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계림로 보검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보물
634호

635호

636호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경주 계림로 보검
도기 서수형 명기


파일:external/www.cha.go.kr/1621316.jpg

慶州 鷄林路 寶劍

1. 개요
2. 특징
3. 보물 제635호
4. 기타
5.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문화재청 공식 유튜브

유럽 혹은 중동 지역에서 만들어진 5~6세기 신라시대의 . 보물 제635호. 문화재청이 정한 정식 명칭은 '경주 계림로 보검'이지만 초창기 언론과 TV 보도 탓에 '신라 황금보검'이라는 이름으로 많이 알려졌다. 철제 칼날과 나무 칼집은 150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삭아서 거의 없어졌지만, 황금, 가넷, 마노 등으로 만들어진 보석 장식부는 온전히 남았다. 전체 길이 36.8 cm, 최대 너비(폭) 9.05 cm. #

1973년 이름대로 미추왕릉 인근 계림로 도로 공사 현장에서 우연히 유물들이 발견되면서 발굴 조사를 실시했을 때 적석목곽묘인 계림로 14호분에서 출토되었다. 지금은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다. 경주박물관 전시실에 터치 스크린이 설치되어 현미경 수준으로 보석과 세부 장식들을 확대하여 볼 수 있다.


2. 특징[편집]



파일:황금보검.jpg


복원한 모습을 가정한 복제품. 칼집과 손잡이 부위는 목재고, 칼날은 평범한 단검(短劍) 날 형태이다.

삼국시대의 흔한 환두대도와 그 형태와 문양이 판이하게 다른데, 한반도동아시아가 아닌 서역에서 제작한 검이 확실해서 주목을 받았다. 검을 장식한 보석은 동유럽 원산 석류석이고, 소용돌이 문양 또한 불가리아에서 출토된 트라키아 시대 유물과 흡사했다.

일본의 고대 유리(琉璃) 전문가 요시미즈 쓰네오(由水常雄, 1936~)는 계림로의 황금보검을 제작한 금 세공 기술자는 로마 문화에 정통한 사람이고, 주문자는 켈트족 출신 트라키아 왕이라고 보았다. 함께 출토된 사자 머리 버클은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5세기까지 동로마 제국에서 쓰이던 형식이라는 것이다. 이 버클은 원래 황금보검을 차기 위해 허리띠에 달았으리라 추정한다.링크


파일:Jail-Jewel-sword_2.jpg


카자흐스탄 보로보에(Burabay) 지역에서 비슷하게 생긴 단검의 일부가 발견되어 현재 러시아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 중이고,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쿠처에 있는 키질 석굴 제69굴 입구 천장의 벽화에도 디자인이 거의 비슷한 단검이 그려져 있다. 이 두 지역은 보검이 제작되었다고 추정하는 동유럽권과 신라의 중간, 실크로드 선상에 있기 때문에 보검의 유입 경로를 한층 입증하였다. 그래서 단정 지을 순 없지만 이 물건이 중앙아시아유목민 문화와 관련 있지 않느냐고 추측하는 이들도 있다.

다만 이는 신라를 유목민 문화와 연관 짓는 것이 아니라, 유물 제작 지역이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문화권과 연관되었다고 보는 것이다. 학술적으로도 유목민 문화와 한민족 문화 간 상관관계보다는 당대 육상, 해상 실크로드에 초점을 맞추어 신라 또한 실크로드 교역로에 포함되었음을 보여주는 한 가지 증거로 여긴다.

대릉원 황남대총 남분과 북분 및 신라왕릉에서 출토된 유리로 제작된 국보 제193호 유리봉수병(琉璃鳳首甁), 보물 제624호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등과 함께 신라가 삼국통일 이전부터 일찍이 실크로드 혹은 아라비아 상인들의 바닷길을 통해 머나먼 서역과도 주기적으로 교역하였음을 알 수 있는 유물이다. 시기적으로 차이는 있지만 6세기 이후부터 괘릉이나 흥덕왕릉 등에 있는 호인상들, 이란에 전해지는 쿠시나메 전설 등은 서역과 신라 간 접촉이 짧게 단편적으로 이루어졌다거나 단순히 유물만 왔다갔다하는 수준이 아님을 방증하기도 한다.

만약 이 보물이 서양에서 제작된 것이라고 확정된다면 현재 대한민국이 지정한 보물 중에서는 904호 고대 그리스 청동 투구[1] 이래 두 번째로 서양에서 제작한 보물이 될 것이며, 외국에서 제작한 보물로서는 4번째가 된다.


3. 보물 제635호[편집]


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은 경주 황남동에 있는 미추왕릉 지구에서 발견된 길이 36㎝의 칼이다. 1973년 계림로 공사 때 노출된 유물의 하나로, 철제 칼집과 칼은 썩어 없어져 버리고 금으로 된 장식만이 남아 있다. 시신의 허리 부분에서 발견되었는데, 자루의 끝부분이 골무형으로 되어 있고 가운데 붉은 마노를 박았다. 칼집에 해당되는 부분 위쪽에 납작한 판에는 태극무늬 같은 둥근무늬를 넣었다.

삼국시대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고리자루칼(환두대도)과 그 형태와 문양이 다른데, 이러한 형태의 단검은 유럽에서 중동지방에 걸쳐 발견될 뿐 동양에서는 발견되는 일이 없어, 동·서양 문화교류의 한 단면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 경주 계림로 보검 (慶州 鷄林路 寶劍)



4. 기타[편집]


  • 해당 보검이 발견된 계림로 14호 무덤의 주인은 유골을 분석한 결과 두 명의 신라 왕족 남성이다.



5. 외부 링크[편집]


[1] 손기정 옹이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1위로 결승선을 통과하고 받은 부상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신라 황금보검 문서의 r1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신라 황금보검 문서의 r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00:33:11에 나무위키 경주 계림로 보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