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이 참가하는 국제 천문학 경시대회(IOAA)에 대한 내용은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문서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번 문단을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시아-태평양 지역 과학 올림피아드

[ 펼치기 · 접기 ]
형식·자연과학
[[아시아태평양수학올림피아드|]]
[[아시아물리올림피아드|]]
[[아시아태평양정보올림피아드|]]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파일:APAO.gif
]]
수학
물리학

천문학
인문·사회과학
[[아시아 태평양 언어학 올림피아드|

파일:APLO.png
]]
[[국제역사퀴즈대회|]]
언어학
역사학

국제 올림피아드 목록 / 국내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천문학
Astronomy


[ 펼치기 · 접기 ]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천체역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21cm 중성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모의실험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
우주 달력 · 우주배경복사(악의 축) · 재이온화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 록맨홀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 · 천문학 관련 정보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아시아-太平洋 天文올림피아드
Asian-Pacific Astronomy Olympiad (APAO)
파일:APAO.gif
운영
올림피아드 운영위원회 (Olympic Coordinating Council, OCC)[1]
설립
2005년
분야
천문학, 천체물리학, 천체관측
대상
α부(주니어): 개최연도에서 15를 뺀 연도 1월 1일 이후, 개최연도에서 14를 뺀 연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2]
β부(시니어): 개최연도에서 18을 뺀 연도 1월 1일 이후, 개최연도에서 16을 뺀 연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3]
일시
매년 8~12월
관련 대회
국제천문올림피아드(IAO)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IOAA)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e-경시대회(GeCAA)
국제원격천문올림피아드(IRAO)
한국천문올림피아드(KAO)
미국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USAAAO)
미국천문올림피아드(USNAO)
영국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BAAO)
캐나다천문올림피아드(CAO)
싱가포르천문올림피아드(SAO)
인도천문올림피아드(INAO)
방글라데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BDOAA)
스리랑카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SLAAO)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국제지구과학올림피아드(IESO)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KESO)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2. 참가국
3. 학습 범위 및 예시 문제
4. 국가대표 선발
4.1. 대한민국
5. 진행
6. 형식
7. 비판 및 위기
8. 역대 대회
8.1. 대한민국 참가 기록
9. 공부 방법
10. 관련 도서 및 기출문제
11. 여담
12.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에서 열린 2017년 제13회 APAO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Asian-Pacific Astronomy Olympiad, APAO)아시아-태평양 지역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05년부터 매년 열리는 천문학, 천체물리학, 천체관측 분야 경시대회이다. 러시아에 있는 단체인 유럽-아시아 천문학회(Euro-Asian Astronomical Society, EAAS) 산하의 올림피아드 운영위원회(Olympic Coordinating Council, OCC)가 주관한다. 2018년 기준 4개국 5개 팀에서 온 36명 학생이 참가했다.

전세계 학생들 대상으로 매년 9~11월에 열리는 국제천문올림피아드(International Astronomy Olympiad, IAO)도 같은 단체가 개최하기 때문에 문제 출제 방식이나 진행 방식이 거의 같다. 하지만 APAO가 IAO의 예선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며, 별개의 대회다. IAO의 규모는 대략 APAO의 2배 정도로, 2019년 기준 19개국 20개 팀에서 온 99명(주니어부 52명, 시니어부 47명) 학생이 참가했다.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International Olympiad 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IOAA)나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e-경시대회(Global e-Competition 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GeCAA)과는 같은 분야를 다루지만 별개의 대회다. IOAA는 IAO에 반발한 국가들이 2007년부터 개최한 경쟁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이며, GeCAA는 코로나19로 인해 취소된 2020 IOAA를 대신해 열린 온라인 경시대회다. 2019년 기준 46개국 53개 팀에서 온 254명 학생이 참가했다. 이 두 대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문서 참고.

대한민국은 2002년 제7회 IAO, 2005년 제1회 APAO부터 참가했으며, 2009년 제5회 APAO(담양군), 2012년 제17회 IAO(광주광역시), 2016년 제12회 APAO(고흥군)가 한국에서 열렸다. 그러나 2019년부터는 참가하고 있지 않다. 자세한 것은 국제천문올림피아드#비판 및 위기 문서 참고.

다른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와 같이 각 올림피아드 홈페이지에 영어러시아어로 된 기출문제 및 풀이가 업로드 돼 있다. 또 국가 대표 자격이 주어진 학생에 한해서 KAO 홈페이지에서 국역본을 열람할 수 있다. 관련 도서 및 기출문제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문단 참고.

개최지의 경우 해당 국가 대표팀 외에 지역팀도 IAO, APAO에 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라남도 고흥군에서 열린 2016 APAO에 한국 국가 대표팀과 별개로 고흥 지역 대표팀이 참가했다.


2. 참가국[편집]


대부분 국가 차원으로 선발되나, 학생이 직접 팀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개최지역 팀도 참가 권한이 있다. 2009년 담양군에서 열린 제5회 APAO에 참가한 전라남도 지역팀, 2016년 고흥군에서 열린 제12회 APAO에 참가한 고흥군 지역팀이 그 예.[예외]

2019년 참가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 [[중국|{{{#!wiki style="vertical-align: sub; 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카자흐스탄|{{{#!wiki style="vertical-align: sub; 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5)"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이란|{{{#!wiki style="vertical-align: sub; 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5)"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러시아|{{{#!wiki style="vertical-align: sub; display: inline-flex; width: 24px; padding: 1px; background: rgba(45,47,52,.25)"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시아 지역 러시아[4]


3. 학습 범위 및 예시 문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천문올림피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국천문올림피아드와 같으므로 해당 문서에 모아서 서술한다.


4. 국가대표 선발[편집]


참가 학생(즉 국가대표)은 각국의 국내 올림피아드로 선발한다.


4.1. 대한민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천문올림피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과학 올림피아드'''


[ 펼치기 · 접기 ]
형식과학
한국수학올림피아드]] · [[한국정보올림피아드|
한국정보올림피아드]]
자연과학
파일:kps_logo.jpg
한국물리올림피아드]] · [[한국화학올림피아드|
한국화학올림피아드]] ·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
한국청소년물리토너먼트]](1) · [[한국생물올림피아드|
한국생물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한국중등과학올림피아드]] ·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파일:KESO_logo.png
한국지구과학올림피아드]]
사회과학
파일:대한지리학회 로고.svg
전국지리올림피아드]] · [[한국경제올림피아드|
한국경제올림피아드]]
인문학
파일:KPO.png
한국철학올림피아드]](2) · [[한국 언어학 올림피아드|
파일:KLO.png
한국언어학올림피아드]](3)
(1) 타 올림피아드와 성격이 다르지만 국제청소년물리토너먼트 대표단도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대표단 발대식에 초청 받으므로 포함
(2) 국제철학올림피아드 국내 예선과 주최는 같지만 별개의 대회임
(3) 사회과학이나 형식과학에도 속함


국제 올림피아드 목록 / 아시아-태평양 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물리올림피아드 목록 / 국가별 지리올림피아드 목록





불가리아 팜포로보에서 열린 2016년 제21회 IAO 대표팀
대한민국 국가대표는 한국천문올림피아드(Korea Astronomy Olympiad, KAO)를 통해 선발했다. 1차, 2차를 통과한 뒤 가을주말교육 평가시험(관측+이론), 가을통신과제(이론), 겨울학교 평가시험(관측+이론), 국가대표 후보 최종선발시험(이론) 점수를 합산해 점수 차등별로 IAO/IRAO-IOAA/GeCAA 순으로 선발했다. 2018년까지는 APAO에도 참가했으나 2019년부터 참가하지 않는다.

IAO는 참가비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과학창의재단을 통해 지원해줬고, IOAA와 APAO는 각자 부담이었다. 참가비에 항공료까지 더하면 부담이 좀 크다... 이는 APAO 생길때는 국가에서 돈 안줘서 참가 안하려고 했다가 IAO가 KAO 선발과정에서 낸 문제가 너무 쉬웠다고 참가 가능 인원을 줄이는덕에 여름학교까지 같이한 I대회 대비인원이 줄어들면서 울며 겨자먹기로 참가 시작한 경우라 그렇다. 그후 스리슬쩍 IOAA 추가. 이 때문에 6월 말쯤 국립중앙과학관에서 하는 국제 과학 올림피아드 한국 국가대표단 발대식이나 IAO 대회 이후에 있는 청와대 만찬은 IAO 대표만 참석 가능하다. 그런데 2018년에는 대통령과의 만찬이나 시계 따위가 없었다.


5. 진행[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제천문올림피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국제천문올림피아드와 같으므로 해당 문서에 모아서 서술한다.


6. 형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제천문올림피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국제천문올림피아드와 같으므로 해당 문서에 모아서 서술한다.


7. 비판 및 위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제천문올림피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국제천문올림피아드와 같으므로 해당 문서에 모아서 서술한다.


8. 역대 대회[편집]


대한민국에서 대회가 열릴 때마다 참가국 수가 늘어나는 것 보면 대한민국이 역대 개최국 중에서 가장 대외 이미지가 좋은 듯하다. 그러나 2019년 이후로는 주요 참가국 중 하나인 대한민국이 참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파일:APAO.gif 역대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회차
개최년도
일정
개최국
개최지
참가국 수[5]
(학생 수)
대한민국 순위
수상 내역
I
2005
12.5 ~ 12.10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이르쿠츠크
5개국 (48명)
4위
금1, 동1
II
2006
12.4 ~ 12.1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6개국 (46명)
1위[6]
금3, 은1, 동2
III
2007
11.21 ~ 11.29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샤먼
4개국 (39명)
1위
금4, 은1, 동1
IV
2008
11.16 ~ 11.23
[[키르기스스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6개국 (40명)
1위
금3, 은4, 동1
V
2009
10.7 ~ 10.14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담양
9개국 (60명)
1위[전남]
금3, 은4, 동1[전남]
VI
2010
11.24 ~ 12.5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인도네시아
톨리카라
8개국 (44명)
1위
금3, 은2
VII
2011
11.7 ~ 11.16
[[카자흐스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카자흐스탄
아크토베
6개국 (46명)
1위
금3, 은2, 동2
VIII
2012
11.25 ~ 12.4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방글라데시
콕스바자르
6개국 (38명)
1위[7]
금2, 은2, 동3
IX
2013
11.23 ~ 12.2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인도네시아
토모혼
6개국 (48명)
2위
금2, 은5, 동1
X
2014
11.24 ~ 12.2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이르쿠츠크
5개국 (47명)
2위
금3, 은3, 동1
XI
2015
11.13 ~ 11.22
[[방글라데시|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방글라데시
다카
4개국 (20명)
미참가[8]
-
XII
2016
11.17 ~ 11.25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고흥
7개국 (51명)
3위[고흥]
은5, 동3
XIII
2017
11.22 ~ 11.29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
노보시비르스크
4개국 (35명)
2위
금1, 은2, 동3
XIV
2018
11.24 ~ 12.2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리장
4개국 (36명)
2위
은2, 동5
XV
2019
12.15 ~ 12.23
[[이란|

파일:이란 국기.svg
]] 이란
테헤란
3개국
미참가[9]
-


8.1. 대한민국 참가 기록[편집]


참가
14회
1위
7회
2위
4회
3위
1회
최고 순위
1위
최근 순위
2위


9. 공부 방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천문올림피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국천문올림피아드와 같으므로 해당 문서에 모아서 서술한다.


10. 관련 도서 및 기출문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한국천문올림피아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국천문올림피아드와 같으므로 해당 문서에 모아서 서술한다.


11. 여담[편집]


  • 대한민국 참가생들은 보통 아파오라고 부른다.
  • 가브릴로프 박사의 사랑(...) 덕분인지 IAO와 APAO는 로고나 문제에 다양한 종의 곰이 자주 등장한다. 이론 시험에 구면천문학/위치천문학 문제가 나오면 십중팔구 관측자가 북극곰이다. 본인에게 곰이 왜 좋냐고 묻자 (1) 모국인 러시아 온곳에 널린게 곰이고 (2) 모든 별자리가 작은곰자리 주변을 돌기 때문에라고...[10] 무려 이론 시험 답안 작성 시 북극곰 천문학자를 가장 잘 그린 학생에 대해 공식적으로 시상을 할 정도이다. 참고로 2015 IAO, 2017 APAO 북극곰상을 한국에서 타왔다.


12. 같이 보기[편집]


[1] 유럽-아시아 천문학회 (Euro-Asian Astronomical Society, EAAS) 산하.[2] 보통 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1학년. 이전 IAO나 APAO 참가 경험이 없어야 한다.[3] 처음 참가하는 학생 기준. APAO의 경우 이전 IAO, APAO 참가 휫수 1회 당 상한선이 1세씩 줄어든다. 보통 고등학교 1~3학년. 단 고등학교 3학년은 아무리 어려도 무조건 시니어다.[예외] 2019년에는 개최지역 팀이 참가하지 않았다.[4] 러시아 영토 중 우랄 산맥 동쪽 지역을 가리킨다. 즉 시베리아러시아 극동.[5] 참관국, 지역팀 제외[6] 대한민국이 최초로 1위를 달성한 대회이다.[전남] A B 전라남도 지역팀 5위 (은1, 동4)[7] 대한민국이 6연속 우승을 달성한 대회이다.[8] 테러 위협으로 참가하지 않음[고흥] 고흥군 지역팀 8위[9] 유류 인상 시위로 인해 참가하지 않음[10] 의외로 가장 좋아하는 동물은 고양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IAO에 고양이도 가끔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1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6;"
, 6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1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6;"
, 6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14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1:44:22에 나무위키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