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바니아 노동당

덤프버전 :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펼치기 · 접기 ]
이론과 분파
기본 이론
마르크스주의 · 카우츠키주의(정통 마르크스주의)
분파
레닌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무정부 공산주의 · 자율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유럽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스페인 공산당 파일:스페인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아프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아메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해체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자당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국가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 · ·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 · · · · · · · · ·
★: 연립정부의 구성원으로 집권한 국가
붕괴된 국가
· · · · · · · · · · · · · · · · · · · ·
상징·표어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2

파일:스탈린_투명.png
마르크스-레닌주의 · {{{-2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마오쩌둥 사상




파일:partyoflabouralbania.jpg
알바니아 노동당
Partia e Punës e Shqipërisë
창당일
1941년 11월 8일
해산일
1991년 6월 13일
제1서기
엔베르 호자 (1941~1985)
라미즈 알리아 (1985~1991)
이념
공산주의
반수정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
호자주의
마오주의[1]
기관지
인민의 소리(Zëri i Popullit)
본부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 티라나
1. 개요
2. 역사
2.1. 중국과의 관계
3. 국제 교류
4.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을 통치했던 정당이다. 1941년 11월 8일 알바니아 공산당(Partia Komuniste e Shqipërisë, PKSh)이란 이름으로 창당했고, 1948년에 알바니아 노동당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1991년 해산 이후 알바니아 사회당과 알바니아 공산당이 그 뒤를 이었다.

2. 역사[편집]


1920년대에 알바니아는 공산당이 없는 유일한 발칸 국가였다. 최초의 알바니아 공산주의자들은 알바니아의 성직자이자 정치가인 판 노리의 추종자들이었다. 모스크바에 도착한 그들은 국가혁명위원회를 구성하고 코민테른에 가입했다. 그리고 1928년 8월 소련에서 최초의 알바니아 공산당이 창당되었다. 그러나 1941년까지 알바니아에는 통일된 조직이 존재하지 않았다.

1941년 6월 독일의 소련 공격 이후 코민테른의 지시에 따라 유고슬라비아 지도자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두 명의 유고슬라비아 대표단인 밀라딘 포포비치와 두산 무고사를 알바니아로 보냈다. 집중적인 작업 끝에 1941년 11월 8일 엔베르 호자를 지도자로 하는 알바니아 공산당이 결성되었다.

엔베르 호자가 이끄는 빨치산 게릴라는 1939년 이탈리아의 침공에 맞서 싸웠고, 1943년 이후 알바니아를 점령한 나치 독일에 맞서 싸웠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1944년 11월 29일 독일 점령군을 몰아냈다. 조구 1세는 왕정이 공식적으로 폐지되지 않았지만 알바니아로의 귀환이 금지되었다. 이후 1945년 개최 된 제헌 의회 선거에서 93.7%의 득표율을 얻으며 공식적으로 집권하게 된다.

1947년 7월 스탈린은 당명을 "알바니아 노동당"으로 개명할 것을 제안했다. 호자는 이 제안을 수락한다.

2.1. 중국과의 관계[편집]


파일:호자저우언라이.jpg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운동에 반발한 호자는 60년대 중국과 친하게 지내기 시작한다. 1964년 1월 9일 티라나를 방문한 저우언라이는 "1964년 중국-알바니아 공동성명"에 서명한다. 1966년 호자는 공개 연설에서 "동지 여러분, 전 세계적으로 어떤 일이 닥치더라도 우리 두 당과 두 국가는 분명히 함께 남을 것입니다. 그들은 함께 싸우고 함께 이길 것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중국과의 관계는 1971년 7월 15일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이 저우언라이를 만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하기로 합의 하면서 악화되기 시작했다. 호자는 이에 배신감을 느꼈고 알바니아 노동당 중앙위원회는 8월 6일 닉슨을 "광란한 반공주의자"라고 부르는 서한을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에 보냈다.

중국 공산당을 자매당이자 가장 가까운 동료로 생각하면서 우리는 한 번도 자신의 견해를 숨긴 적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당신이 우리에게 제시한 이 중대한 문제에 대해, 우리는 베이징에서 닉슨을 수용하기로 한 귀하의 결정이 부정확하고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이를 승인하거나 지지하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닉슨의 발표된 중국 방문은 여러 나라의 인민, 혁명가, 공산주의자들이 이해하거나 승인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자 1971년 중국 지도부는 "경제 발전에 대한 중국의 추가 기여에 대한 기대를 억제"하라는 경고를 보낸다.

그러자 호자는 자신의 일기 <중국의 반영>에 이렇게 기록한다.

중국은 마르크스-레닌주의가 이끄는 정책을 따르지 않고 있다. 그 정책은 견실한 기반이 아닌 우정, 동맹, 실용적인 관계를 통해 국제 무대에서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하려고 하는 강대국의 정책과 일치하고 있으며, 더욱 그럴 것이다.


알바니아는 더 이상 그들과 '충실하고 특별한 친구'가 아니다. 비록 경제적 협정을 유지하고 있지만, 그들의 '초기의 열정'이 죽은 것은 너무나 명백하다.


이에 1973년 중국과 알바니아의 무역은 1년 전의 1억 6,700만 달러에서 1억 3,600만 달러로 크게 감소한다.

중국이 호자와 40년대 후반 이후 시아가 나빠진 유고슬라비아의 지도자 티토와 친하게 지내기 시작하고 아예 77년에는 중국으로 티토를 초청하자 호자는 더욱 분노하여 중국이 이제 소련, 유고슬라비아와 유사한 수정주의 국가이며, 알바니아는 지구상에서 유일한 마르크스-레닌주의 국가라고 선언했다. 그리고 78년 중국과의 관계는 완전 단절된다.

그리고 78년 호자는 앞서 언급된 <제국주의와 혁명>을 발간하고 마오쩌둥과 덩샤오핑 둘 다 반마르크스주의자이자 수정주의자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한다.

우리 언론에서 마오쩌둥은 위대한 마르크스-레닌주의자로 묘사되었지만, 우리는 마오쩌둥을 마르크스-레닌주의의 고전으로, "마오쩌둥 사상"을 세 번째 이상으로 묘사한 중국 선전의 정의를 사용하거나 승인한 적이 없다. 우리 당은 중국에서 마오쩌둥 숭배의 팽창을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양립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했다.


닉슨이 중국에 초청되고 마오쩌둥을 우두머리로 하는 중국 지도부가 미제국주의와의 화해와 통일 정책을 선포했을 때, 중국의 노선과 정책이 마르크스-레닌주의와 프롤레타리아트 국제주의에 전적으로 반대한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이에 따라 중국의 우월주의와 패권적 야망이 더욱 분명해지기 시작했다. 중국 지도부는 인민, 세계 프롤레타리아트, 진정한 마르크스-레닌주의 운동의 혁명과 해방 투쟁을 보다 공개적으로 반대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중국을 집권하고 있는 화궈펑(华国锋)과 덩샤오핑(邓小平) 수정주의 집단은 반동적 정책과 활동의 이론적 토대이자 사상적 기반을 "마오쩌둥 사상"으로 삼고 있다.


3. 국제 교류[편집]


마오쩌둥주의를 거부하는 일부 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은 확고한 호자의 입장에 동조하며 서로 교류하기도 하였다. 현재는 대부분 호자주의를 버린 상태.
  • 덴마크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프랑스 노동자공산당
  • 독일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자들
  • 영국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영국 혁명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아이슬란드 공산주의 운동 ML
  • 아일랜드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이탈리아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포르투갈 공산당(재건)
  • 스페인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
  • 베냉 공산당
  • 캐나다 공산당(마르크스-레닌주의)[2]

4. 선거 결과[편집]


1945년부터 1987년까지 총선에서 100%의 표를 받았다.
연도
의석수
비율
순위
1991년
169 / 250
56.17%
1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2:59:12에 나무위키 알바니아 노동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확히는 1971년 이후 알바니아와 중국 간의 관계가 악화되기 시작하고, 78년부터 공개적으로 마오쩌둥주의를 반대한다. 호자는 마오쩌둥이 닉슨과 교류하는 것을 배신으로 보았다. 호자가 쓴 <제국주의와 혁명>에서 호자는 마오쩌둥 사상을 반마르크스주의라고 비판하였다.#[2] 캐나다 공산당에서 창작한 알바니아 사회주의 찬양 노래도 있다. 유튜브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