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받이(영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씨받이 문서
씨받이번 문단을
씨받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임권택 감독 장편 연출 작품
,(1980년 이후 제작),



{{{#FFFFFF
[ 펼치기 · 접기 ]
파일:짝코.png
파일:복부인임권택.png
파일:만다라.png
짝코 (1980)
복부인 (1980)
만다라 (1981)
파일:우상의눈물.png
파일:아벤고공수군단.png
파일:안개마을.png
우상의 눈물 (1981)
아벤고 공수군단 (1982)
안개마을 (1982)
파일:오염된자식들.png
파일:나비품에서울었다.png
파일:불의딸.png
오염된 자식들 (1982)
나비품에서 울었다 (1983)
불의 딸 (1983)
파일:흐르는강물을어찌막으랴.png
파일:길소뜸.png
파일:티켓(임권택).png
흐르는 강물을 어찌 막으랴 (1984)
길소뜸 (1985)
티켓 (1986)
파일:씨받이.png
파일:연산일기.png
파일:아다다.png
씨받이 (1986)
연산일기 (1987)
아다다 (1987)
파일:아제아제바라아제.png
파일:장군의아들.png
파일:장군의아들2.png
아제 아제 바라아제 (1989)
장군의 아들 (1990)
장군의 아들 2 (1991)
파일:개벽.png
파일:장군의아들3.png
파일:서편제.png
개벽 (1991)
장군의 아들 3 (1992)
서편제 (1993)
파일:태백산맥(임권택).png
파일:축제(임권택).png
파일:노는계집창.png
태백산맥 (1994)
축제 (1996)
(노는계집 창) (1997)
파일:춘향뎐.png
파일:취화선(임권택).png
파일:하류인생.png
춘향뎐 (2000)
취화선 (2002)
하류인생 (2004)
파일:천년학.png
파일:달빛길어올리기.png
파일:화장(임권택).png
천년학 (2006)
달빛 길어올리기 (2010)
화장 (2014)
상세정보 링크 열기
1980년 이전 제작



씨받이 (1986)
The Surrogate Womb

파일:씨받이(영화) 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감독
임권택
각본
송길한
제작
정도환
주연
강수연, 이구순, 윤영하, 김형자
촬영
구중모
음악
신병하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한영화(주)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년 3월 21일
화면비
VV1.85:1
상영 시간
95분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1]

1. 개요
2. 시놉시스
3. 단평



1. 개요[편집]


영화감독 임권택과 영화배우 강수연, 이구순 주연의 한국 영화. 1986년 제작되었으며 신한필름에서 제작 및 배급을 담당하였다.

명문가에 씨받이로 들어간 옥녀가 처지를 망각한 채 주인집 아들에게 연정을 품었다가, 예정된 대로 아들을 출산한 뒤 쫓겨나고 끝내는 아들이 있는 마을로 돌아와 자살하는 비운을 그리고 있다.

반인륜적인 소재를 그렸기 때문에 사회 문제가 될 만도 하였지만 현대가 아닌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하였다. 하지만 해당 기록이 실제 역사가 아닌 야사와 소설을 주로 다룬 '이규태 코너' 정도에서만 나오는데, 이규태는 자신이 어디선가 들은 혹은 들었다고 주장하는 이야기를 조선시대에 당연히 존재했던 관습인 것처럼 언급한 사례가 아주 많다. 씨받이도 다른 기록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정말로 존재했던 관습으로 보는 입장은 별로 없다. 대를 이을 아이가 없는 일반적인 양반가의 경우라면 정식으로 첩을 들이기도 하지만 보통은 친척 소생의 조카를 양자로 들인다. 애초에 한 번만 생각해봐도 유교 사상에서 집안의 대를 이을 후계자를 낳은[2] 여자가 아무런 힘도 없이 쫓겨난다는 건 오히려 말이 안 되는 이야기다.

당시 사회에서도 논란이 되었던 영화인지라 한때 일부 장면이 삭제 및 수정되었다가 나중에 나온 VCD 등에서는 무삭제판으로 나오기도 하였다.

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배우 강수연은 이 영화를 계기로 1987년 제44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아시아 배우 최초로 볼피컵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영광을 누렸다.


2. 시놉시스[편집]


조선시대 대갓집 종손 신상규와 그의 부인인 윤씨와의 사이에 손이 없자 상규의 조모와 숙부 신치호는 필녀의 딸 옥녀를 씨받이로 간택하여 집안으로 들인다. 합방하는 날, 옥녀를 대면한 상규는 옥녀의 빼어난 용모에 반하고 부인 윤씨는 옥녀를 투기한다. 옥녀가 자신의 처지를 망각하고 상규를 진실로 사랑하게 되자 필녀는 옥녀를 타이르나 옥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옥녀가 아들을 낳자 그 아이는 곧 윤씨의 품에 안기고, 아기의 얼굴도 못 본 옥녀는 떠나야만 했다. 결국 1년 뒤 옥녀는 자신의 한 많은 생을 죽음으로써 마치고 패륜에 항거한다. 강수연의 베니스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작.


3. 단평[편집]


이 이야기는 한국 영화에서 수없이 만들어진 양반과 ‘쌍것’ 사이의 넘나들 수 없는 사랑 이야기이다. 임권택의 관심은 거기에 있지 않다. 〈씨받이〉는 한쪽에서 하나의 의식처럼 합궁이 어떤 감정도 지니지 않은 채 진행되는 반면, 다른 한쪽에선 죽은 자가 산 자를 지배하고 산 자가 죽은 자를 떠받드는 제사라는 의례 절차가 지극정성을 다해 벌어진다. 임권택은 그 둘이 사실은 하나이며, 그렇게 죽음과 삶이 서로 연결된 한국인의 내세관을 떠받치는 유교가 생활 속에서 어떻게 집행되는지를 병풍처럼 펼쳐 보인다. 이 의례에는 어떤 양보도 없고, 어떤 타협도 없다. 해야 하기 때문에 그걸 행한다. 의무예속의 세계. 잔인함은 기품이 있으며, 무자비한 과정은 우아하고, 도리의 위계질서는 엄격하게 지켜진다.

그런데 사람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동방예의지국. 그 고요한 아침의 나라. 〈씨받이〉는 몸서리칠 만큼 잔인하고 아름답게 찍힌 ‘한국’ 영화이다. 같은 말을 반복하겠다. 한국은 몸서리칠 만큼 잔인하고 아름다운 나라이다. 그걸 〈씨받이〉에서 보게 될 것이다.

정성일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2:07:42에 나무위키 씨받이(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기준으로 연소자관람불가.[2] 사극에서도 왕가에서 후처나 후궁이 원자를 생산하면 기존의 정실을 제치고 단숨에 왕가의 실권을 거머쥐게 된다. 장희빈이 그래서 그렇게 설칠 수 있었던것. 그래서 사극에서 후궁이 아들을 낳으면 여러가지로 시끄러운것이다. 물론 정실인 중전이 원자를 낳은 이후면 상관 없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