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모이드

덤프버전 :




'''해석학 · 미적분학
Analysis · Calculus'''

[ 펼치기 · 접기 ]
기본 이론
함수
합성 · 항등원 · 역원 · 멱함수( 비례·반비례 ) · 초등함수( 대수함수 · 초월함수) · 특수함수 · 범함수 · 다변수 ( 동차 · 숨은 함수( 다가 함수 )) · 그래프 · 대칭 · 증감표 · 극값 · 연속 · 매끄러움 · 계단형 · 미끄럼틀형 · 볼록/오목 · 닮은꼴 함수 · 병리적 함수
극한
부정형 · 유계( 콤팩트성 ) · 어림 · 근방 · 수열의 극한 · 엡실론-델타 논법 · 수렴 ( 균등수렴 ) · 발산 · 점근선 · 무한대 · 무한소 · 스털링 근사 · FEM
수열
규칙과 대응 · 단조 수렴 정리 · 급수(멱급수) · 테일러 급수 ( 일람 ) · 조화급수 · 그란디 급수 · 망원급수 ( 부분분수분해 ) · 오일러 수열 · 베르누이 수열 · 파울하버의 공식 · 리만 재배열 정리
미분
도함수 일람 · 차분 · 유율법 · 변화량 · 변분법 · 도함수 ( 편도함수 ) · 곱미분 · 몫미분 · 연쇄 법칙 · 역함수 정리 · 임계점 ( 변곡점 · 안장점 ) · 미분형식 · 미분방정식 ( 풀이 ) · [math(\boldsymbol\nabla)] · 라그랑주 승수법
적분
역도함수 일람 · 부분적분 ( LIATE 법칙 · 도표적분법 · 예제 ) · 치환적분 · 정적분 ( 예제 ) · 이상적분 · 중적분 ( 선적분 · 면적분 ) · 르베그 적분 · 스틸체스 적분 · 코시 주요값
정리 · 토픽
중간값 정리 · 최대·최소 정리 · 평균값 정리 ( 롤의 정리 ) · 로피탈의 정리 · 미적분의 기본정리 · 스토크스 정리 ( 발산 정리 ) · 중심극한정리 · 오일러 공식 ( 드 무아브르 공식 ) · 오일러 동차함수 정리 · 리우빌의 정리 · 부동점 정리 · 뉴턴-랩슨 방법 · 리시 방법 · 좌표계 · 소수 정리 · 라플라스 변환 · 푸리에 해석 ( 푸리에 변환·이산 푸리에 변환) · 아다마르 변환 · 바젤 문제 · 라마누잔합 · 바이어슈트라스 분해 정리 · 미타그레플레르 정리 · 디랙 델타 함수 · 2학년의 꿈 · 0.999…=1 · 리만 가설미해결 · 카오스 이론미해결
분야
실해석학 · 복소해석학 · 수치해석학 · 측도론 · 미분기하학 · 해석기하학 · 해석적 정수론 · 확률론 · 수리물리학 · 수리경제학(경제수학) · 공업수학



1. 개요
2. 예시
3. 활용
4. 기타


1. 개요[편집]


sigmoid (function)

기울어진 S자 형태곡선이다. sigmoid라는 말 자체가 S자 모양을 뜻한다.

거의 평탄한 기울기를 지닌(= 점근선이 있는)[1] 양 끝에서 중심으로 올수록 기울기가 가팔라지는 특징이 있다. 일부 개형은 홀함수이다.

계단꼴 함수와 개형이 비슷한데[2], 계단꼴 함수는 불연속임에 비해, 시그모이드 꼴의 함수는 매끄러운 연속이라는 차이가 있다.


2. 예시[편집]


파일:namu_compare_erf_tanh_new.png
시그모이드 개형의 두 함수 [math(\bold{erf})]와 [math(\bold{tanh})]

위의 [math({\rm erf})], [math(\tanh)]를 비롯해서 [math(\arctan)], [math({\rm gd})]가 시그모이드 꼴의 함수이다. 결과값 범위가 0과 1 사이로 나오는, [math(1/(1+e^{-x}))]도 자주 쓴다.


3. 활용[편집]


정규분포의 해석[3], 로지스틱 방정식, 용량-반응 관계 등에서 시그모이드 개형의 함수를 자주 볼 수 있다.

실생활에서 적용된 도구 중 하나로 미끄럼틀이 있다. 옆에서 봤을 때 딱 시그모이드 모양이다. 음향기기 업체인 젠하이저의 상표 역시 시그모이드 모양.

개체군 생태학에서, 환경저항을 받는 개체군(K-선택형 개체군)의 생장률 그래프가 시그모이드 곡선을 나타낸다. (K-선택형 개체군과 반대격조인 r-선택형 개체군은 그래프가 지수생장형 곡선을 나타낸다.)

ReLu와 함께 딥러닝에서 활성화 함수로 자주 쓰이는 함수이다.

4. 기타[편집]


평가원이 매우 좋아하는 함수다. 17학년도 6평(가) 21번, 18학년도 수능(가) 15번에 이를 활용하는 문제가 나왔다.

해부학에서 큰창자의 마지막 부분은 S자 모양 때문에 sigmoid colon(구불잘록창자, 구불결장)으로 부른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08:52:30에 나무위키 시그모이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점근선은 없지만 시그모이드와 흡사한 개형의 함수도 있다. [math(\rm BR)]이 대표적이다.[2] 실제로 시그모이드 함수 [math(f(x))]에 대해서 [math(\displaystyle \lim_{n \to \infty} f(nx))]의 극한을 취하면 계단함수로 근사할 수 있다.[3] 위의 [math(\rm erf)] 함수가 정규분포 곡선의 역도함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