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파르트산

덤프버전 :

유기화합물 - 카복실산

[ 펼치기 · 접기 ]
지방산
포화지방산
탄소 개수로 표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2 · 24 · 26 · 28 · 30 · 31 · 32 · 33 · 34 · 35 · 36
불포화지방산
cis-3:1ω1 cis-14:1ω5 cis-16:1ω7 cis-16:1ω10 trans-18:1ω7 cis-18:1ω9 trans-18:1ω9 cis-18:2ω6 trans-18:2ω6 cis-18:3ω3 cis-18:1ω6 cis-20:1ω7 cis-20:5ω3 cis-22:1ω9 cis-22:6ω3
아미노산
주요 아미노산
글루타민 · 글루탐산 · 글리신 · 라이신 · 류신 · 메티오닌 · 발린 · 세린 · 시스테인 · 아르기닌 · 아스파라긴 · 아스파르트산 · 알라닌 · 이소류신 · 트레오닌 · 트립토판 · 티로신 · 페닐알라닌 · 프롤린 · 히스티딘
기타 아미노산
감마아미노부탄산 · 셀레노메티오닌 · 셀레노시스테인 · 시트룰린 · 오르니틴 · 카르니틴 · 테아닌 · 피롤라이신 · 아스파탐
기타
구연산 · 글루카르산 · 글루콘산 · 글루크론산 · 글리세린산 · 나이아신 · 나프록센 · 레불린산 · 말레산 · 말론산 · 말산 · 벤조산 · 살리실산 · 아디프산 · 아세토아세트산 · 알다르산 · 알돈산 · 앱시스산 · 옥살산 · 우론산 · 이부프로펜 · 이소시트르산 · 점액산 · 젖산 · 크실론산 · 타타르산 · 탄산 · 판토텐산 · 피루브산 · 감마수산화부탄산 · 수산화시트르산 · 디클로페낙



파일:aspartic acid.png
Aspartic Acid (Asp, D)
Asparaginsäure

아미노산의 하나.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아스파트산이 표준어이지만, 아스파르트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영양학 쪽에서는 주로 아스파라진산 또는 아스파라긴산이라고 부른다.[1] 여타의 아미노산과 같이 L형과 D형이 존재하며 성질이 약간 다르다.
L-아스파르트산은 단백질 합성 및 암모니아 해독에 사용되지만, D-아스파르트산은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지 않고 호르몬을 만들고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2]

아스파트르산은 생체 내에서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에 쓰이는데, α-케토글루타르산/글루탐산의 관계와 같이 transamination을 통해 옥살로아세트산과 짝지어지는 반응이 많다.[3] 대표적으로 세포질의 해당과정에서 발생한 NADH를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전달하는 말산-아스파르트산 셔틀이 있다.

콩나물이 대표적인 함유 식품이며 특유의 시원한 맛을 낸다.

숙취 해소에 좋다는 이야기가 퍼져있으나 콩나물에는 아스파라진산이 완전 건조 상태로 88.2mg/100g 정도 함유되어 있을 뿐이다. 콩나물의 대부분이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감안한다면 한끼 식사로 콩나물만 왕창 먹는다 쳐도 실제 먹는 아스파라진산은 얼마 되지 않는다.[4] 오히려 콩나물보다 단백질 함유량이 높은 이나 육류에 아스파라진산이 많다고 할 수 있다. 한마디로 우리가 먹는 식품엔 매우 흔한 아미노산 중 하나라는 것이다.
아스파라거스에는 콩나물의 50배에 해당하는 아스파라긴산이 있어서 숙취해소 효과는 더 크다.[5]
하지만, 상대적으로 함량이 적다고 해도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콩나물국이 도움이 안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6]

또한 아스파라진산은 숙취해소 보다는 간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 성분이다. 아스파라진산은 알콜 독성에 대한 간 보호작용이 없으며 오히려 아르기닌(C6H14N4O2)이 효과가 있다. 콩나물에는 아르기닌도 들어있기 때문에 콩나물이 숙취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7]

자연계에도 존재하는 MSG에 대해 위험성이 높은 것마냥 보도하는 언론에 의해 좋지 않은 선입견이 뿌리박힌 것과는 반대로 콩나물의 아스파라진산에 대한 잘못된 보도가 판을 치고 있다.

-5 
||<tablealign=center> [[코돈]] ||<-4> → 두 번째 염기 || ||
||↓ 첫 번째 염기(5' 말단) ||<width=67> U ||<width=67> C ||<width=67> A ||<width=67> G ||↓ 세 번째 염기 ||
|| U ||UUU [[페닐알라닌|Phe]][br]UUC [[페닐알라닌|Phe]][br]UUA [[류신|Leu]][br]UUG [[류신|Leu]] ||UCU [[세린|Ser]][br]UCC [[세린|Ser]][br]UCA [[세린|Ser]][br]UCG [[세린|Ser]] ||UAU [[타이로신|Tyr]][br]UAC [[타이로신|Tyr]][br]__UAA__ [[종결 코돈|Stop]][br]__UAG__ [[종결 코돈|Stop]] ||UGU [[시스테인|Cys]][br]UGC [[시스테인|Cys]][br]__UGA__ [[종결 코돈|Stop]][br]UGG [[트립토판|Trp]] || U[br]C[br]A[br]G ||
|| C ||CUU [[류신|Leu]][br]CUC [[류신|Leu]][br]CUA [[류신|Leu]][br]CUG [[류신|Leu]] ||CCU [[프롤린|Pro]][br]CCC [[프롤린|Pro]][br]CCA [[프롤린|Pro]][br]CCG [[프롤린|Pro]] ||CAU [[히스티딘|His]][br]CAC [[히스티딘|His]][br]CAA [[글루타민|Gln]][br]CAG [[글루타민|Gln]] ||CGU [[아르지닌|Arg]][br]CGC [[아르지닌|Arg]][br]CGA [[아르지닌|Arg]][br]CGG [[아르지닌|Arg]] || U[br]C[br]A[br]G ||
|| A ||AUU [[아이소류신|Ile]][br]AUC [[아이소류신|Ile]][br]AUA [[아이소류신|Ile]][br]__AUG__ [[메싸이오닌|Met]] ||ACU [[트레오닌|Thr]][br]ACC [[트레오닌|Thr]][br]ACA [[트레오닌|Thr]][br]ACG [[트레오닌|Thr]] ||AAU [[아스파라진|Asn]][br]AAC [[아스파라진|Asn]][br]AAA [[라이신|Lys]][br]AAG [[라이신|Lys]] ||AGU [[세린|Ser]][br]AGC [[세린|Ser]][br]AGA [[아르지닌|Arg]][br]AGG [[아르지닌|Arg]] || U[br]C[br]A[br]G ||
|| G ||GUU [[발린|Val]][br]GUC [[발린|Val]][br]GUA [[발린|Val]][br]GUG [[발린|Val]] ||GCU [[알라닌|Ala]][br]GCC [[알라닌|Ala]][br]GCA [[알라닌|Ala]][br]GCG [[알라닌|Ala]] ||GAU [[아스파트산|Asp]][br]GAC [[아스파트산|Asp]][br]GAA [[글루탐산|Glu]][br]GAG [[글루탐산|Glu]] ||GGU [[글라이신|Gly]][br]GGC [[글라이신|Gly]][br]GGA [[글라이신|Gly]][br]GGG [[글라이신|Gly]] || U[br]C[br]A[br]G ||

[1] 독일어-일본어 명칭[2] 대표적으로 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테론, 옥시토신, 성장호르몬, 프로락틴, 황체 형성 호르몬(LH) 등이 있다.[3] 따라서 실제 생체 내부에서 아스파르트산의 대사과정은 TCA회로의 옥살로아세트산으로 직접 들어가는 과정을 포함한다.[4] 한국키틴키토산학회 키토산 처리 콩나물의 당과 아미노산 함량 2003년 논문[5] http://www.f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76[6] http://realfoods.co.kr/view.php?ud=2019121300008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대한 모과 추출물의 보호효과 2006년 논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3:32:17에 나무위키 아스파르트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