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도모코

덤프버전 :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

[ 펼치기 · 접기 ]
최고결정기구
양원의원 총회장
아베 도모코
대의사회 회장
고미야마 야스코
중앙당 지도부
대표
이즈미 겐타
대표대행
오사카 세이지
부대표 (참)
모리 유코
부대표 (중)
겐바 고이치로
나가츠마 아키라
하라구치 가즈히로
쓰지모토 기요미
당무집행기구
간사장
니시무라 지나미
간사장 대행
와타나베 슈
간사장 대리
기쿠타 마키코
아오키 아이
테즈카 요시오
부간사장
시게토쿠 가즈히코
아리타 요시후
정무조사회
정무조사회장
오가와 준야
정무조사회장 대행
가와우치 히로시
정무조사회장 대리
오카모토 미쓰노리 | 데라타 마나부 | 오니시 겐스케
참의원 정책심의회장
도쿠나가 에리
참의원 정책심의회장 대리
이시바시 미치히로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국회조직
국회대책위원장
마부치 스미오
국회대책위원장 대행
다케우치 노리오
구로이와 다카히로
오쿠노 소이치로
히로타 하지메
요시카와 하지메
참의원 의원회장
미즈오카 슌이지
참의원 의원회장 대행
마키야마 히로에
참의원 간사장
모리 유코
참의원 국회대책위원장
난바 쇼지
고문단
최고고문
간 나오토
노다 요시히코
상임고문
오카다 가쓰야
군지 아키라
가이에다 반리
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
역대 당대표



아베 도모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shuugiin_logo.png 일본 중의원 (가나가와 12구)
제46~47대
호시노 쓰요시

제48~49대
아베 도모코


현직





일본국 제42-49대 중의원 의원
아베 도모코
阿部知子 | Tomoko Abe

파일:아베 토모코.jpg}}}
출생
1948년 4월 24일 (75세)
도쿄도 메구로구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학력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 (졸업)
도쿄대학 의학부 (의학 / 학사)
직업
정치인, 의사
정당


파벌
생추어리
의원 선수
8 (중)
의원 대수
42, 43, 44, 45, 46, 47, 48[1],49
지역구
가나가와 12구
약력
이나다노보리토 병원 소아과 전문의
국립소아병원 의사
도쿄대학 의학부 부속병원 소아과 전문의
치바 토쿠슈카이병원 원장
미나미칸토 권역 비례대표 중의원
사회민주당 정책심의회장
일본 미래당 대표
일본 미래당 간사장
녹색바람 대표 대행
가나가와현 제12구 중의원

1. 개요
2. 생애 및 정치 활동
3. 소속 정당
4. 선거 이력
5. 기타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일본의사, 정치인. 일본 미래당 대표 등을 역임 했으며, 가나가와현 제12구 중의원을 역임 중이다. 당적은 입헌민주당.


2. 생애 및 정치 활동[편집]


1948년 도쿄도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몸이 약해서 유치원을 다니지 않았다. 오차노미즈여자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와 도쿄대학 의학부를 졸업했다.

졸업 후 여러 병원에서 소아과 전문의로 근무했으며, 치바 토쿠슈카이병원에서 병원장을 역임한 적이 있다. 의사로 근무하면서 1995년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평화 시민이라는 군소 정당에 출마했으나 낙선, 1998년 사회민주당에 입당해 제18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그러다가 2000년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사회민주당의 공천과 가나가와현 의사회의 지원을 받아 가나가와현 제12구에 출마했지만, 자민당, 민주당 등의 후보들에게 밀려 4위를 기록한다. 하지만 비례대표도 중복 입후보 했기 때문에 지역구에서 4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석패율제 구제로 당선되어 원내에 진출했다.

이후에도 꾸준히 가나가와현 제12구에 출마하지만 1위를 차지하지는 못하고 계속 석패율제 구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당선된다. 그렇게 석패율제 구제로 비례대표로만 6선을 기록하는 흠좀무한 기록을 세운다. 한국에서도 비례대표로만 당선되어 이른바 ‘비례대표 전문가’라고 불리는 김종인도 아베 도모코보다 낮은 선수인 5선인 것을 보면 실로 놀라운 기록이다. 게다가 징검다리 건너듯 원내 경력에 공백기가 있는 김종인과 달리 아베 도모코는 연속으로 당선되었다. 사실상 석패율제의 최대 수혜자이자 진짜 비례대표 전문가인 셈이다.

아무튼 그렇게 중의원을 계속 역임하면서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활동하다가 2012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후쿠시마 미즈호 당시 대표와의 갈등으로 인해 사회민주당을 탈당해 일본 미래당 창당에 참여하고 당 부대표 등을 역임했다. 그리고 그 와중에 치른 총선거에서도 석패율제 구제로 당선되었다. 총선거 이후 가다 유키코 대표가 오자와 이치로 간의 갈등으로 사임하자 뒤를 이어 일본 미래당 대표로 취임한다. 2013년 녹색바람에 합류해 녹색바람의 대표 대행을 맡는다. 하지만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녹색바람 소속 후보자들이 모두 낙선해 정당 요건을 상실하였으며, 결국 2013년 12월 31일 녹색바람이 해산되었다.

녹색바람 해산 이후 아베 도모코는 무소속으로 활동하다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가나가와현 제12구에 출마하나 이번에도 지역구 당선에는 실패하고 석패율제 구제로 당선된다. 이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당시에는 희망의 당에 합류하려고 했으나 그 유명한 고이케 유리코의 리버럴 성향 의원 배제 발언으로 합류가 불발되고, 입헌민주당에 입당한다.

입당 후 입헌민주당의 공천을 받아 가나가와현 제12구에 출마해 접전 끝에 1위로 당선되면서 정치 인생 처음으로 지역구 당선에 성공했다. 중의원 첫 당선 기준 17년 만에, 참의원 선거 첫 출마 22년 만에 처음으로 지역구에서 당선된 것이다. 만약 배제당하지 않고 희망의 당으로 출마했다면, 지역구는 커녕 석패율제 구제도 장담할 수 없었을 것이다

4년 뒤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지역구 재선에 성공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논란 당시 한국 야당 의원들과 함께 일본 정부에 해양 방류 계획을 재검토하도록 촉구했으나, 자당 소속으로부터 구두로 주의를 줬다.#

3.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평화 시민
1995 - 1998
정계 입문


1998 - 2012
입당

[[무소속|
무소속
]]

2012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2012 - 2013
입당


(
)
2013
입당

[[무소속|
무소속
]]

2013 - 2014
정당 해산


2014 - 2016
입당


2016 - 2017
당명 변경

[[무소속|
무소속
]]

2017
입헌민주당 합류를 위한 탈당


2017 - 2020
창당


2020 -
합당[2]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98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가나가와현


298,244 (8.36%)
낙선 (6위)

2000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가나가와 12
36,276 (18.79%)
낙선 (4위)
당선 (석패율제)
초선
200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6,954 (14.01%)
낙선 (3위)
당선 (석패율제)
재선
2005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35,133 (15.14%)
3선
2009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47,538 (19.73%)
4선
2012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50,976 (23.63%)
낙선 (2위)
당선 (석패율제)
5선
2014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2,612 (42.08%)
6선
2017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86,550 (43.20%)
당선 (1위)
7선[3]
2021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95,013 (42.43%)
당선 (1위)
8선

5. 기타[편집]


  • 2010년 8월 경, 한일합병 100년째를 맞아 식민 지배 과정에서 피해를 입은 한국인과 그 후손들에 대한 일본 정부의 충분한 보상을 촉구하는 목적으로 한국 국회의원들과의 모임을 주도한 적이 있다.
  • 2013년 4월 25일에 실시된 고교 무상화 제도에 조선학교 무상화를 찬성했다(...) 당시 마타이치 세이지, 요시카와 하지메, 요시다 다다토모 의원 등이 주장에 찬성했다고 한다.
  • 사할린 한인 문제 해결을 주도한 적이 있다. 2011년 당시 황우여 의원을 비롯한 한국 국회의원들과 관련 문제에 대한 협의회를 개최한 적이 있다.
  • 중의원 당선 이후에도 비상근으로 의사 일을 한다고 한다.
  • 그리고 성씨가 아베일 뿐이지 아베 신조 총리와는 관련없다. 성씨의 한자도 아베 총리와는 다르다. 대표적으로 배우 아베 히로시가 그녀와 같은 성씨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
입헌민주당
제49대 중의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코 에미
가마타 사유리
가미야 히로시
가이에다 반리
간 나오토
겐마 겐타로
겐바 고이치로
고미야마 야스코
고야마 노부히로
고즈 다케시
고토 유이치
곤도 가즈야
곤도 쇼이치
기이 다카시
기쿠타 마키코
나가츠마 아키라
나카가와 마사하루
나카무라 기시로
나카지마 가쓰히토
나카타니 가즈마
노다 요시히코
노마 다케시
니시무라 지나미
다지마 가나메
데라타 마나부
데즈카 요시오
도쿠나가 히사시
류 히로후미
마부치 스미오
마쓰바라 진
마쓰키 겐코
마키 요시오
모리야마 히로유키
모리타 도시카즈
미도리카와 다카시
미치시타 다이키
바바 유키
반노 유타카
시라이시 요이치
사카모토 유노스케
사쿠라이 슈
사토 고지
스에마쓰 요시노리
스에쓰구 세이이치
스즈키 요스케
시게토쿠 가즈히코
시나 다케시
시노하라 고
시노하라 다카시
시모조 미쓰
쓰쓰미 가나메
아라이 유타카
아베 도모코
아오야기 요이치로
아오야마 야마토
아즈미 준
야마기시 잇세이
야마노이 가즈노리
야마다 가쓰히코
야마오카 다쓰마루
야마자키 마코토
야타가와 하지메
에다 겐지
에다노 유키오
오가와 준야
오카와라 마사코
오구마 신지
오구시 히로시
오니시 겐스케
오사카 세이지
오시마 아쓰시
오쓰키 구레하
오자와 이치로
오치아이 다카유키
오카다 가쓰야
오카모토 아키코
오쿠노 소이치로
와세다 유키
와타나베 소
와타나베 슈
요네야마 류이치
요시다 쓰네히코
요시다 하루미
요시카와 하지메
우메타니 마모루
유노키 미치요시
유하라 슌지
이나토미 슈지
이사카 노부히코
이시카와 가오리
이즈미 겐타
이토 슌스케
하라구치 가즈히로
혼조 사토시
후지오카 다카오
후쿠다 아키오
후토리 히데시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
입헌민주당
제48대 중의원 의원

[ 펼치기 · 접기 ]
※ 소속 정당과 국회 내 소속 회파(会派)는 다를 수 있음
가네코 에미
가메이 아키코
가미야 히로시
가와우치 히로시
가이에다 반리
간 나오토
겐마 겐타로
겐바 고이치로
고미야마 야스코
고토 유이치
곤도 쇼이치
곤도 카즈야
구로이와 다카히로
기이 다카시
기쿠타 마키코
나가오 히데키
나가츠마 아키라
나카가와 마사하루
나카무라 기시로
나카지마 가즈히토
나카타니 카즈마
노다 요시히코
니시무라 지나미
다지마 가나메
다카기 렌타로
다케우치 노리오
데라타 마나부
데즈카 요시오
류 히로후미
마부치 스미오
마쓰다 이사오
마쓰다이라 고이치
마쓰바라 진
마쓰오 아키히로
마쓰키 겐코
마키 요시오
모리야마 히로유키
모리타 도시카즈
무라카미 후미요시
미도리카와 다카시
미야카와 신
미치시타 다이키
사사키 다카히로
사이키 다케시
사쿠라이 슈
사토 고지
세키 겐이치로
스에마쓰 요시노리
시게토쿠 가즈히코
시나 다케시
시노하라 고
시노하라 다카시
시라이시 요우이치
시모죠 미쓰
아라이 사토시
아베 도모코
아오야기 요이치로
아오야마 야마토
아즈미 준
아카마츠 히로타카
아쿠쓰 유키히코
야가미 마사요시
야라 도모히로
야마노이 가즈노리
야마모토 와카코
야마오카 다쓰마루
야마우치 고이치
야마자키 마코토
야마카와 유리코
야마하나 이쿠오
야타가와 하지메
에다 켄지
에다노 유키오
오가와 준야
오구마 신지
오구시 히로시
오사카 세이지
오시마 아쓰시
오니시 겐스케
오자와 이치로
오쓰지 가나코
오치아이 다카유키
오카다 가쓰야
오카모토 미쓰노리
오카모토 아키코
오카와라 마사코
오카지마 가즈마사
오쿠노 소이치로
와세다 유키
와타나베 슈
요시다 쓰네히코
야타가와 하지메
요코미쓰 가쓰히코
우후카타 유키오
유노키 미치요시
이나토미 슈지
이마이 마사토
이시카와 가오리
이즈미 겐타
이케다 마키
이토 슌스케
하라구치 가즈히로
하세가와 가이치
호리코시 게닌
후쿠다 아키오
히라노 히로후미
히로타 하지메
히요시 유타
쓰무라 게이스케
쓰지모토 기요미












[1] 첫 지역구 당선. 이전의 42~47대까지는 석패율 비례대표로 구제되어 당선되었다.[2] 국민민주당과 신설 합당[3] 첫 중의원에 당선된지 17년만에 처음으로 지역구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