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수(독립운동가)

덤프버전 : r



파일:신용수(독립운동가).jpg


자문(子文)
본관
거창 신씨[1]
출생
1888년 10월 28일
전라도 흥덕현 이서면 사천리
(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사천리)[2]
사망
1951년 6월 29일
전라북도 고창군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123호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1. 개요
2. 생애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신용수는 1888년 10월 28일 전라도 흥덕현 이서면(현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사천리에서 아버지 신희범(愼喜範, 1867 ~ 1947. 2. 20)과 어머니 의성 김씨(? ~ ?. 8. 14) 김용재(金龍載)의 딸 사이의 5남 3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일제에 의해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된 후 1906년 최익현이 전라북도 정읍군 태인면 무성서원에서 의병을 일으킬 때 부친 신희범을 따라 어린 나이로 입진하였다.

1908년 2월 박도경 의병장이 남포군(藍浦郡)에서 의병을 일으키자 재차 입진하여 왜군과 싸워 많은 전과를 거두었다.

1919년 3월 1일에는 고창군에서 독립만세 시위에 참여했다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30일간 옥고를 치렀다. 한편, 같은 해 중국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국내 독립운동에 대한 감독 및 군자금 모집 등을 위하여 전주 지방에 전북독립운동감독부를 설치하고 노진룡을 감독에, 오의균(吳毅均)을 부감독에 임명할 때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이후 민족의식 고취 등에 진력하다가 8.15 광복을 맞았으며, 1951년 6월 29일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별세하였다.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당초 고향인 고창군 흥덕면 사천리에 안장되었다가 2016년 9월 8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5묘역에 이장되었다.

3. 여담[편집]


친일반민족행위자 신용욱은 6촌 동생이다.파일:신용욱 신용수 촌수결과 1.png파일:신용욱 신용수 촌수결과 2.png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5 02:56:45에 나무위키 신용수(독립운동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의공파 32세 용(鏞) 항렬.[2] 거창 신씨 집성촌이다. 신용남·신용욱 전 국회의원도 이 마을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