록 브레스와 돌진이 위협적이지만 전반적으로 라이즈 몬스터 특유의 엇박자나 꼬아둔 패턴이 없이 굉장히 정직한 구작 비룡종 같은 몬스터이고 상태이상 역시 대책이 많고 육질은 물리 속성 가리지 않고 엄청나게 부드럽기 때문에 대체로 솔플이나 숙련팟 난이도는 쉽다는 평. 다만 랜덤 매칭에서는 아차 실수하면 바로 즉사인 콤보나 적정 방어력 거너가 한 방에 삭제되는 돌진 패턴으로 인해 최종 보스와 함께 선브레이크의 대표적인 공방 폭파범이다. 경우에 따라선 돌진 한 번에 헌터들이 한 명씩 사라지는 광경을 보게 될 정도.[20]가장 큰 예시로 공방에서 오나즈치 토벌 중에 난입한 에스피나스가 앞 뒤로 돌진만 했는데 순식간에 2수레를 타고 방이 터지는 어이 없는 광경도 볼 수 있다.

에스피나스를 상대할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브레스이다. 브레스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 물론 당연히 브레스가 불·독·마비를 확정으로 걸어버리니 반드시 피해야 하는 것은 맞지만, 이거 말고도 다른 이유가 있다. 바로 모든 종류의 브레스에 후딜이 있어서 브레스를 피한다=딜타임이기 때문. 에스피나스의 브레스는 불·독·마비를 확정으로 걸어버리는 사기 브레스인 만큼, 모든 종류의 브레스에 후딜이 존재한다. 그냥 제자리에서 단발로 쏘는 브레스조차 쏘고 나면 제자리에서 자세를 바로 잡는 후딜이 존재하며, 백스텝 브레스의 경우 매우 긴 후딜이 존재한다. 슬래시액스 기준 검 2연 베기→변형 2연 베기를 풀타로 맞추고 일반 변형 베기를 2번 맞춰도 다음 공격을 대비할 시간이 넉넉하게 나온다. 그러니 에스피나스 공략에 있어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브레스를 얼마나 잘 피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으니, 브레스는 반드시 피해야 한다.

용 조종시 성능은 셀레기오스나 쇼군기자미 같이 최상급 탑승물보다 조금 모자라지만 굉장히 쓸 만한 성능으로 나왔다. 강공격 커맨드로 돌진 패턴을 시전하는데 긴급회피 캔슬로 수차례 뺑소니를 때려박을 수 있지만 에스피나스 특유의 드리프트 연속 돌진을 시전하기 때문에 회피 캔슬은 마무리로 시전하는 뿔 올려치기에 사용하면 충분하다. 사실 돌진을 연속해서 쓰는 특성상 마무리 공격인 뿔 올려치기의 명중률이 낮아서 두번째 돌진을 맞추고 캔슬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불+마비+독의 복합속성 브레스를 사용해 몬스터의 움직임을 봉쇄하여 일방적으로 공격 할수도 있다. 같은 돌진 특화 탑승물인 디아블로스와 비교하면 돌진 자체의 대미지는 적지만 연속으로 시전할 수 있고 상대를 묶을 수 있는 보조기가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가 되어있다는 평.

파일:에스피나스 크샬다오라 세력 다툼.gif

크샬다오라와의 세력 다툼이 존재한다. 에스피나스가 먼저 돌진하지만 크샬다오라가 날아오르면서 피하고, 이를 브레스로 견제하지만 크샬다오라에게 덮쳐져 피해를 입는다. 그러나 에스피나스는 다시 일어나 그대로 돌진하면서 브레스를 준비하는 크샬다오라와 정면에서 부딪히고, 돌진을 버티는 크샬다오라를 힘으로 밀다가 뿔로 들어올려 자신의 뒤쪽으로 던져버리며 피해를 입힌다. 세력 다툼 종료 후 둘 중 하나가 랜덤으로 용 조종 대기 상태에 빠진다. 고룡급 생물이라는 설정을 잘 보여주는 연출.

무료 업데이트 2탄에서 괴이화 개체가 추가되었는데 안 그래도 살벌했던 돌진 데미지가 스치면 사망 수준으로 강력해졌으며 괴이 둔화 상태 진입 시 분노가 풀려버리기 때문에 연해졌던 육질이 다시 단단해져 딜 타임인데도 딜을 넣기가 어려워지는 등, 여러모로 원종보다 상대하기가 까다로워졌다.

2.2.1. 아종[편집]



몬스터 헌터 라이즈 · 선브레이크의 대형 몬스터

[ 라이즈 ]


[ 선브레이크 ]
[[파일:1px 투명.png
width=900&height=1]]|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은작룡
멜-제나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낫게
쇼군기자미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 라이즈 아이콘.png





파일:에스피나스 아종.jpg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라이즈 아이콘.png

위험도
★★★★★★★★★
파일:최소 금왕관 라이즈 아이콘.png최소 금관
1544.62 ~ 1579.73
파일:최대 금관 라이즈 아이콘.png최대 금관
2158.96 ~ 2194.06
서식지
요새고원, 탑의 비경

両雄の争いが

두 영웅의 싸움이

熾烈になるほどに 苛烈になるほどに

격렬해지고 가열될수록

拮抗が崩れ 勝敗が決しようとするとき

균형이 무너져 승패가 결정될 때

その勝ち様 負け様は壮絶を極めよう

그 모습은 장렬함의 극치일 것이니

果たして この争いの勝者はいずれか

과연 어느 쪽이 승리할 것인가

内に秘して高めた力を晒し

은밀히 키워 왔던 힘을 드러내고

渾身の一撃を放つのはいずれになるのか

혼신의 일격을 날리는 것은 어느 쪽인가

激情する邪毒

격정적인 사독

극다룡 에스피나스 아종(棘茶竜 エスピナス亜種

2022년 9월 무료 업데이트 2탄에서 추가됐다. 컷신에서는 탑의 비경에서 테오−테스카토르와 대립하며 차지 브레스를 사용하는 모습을 집중적으로 보여주었다.

TGS 2022에서 실기 플레이를 할 수 있었는데, 차지 브레스 한 방에 인혼조 풀도핑 풀피 검사가 원킬나는 무시무시한 모습을 보여줬다.

전체적인 특징은 브레스의 빈도는 늘어나되,[21] 기교가 줄어들고[22] 원종과 비교해서 육탄전 위주의 전투로 풀어나간다. 이 중에는 고개 휘젓기, 제자리 점프 2회 같이 발 밑에서 비비는 헌터를 저격하는 패턴도 지니고 있다. 특히 차지 어택 패턴의 경우, 헌터를 상대로 이지선다를 건다. 차지 어택의 모션은 프론티어의 그것과 같지만, 이후 행동이 아이스본 시절 벨리오로스처럼 모션은 같으나 파생 행동이 다르다. 숄더 어택/어퍼컷으로 파생되고 거리가 멀어진다 싶으면 브레스/돌진을 시전하니 익숙해지는게 최우선이다.

2.5 패치를 즐겼던 프론티어 유저들의 추억과 기억을 아주 잘 살려주는 패턴으로 무장했으며, 특히 차지 어택의 강력함은 여전히 건재하다. 여기에 한 술 더 떠서 지상 차지 브레스 → 공중 차지 브레스로 연계되는 2연 차지 브레스가 추가되었다. 첫번째는 익숙한 대폭발이라 피하면 되지만 2타 브레스는 공중에서 타겟 잡은 헌터를 향해 쏜다. 데미지는 1타의 대폭발과 비슷하므로 자신없다면 납도하고 냅다 도망가자. 후반부로 가면 극다룡이 아장아장 걸으면서 브레스를 모으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귀여운 모양새에 비해 위력은 웃음기를 싹 가시게 만든다. 무지개 인혼조로 풀체력을 만든 상태에서도 피통을 거의 다 날릴 정도로 강력한 데다 애매하게 버틴다 하더라도 공격을 맞고 날라간 사이 불·독 상태이상에 죽어나가기 일쑤. 거너는 인혼조 풀도핑에 강심 2레벨 개밋둑 거북을 먹었더라도 개밋둑 거북이 뚫림과 동시에 독뎀으로 죽어서 맞을 생각을 하면 안된다. 다행히도 차지브레스 이후 극다룡은 옛날 도스시절 비룡종의 멸기상태 행동인 발 구르고 으르렁대는 모션을 한 번 취하니 최대한 빠르게 정비해야 한다.

에스피나스 아종을 상대할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거리를 벌리지 않는 것. 에스피나스 아종은 거리가 있으면 거의 확정적으로 브레스를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선 일어서서 좌·우·정면을 향해 3연속으로 브레스를 쏘는 패턴을 쓰기도 한다. 이 3연속 브레스는 거리가 벌어져 있으면 피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우니 요주의해야 하는 패턴이다. 또한 브레스는 착탄 후 직선방향 3번의 추가 폭발이 일어나며, 잠시 동안 불+독 장판을 남긴다. 무엇보다고 에스피나스 아종의 브레스는 불속성 상태이상과 독 상태이상은 물론, 방어력 DOWN 상태이상을 부여하므로 에스피나스 아종의 모든 패턴의 피해량을 준 즉사기 급으로 격상시킨다. 따라서 에스피나스 아종을 상대할 땐 거리를 벌리면 안된다.

그럼 근접공격이 문제가 되지 않느냐 싶을 텐데, 에스피나스 아종의 근접공격은 의외로 허점이 많아서 가까이 붙어 있어도 피하기가 쉬운 편이다. 길게 설명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말하자면, 머리로 하는 공격은 꼬리에 있으면 피할 수 있고 꼬리로 하는 공격은 머리에 있으면 피할 수 있다. 한마디로 다리 사이에서 위치만 잘 잡는 것으로 제자리 점프 2회와 제자리 회전 공격 이 2가지를 제외한 모든 근접 공격을 피할 수 있다. 앞서 말한 저 두 공격도 범위가 넓지 않아서 적당히 거리만 벌려주면 손쉽게 피할 수 있다.

그러다가 에스피나스 아종이 차지 브레스를 준비하면, 즉시 납도하고 밧줄벌레 질주로 도망치면 된다. 때문에 에스피나스 아종을 상대할 땐 차지 브레스에서 도망치기 위한 용도로 밧줄벌레 1개를 비상용으로 남겨둬야 한다. 하지만 차지 브레스 중에는 육질이 극단적으로 연해져서 대전중인 나루하타타히메 부위급으로 딜이 잘 들어가므로 회피할 수단이 있다면 노려보는 것도 추천할 만하다.

차지 브레스의 경우 카운터가 가능하긴 하나, 카운터 치는 것은 별로 추천하지 않는다. 카운터에 성공한다 해도 에스피나스 아종은 차지 브레스 이후 즉시 날아오르기에 카운터 공격을 맞아주지 않으며, 카운터에 실패했다간 그 즉시 수레를 타게 된다. 한마디로 카운터 쳐서 얻는 이득보다 위험부담이 너무 크니 카운터는 되도록이면 치지 말자. 하지만 간지는 포기 못하지

추가로 슬래시액스의 경우 절대 속성 해방 찌르기를 사용해선 안된다. 이유는 속해찌 사용 중 에스피나스가 차지 브레스를 준비하면 절대 피할 수가 없기 때문. 즉시 중지해도 긴 후딜+슬래시액스의 긴 납도 시간으로 인해 밧줄벌레 질주로 피할 시간이 나오질 않는다. 그러니 속해찌는 봉인하고 평타+속충카 위주로 싸워야 한다. 다만 속해찌를 주력딜로 사용 하는 매미 슬액이 아니라면 보통 속해찌의 육질무시 대미지를 노리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비분노 상태일때만 사용 할테니, 비분노 상태거나 분노 상태에 막 돌입한 상태라면 사용해도 큰 문제가 없다.

긴급 퀘스트를 클리어하고 나면 요새고원에서 극다룡을 사냥하는 맹우 조사 퀘스트가 추가되며, 일반 필드 중 요새고원에서 논타겟 몬스터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외에 고난이도 퀘스트로 탑의 비경에서 극다룡, 금화룡, 월신룡을 사냥하는 대연속 사냥 퀘스트도 있다.

용 조종 성능의 경우 원종인 에스피나스와 달리 커맨드 차이가 굉장히 크다. 일단 돌진 패턴이 없고 하단 강공격 커맨드가 자세를 잡고 힘을 모은 뒤 내지르는 전신 회전공격인데 패턴의 한 방 뻥딜은 엄청나지만[23] 힘을 모으는 시간이 너무 길어서 선딜에 발이 묶여 몬스터에게 연달아 얻어맞는 참사가 벌어지기도 한다. 브레스도 마비속성이 사라져서 발 묶을 수단이 사라진 것은 덤. 하지만 의외로 약공격 커맨드의 성능이 출중한데 뒤 돌아 꼬리 후려치기 후, 내려찍기 패턴이 반응도 빠른데다 타수도 1회 5타 가량을 공격할 수 있다. 때문에 에스피나스 아종은 이 약공격 커맨드를 최대한 우겨넣는 것이 중요하다. 용 조종 비기의 경우 아종의 필살 패턴인 차지 브레스를 사용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차지 브레스의 뻥딜이 미쳐 돌아간다. 용 조종 비기로 사용하는 차지 브레스는 플레이어에 대미지를 주지 않으니 안심하고 몬스터를 공격 가능하지만 특유의 이펙트 때문에 시야가 가리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할 것.

괴이탐구 퀘스트에 등장하는 괴이화 개체의 경우 안그래도 흉악했던 에스피나스 아종의 화력이 더욱 뻥튀기 되어서 방어력 감소 상태이상이 더욱 뼈아프게 다가오며 차지브레스는 그냥 문자 그대로 즉사기가 되어버렸다. 그럼에도 정작 수렵에 들어가면 차지브레스 쓸 틈도 없이 수시로 다리 대경직과 괴이화 해제 대경직을 유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괴이화 해제시 비분노 상태의 육질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기나 적절한 셋팅을 챙기고, 대경직 유발의 흐름을 이어나갈 수 있는 컨트롤만 있다면 솔플 기준으로는 괴이화 되지 않은 원종이나 아종보다도 훨씬 원활하게 플레이 가능하다. 물론 어그로가 사방으로 튀는 멀티에서는 공방폭사 몹으로 악명을 떨친다.

이벤트 열화습래 퀘스트에서 나오는 개체는 프론티어 때처럼 돌진을 무선딜로 냅다 박아버린다. 또한 돌진과 일반 브레스 발사 속도가 굉장히 빨라졌으며, 체력이 얼마 남지 않으면 더 가속된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차지 브레스인데, 빈도도 늘었지만 범위가 무지막지하게 넓어져서 확실하게 거리를 벌리지 않으면 무조건 맞는 수준이다. 그리고 분노 요구치가 낮아져 매우 쉽게 분노하며, 스태미나 소모로 피로 상태가 되지도 않고, 독 상태이상까지 걸리지 않게 되었다. 심지어 수면 상태가 되면 분노 상태가 풀려 육질이 단단해져 버리고, 차지 브레스 준비 중 함정을 설치하면 차지 모션을 스킵하고 곧바로 차지 브레스를 쏘는데, 이 역시 프론티어 사양으로 회귀한 것.

3. 장비 및 소재[편집]



3.1.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편집]



파일:FrontierGen-Espina_Armor_(Blademaster)_(Front)_Render.jpg


파일:FrontierGen-Espina_Armor_(Gunner)_(Front)_Render.jpg

에스피나FX 검사 방어구
에스피나FX 거너 방어구
에스피나스 소재 무기 로젠 시리즈는 성능도 좋긴 하지만 룩이 좋아서 쓰는 사람도 있다. 방어구는 데빌 메이 크라이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가죽코트가 특징적. 다만 해머는 머리를 잘라서 뒤집어 붙인 듯한 센스가 기묘하다.

아종 극다룡에게서 얻은 소재로 만들 수 있는 무기는 칵토스 시리즈. 로젠 첫단계 무기에서 강화해야한다. 제작 난이도가 상당히 극악하지만 화속성·독속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모든 면에서 흠잡을 데가 없는 당대 최고의 성능을 자랑했다. 단, 대검은 원종의 로젠 시리즈에 비해 조금 떨어진다는 의견도 있다.

거너용으로는 에스피나스 U셋이 뛰어난데 지옥같은 난이도를 자랑한다. 보옥처럼 서너개가 극악으로 안 나오는 게 아니고 두 번 돌아서 한 번은 꼭 나오지만 그 소재가 20번씩 들어가는 마라톤식 지옥이다.


3.2.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편집]


선브레이크 출시 초기 한국어 번역 한정으로 에스피나스의 소재 중 극룡의 농독혈하늘비늘 액상형극룡의 하늘비늘로 오역됐으며[24] 해당 오역은 12.0 버전에 수정됐다.

천린급 소재인 극룡의 하늘비늘은 신속의 숨결 스킬을 띄우는 숨결주 제작에 사용되는데, 신속의 숨결 스킬은 13.0 버전 기준 장식주로만 띄울 수 있는 스킬로 MR 방어구 중 이 스킬이 붙은 방어구가 없으며, 호석과 방어구 괴이 연성에서도 등장하지 않는다.

자체 소재 장비와는 별개로 극룡 포획 사이드 퀘스트와 극룡이 포함된 대연속 사냥 퀘스트를 통해 추가되는 방어구에 프론티어의 요소가 일부 도입되어 프론티어를 잊지 못 하는 헌터들의 향수를 자극한다. 에스피나스 포획 사이드 퀘스트 달성 시 세일러 세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25] 고어-마가라루나가론이 함께 나오는[26] M☆5 대연속 사냥 퀘스트 '상태 이상이 미치는 영향 연구'를 첫 클리어할 시 보상으로 프론티어 굴지의 인기 방어구였던 아줄(アスール) 덧입기 방어구 세트[27]가 주어진다.#1#2#3

  • 무기
[ 무기별 외형 펼치기 · 접기 ]
파일:에스피나스 무기 선브레이크 1.png
대검 / 태도
파일:에스피나스 무기 선브레이크 2.png
한손검 / 쌍검
파일:에스피나스 무기 선브레이크 3.png
해머 / 수렵피리
파일:에스피나스 무기 선브레이크 4.png
랜스 / 건랜스
파일:에스피나스 무기 선브레이크 5.png
슬래시액스 / 차지액스
파일:에스피나스 무기 선브레이크 6.png
조충곤 / 활
파일:에스피나스 무기 선브레이크 7.png
라이트보우건 / 헤비보우건

검사 무기의 경우 화룡 혹은 자화룡 파생에서 갈라지며 불, 독 속성 중 하나가 배정되었다. 쌍검의 경우 옛날처럼 복합속성을 보유했다. 화룡 파생과 비교하면 속성/상태이상치가 낮은 대신 회심이 20% 가량 붙어 있는 게 특징. 또한 프론티어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차지액스조충곤이 새로 추가되었다.

보우건은 독탄, 마비탄, 관통화염탄을 지원한다. 헤비보우건은 주력 탄종이 전부 이동 사격, 이동 장전이 불가능해서 써먹기 어려운 반면, 라이트보우건은 LV2 산탄의 이동 사격과 속사를 지원해 산탄 속사용 라보로 쓸 수 있다.

무기의 최종 강화형 이름은 맨 앞 수식어로 '로젠'이 붙으며 그 뒤는 대부분의 무기가 독일어 이름을 가진다. 이전 강화 단계에서의 이름은 보통 최종 강화형과 관련된 이름이 붙거나 무기 종류와 관련된 이름이 붙는다.

[ 무기별 이름 펼치기 · 접기 ]
무기
무기 이름
이름의 뜻
대검
로젠크래프트
독일어로 힘
태도
로젠힘멜
독일어로 하늘, 창공
한손검
로젠게다이헨
독일어로 번영, 성공
쌍검
로젠에어가이츠
독일어로 공명심, 야심
해머
로젠운베터
독일어로 악천후, 폭풍우
수렵피리
로젠젤레
독일어로 영혼, 정신
랜스
로젠베기르데
독일어로 욕망, 탐욕
건랜스
로젠헤를리히
독일어로 훌륭한, 남자다운
슬래시액스
로젠프리온
그리스어로 톱
차지액스
로젠에모레지아
그리스어로 출혈
조충곤
로젠슈프링겐
독일어로 도약
라이트보우건
로젠지겐
독일어로 승리하다
헤비보우건
로젠프리마
독일어로 뛰어난, 멋진

로젠지헬
독일어로 낫, 초승달


  • 방어구
파일:에스피나 선브레이크.png
에스피나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
슬롯
580
15
-5
10
-15
-10
파일:4레벨 슬롯 아이콘.png×3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1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2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2
스킬
마비속성 강화 3/3 | 파괴왕 3/3 | 공세 3/3 | 칼날 연마 3/3 | 속사 강화 1/3 | 도전자 2/5 | 움찔 감소 2/3 | 독속성 강화 3/3}}}
디자인은 프론티어의 디자인 중 상의는 검사 디자인을, 하의는 거너 디자인을 약간 리파인한 채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방어구는 독, 마비, 속성 상태이상 중인 몬스터에게 공격을 맞힐 때 공격력과 회심률이 상승하는 신스킬 '공세'가 달려 있다. 공세 스킬 자체는 포텐이 있어 평가가 좋으나, 그 외에 붙은 스킬이 미묘해서 평가가 박하다.

  • 동반자 장비
파일:에스피동반자 선브레이크.png
아이루와 가루크는 특촬 히어로를 연상케하는 장비들을 수령했다. 특히 가루크 머리장비는 유격 교관하면 떠오르는 그 스포츠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있다.


3.2.1. 아종[편집]


아종 소재 중 극다룡의 진한 중산은 공세주 제작 소재로 사용된다.

  • 무기
[ 무기별 외형 펼치기 · 접기 ]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무기 선브레이크 1.png
대검 / 태도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무기 선브레이크 2.png
한손검 / 쌍검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무기 선브레이크 3.png
해머 / 수렵피리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무기 선브레이크 4.png
랜스 / 건랜스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무기 선브레이크 5.png
슬래시액스 / 차지액스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무기 선브레이크 6.png
조충곤 / 활
파일:에스피나스 아종 무기 선브레이크 7.png
라이트보우건 / 헤비보우건

아종 무기는 원종 파생에서 갈라지며, 소재를 모아 강화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생산할 수 있다. 직생산 시 극다룡의 하늘비늘이 1개 들어가며 원종 파생을 통해 강화할 경우 들어가지 않는다.

검사 무기는 낮은 깡데미지와 짧은 보예리에 높은 불속성치, 15~20%정도의 회심률, 4-1-1-백룡 3레벨의 장식주 슬롯을 가지고 있다. 특이사항으로 독속성이 표기되어 있진 않으나, 독속성이 잠재되어 있다. 설명에 일정 확률로 독을 건다는 문구로 알 수 있다. 무기별 독속성 수치 해당 독속성은 괴이 강화만 불가능할 뿐 관련 스킬은 전부 적용받을 수 있다. 거너 무기 3종(, 라이트보우건, 헤비보우건)은 단독으로 상태이상을 지원하지 않고 상태이상 병/탄종을 사용해 따로 공격해야 상태이상 축적이 가능하기에 이 컨셉이 지켜지지 않고 평범한 무기로 나왔다.

수렵피리 칵투스젤레는 공격력 UP / 예리도 지속 회복 / 풍압 무효 선율을 달고 나와 좀 더 딜 측면의 서포팅이 가능해졌으나 공업을 달고 나온 영향인지 다른 무기들이 공격력 300대일 때 혼자 280이다.

보우건은 화염탄 특화이며 4-0-0-백룡 3레벨의 장식주 슬롯을 갖고 있다. 라이트보우건은 화염탄 기본 5발 장전에 이동 사격, 속사 지원하며 Lv1~2 독탄을 5발 장전한다. 안타깝게도 화염탄 장탄수가 단 한 발 모자란데다가 기존의 비천구수 파생이 딱히 공격력이 약한 것도 아니라서 종결 자리를 빼앗지는 못했다. 헤비보우건은 관통화염탄 기본 4발 장전에 이동 사격, 이동 리로드를 지원한다.

무기 이름은 맨 앞 수식어로 '칵투스' (영어로도 Kaktus)가 붙으며 그 뒤는 원종의 무기 이름과 같다. 영어로 선인장을 뜻하는 cactus를 한 번 꼰 것이다.

  • 방어구
파일:에스피나Z 선브레이크.png
에스피나Z
파일:방어력 월드 아이콘.png
파일:화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수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뇌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빙속성 월드 아이콘.png
파일:용속성 월드 아이콘.png
슬롯
610
15
-20
-5
10
-15
파일:4레벨 슬롯 아이콘.png×3 파일:3레벨 슬롯 아이콘.png×1 파일:2레벨 슬롯 아이콘.png×4 파일:1레벨 슬롯 아이콘.png×3
스킬
공격 6/7 | 명검 3/3 | 탄환 절약 3/3 | 차지 마스터 3/3 | 런너 3/3 | 강심 2/2 | 연격 3/3}}}
아종 방어구에 붙은 신규 스킬 '강심'은 대형 몬스터를 공격해 강심 게이지[28]를 모두 채우면 1회에 한하여 대미지 리액션을 무효화하고 피격 대미지를 줄여주는 효과를 부여한다. 날리기 판정의 공격 자체를 씹는게 가능한 스킬이라서 검사와 거너 모두 채용한다면 유용하게 써먹는 것이 가능하다. 2레벨 시 받는 대미지 감소율이 더 증가하며 강심 발동 시 추가로 폭발이 일어나 몬스터에게 적은 대미지를 준다. 1레벨만 사용해도 좋은 스킬인데, 마침 팔 방어구가 42슬롯+강심 1, 공격 1, 명검/탄환 절약 2라는 굉장히 좋은 성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

검사의 경우 태도는 벚꽃 철충 기인베기가 게이지를 많이 채워주고 납도 상태일 때 맞으면 모든 게이지가 날아가버리는 하이리스크 기술인 위합을 사용할 때 한 대 버틸 수 있어 위합 태도에게 잘 맞는다. 이외에도 차지액스가 초고출력의 후딜을 강심으로 버티는 것이 가능하다. 거너는 한 방에 죽을 수도 있는 공격을 받더라도 적은 체력 소모로 끝내주기 때문에 채용한다면 효과를 보기가 매우 좋다.

원종 방어구와는 소소한 외형 차이가 있는데, 원종 방어구에는 가시 덩굴 무늬가 있지만 아종 방어구에는 불꽃 무늬가 있다.


4. 기타[편집]


  • 처음 업데이트 예고 때는 "또 비룡종이냐!"라고 기존 유저들의 원성을 들었으나 실제로 업데이트 된 후엔 기존에 없던 특이한 패턴으로 호평을 받은 몬스터다.

  • '프론티어 팀이 완전히 독자적으로 제작한 몬스터'라고 세간에 알려진 것과 달리 에스피나스의 초기 디자인은 넘버링 개발팀이 관여하였다.[29][30] 다만 본격적인 개발은 프론티어 팀이 독자적으로 한 것이 맞으며, 프론티어 공식에서도 에스피나스를 최초의 오리지널 몬스터로 친다.[31] 이후에 나온 아크라 바심부터는 아예 초기 디자인부터 프론티어 팀이 담당했다. 사족으로 히프노크볼가노스는 넘버링 팀과의 공동제작이다.[32]

  • 프론티어의 서브 프로듀서였던 스나노 겐키[33]가 MHF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에스피나스의 선브레이크 참전을 축하하기도 했다.(링크)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된 트윗을 쓴 이후 거의 11개월 만에 작성된 트윗이기도 한데, 에스피나스가 프론티어에 있어서 얼마나 의미 있는 존재인지 알려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 의외일 수 있는데 프론티어 오리지널 몬스터 중에서 유일하게 천린이 존재하며 그마저도 선브레이크에서 추가된 것이다. 프론티어의 레어 소재 포지션은 HC소재와 갈무리 희소 소재가 담당했기 때문.

  • 몬스터 헌터 시리즈 20주년 기념 총선거에서 46위를 차지했다. 에스피나스에게 있어 본가에 합류한 뒤 처음으로 참전한 기념비적인 총선거다. 재미있게도 라이벌이라고 할 수 있는 크샬다오라는 그 바로 아래인 47위를 차지했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5:22:49에 나무위키 에스피나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일러스트의 포즈는 MHF 애니버서리 2010 프리미엄 패키지 피규어의 자세와 동일하다.#[2] 스페인어가시라는 뜻 이다.[3] 가시 (棘). 가시는 훈독해서 '이바라류'라고 읽는다.[4] 고룡종이자 같은 프론티어 출신인 루코디오라의 별명은 한자가 다를 뿐 한국어 발음상 발음이 같다.[5]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에서 수해 지역 처완 퀘스트 BGM으로 사용되었다.[6]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에서.[7] MHF-G 오리지널 몬스터 소개 무비에서 에스피나스를 최초로 등장한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의 오리지널 몬스터라고 언급했다. 아무래도 먼저 나온 히프노크볼가노스는 프론티어 팀이 본가 팀과 공동 개발한 몬스터라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8] 몬스터 헌터 라이즈: 선브레이크에서 이러한 설정을 반영하여 에스피나스가 먹이를 사냥할 때는 날개를 펼친 채로 쭈구리고 있다가 먹이감이 나타나면 잡아먹는 식으로 구현됐다. 먹이는 독가스 두꺼비와 칸타로스.[9] 수면 기믹과 달리 비분노 기믹은 메인 시리즈에 등장하지는 않는다. 다만 비분노시 육질이 처참하게 딱딱하다는 건 동일.[10](茶). 찻빛 극룡. 원종 에스피나스의 색깔이 녹차 짙은 녹색이라면 아종은 말린 홍찻잎의 색깔을 띈다. 극룡은 훈독으로 이바라류라고 읽지만 극다룡은 음독으로 '쿄쿠사류'라고 읽는다.[11] 검은 (黑), 뚫을 (穿).[12] 한국어와 영어 한정으로 해당 PV의 부제가 '뉴 프런티어'로, 일부러 노리고 부제를 달았다는 반응이 많다.[13] PV 공개 직전 로딩 이미지로 유출이 되기도 했는데 프론티어 오리지널 몬스터라 거의 믿지 않는, 믿기 힘들다는 반응이다가 PV 직전 올라온 카운트다운 일러스트에서 에스피나스와 비슷한 식물이 그려져 있고 피오레네가 잠을 자고 있어 에스피나스 떡밥이 아니냐는 추측이 돌았고 이는 진짜였던 걸로 밝혀졌다.[14] 일본 트위터 트렌드 1위에 에스피나스가 올랐으며 나무위키에서도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15] 반대로 같은 비룡종 몬스터인 티가렉스아이스본부터 입술이 없어졌다.[16] 리오레우스의 포효, 라기아크루스의 바다와 땅의 공진 등 필드 범용 BGM이 OST에서 실질적으로 몬스터의 테마곡 취급을 받는 경우는 있지만 실제 인게임에서 몬스터 전용 BGM으로 배정받은 것은 에스피나스가 최초다.[17] 티가렉스와 동일한 드리프트 돌진이지만 보이스 경고 패턴이다. 싱글이든 멀티든 수레를 부르는 주범.[18] 이걸 완벽히 대비하고 싶다면 마랭 ☆5에 나오는 테오 소재의 카이저 셋에 마비내성 3을 세팅해서 입고 가는 수 밖에 없다. 다행히 돌격 위주의 패턴을 구사하는 특성상 브레스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19] 따발총으로 11발 가량을 마구 쏘던 얀가루루가와 다르게 3~4발 정도이며 그나마도 앞으로 구르면 피하기 쉽다.[20] 이정도로 공방이 터지기 쉬운 몹은 마랭 한정으로 해도 샤가르마가라, 멜-제나, 테오, 라잔격앙 라잔, 발파루크 정도인데 이녀석들은 전부 마랭 ☆5 이상에서나 나온다. 에스피나스가 별 4개짜리인 걸 감안하면 공방 터뜨리기 정말 좋은 몹인게 체감될 것이다.[21] 돌진이나 근접 패턴 사용 후 헌터를 정확히 노리고 브레스를 발사한다.[22] 얀가루루가식 따발총 브레스와 레우스식 백점프 브레스가 사라졌다. 대신 브레스 자체는 분노상태의 삼단 브레스는 브레스 자체가 착탄지점에서 수직으로 세 번 연속 폭발한다. 첫번째 탄을 가드하거나 피격시 두번째 폭발부터는 일어나지 않는다.[23] 일단 맞추기만 하면 한 방에 1500가량의 뻥딜을 때려박으며, 즉시 용 조종 비기 사용상태에 돌입한다.[24] 이것 외에도 나르가쿠르가 MR 소재인 '신룡의 호흑모'가 '신룡의 검은털+'로 번역되고, 비슈텐고 MR 소재인 '천구수의 호화깃털'이 '천구수의 깃털+'로 오역되는 등 일부 소재 및 장비명에 오역이 많았다.관련 글[25] 세일러 세트 자체는 트라이 G에서 처음 나왔으나, 남성용 디자인은 2016년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G10 업데이트로 첫 선을 보인 것이 선브레이크에서 역수입되었다.[26] 에스피나스는 프론티어의 첫 오리지널 몬스터고 고어 마가라 역시 프론티어와 꽤 연관 돼있는 것과 달리, 뜬금 없이 선브레이크에서 추가된 몬스터인 루나가론이 있는데 프론티어에서 나오는 아수종 몬스터인 올가론을 의식했다는 의견도 있는 편이다. 루나가론과 올가론 둘 다 얼음을 사용하는 늑대형 몬스터라는 공통점도 있다. 다만 올가론은 아수종이고 루나가론은 아룡종이라는 차이가 있긴 하다.[27] 당시 한게임의 번역명은 아슬이었다. 거너셋의 파격적인 노출도로 유명했으며, 이는 몬헌의 에로책 4편 메인 캐릭터로 발탁될 정도였다. 이 파격적인 노출도 때문인지 외려 썬브레이크에선 검사셋으로 수입되었다. 아캄 형님과 키린 남작을 꿈꾸던 신사들이 이를 알게 되자 탄식했다고... 선브에는 아캄토름도 키린도 안 나와서 아줄도 검사셋을 줬다[28] 게이지는 체력바 바로 위에 파란색으로 표시된다.[29] 몬스터 헌터 프론티어 온라인 5th Anniversary Book[30] 관련 글[31] 관련 글[32] 그래서 몬헌 10주년, 15주년 기념 사이트에서도 히프노크볼가노스의 첫 데뷔작은 MHP2G로 명기되어 있다.[33] 몬스터 헌터 라이즈 PC 포팅의 프로듀싱을 담당했고 선브레이크의 PC 프로듀싱 또한 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