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세가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2000년 충청남도 부여군 능산리 절터 인근에서 발견된 305호 목간에 새겨진 백제시대 노래. '숙세가'라는 명칭은 해당 목간이 ‘숙세(宿世)’라는 단어로 시작하기 때문에 붙여졌다. 4언 2구로 지어졌으며, 2003년 당시 김영욱 서울시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숙세가는 7세기 중엽 백제인이 이두로 지은 백제시가"라는 견해를 낸 바 있다.

정읍사와 함께 현존하는 백제 가요이나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정읍사만이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라고 교육하고 있다.

2. 가사[편집]


宿世結業(숙 세 결 업 전생에서 맺은 인연으로

同生一處(동 생 일 처 이 세상에 함께 났으니

是非相問(시 비 상 문 시비를 가릴 양이면 서로에게 물어서

上拜白來(상 배 백 래 공경하고 절한 후에 사뢰러 오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1:27:17에 나무위키 숙세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