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1. 단어
2. 한자
3. 인명
4. 시호


1. 단어[편집]


을 '숙'이라고 하는 방언도 있다.

숙(菽)이라는 의 한 종류도 있다.


2. 한자[편집]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309~407위]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로 '숙'이라 읽는 글자는 다음 6자이다.

  • (아재비 숙): 친척의 호칭에 자주 쓰인다. 叔毛/叔父(숙모/숙부), 外叔母/外叔(외숙모/외숙) 등. 아저씨조카를 함께 이르는 말로 叔姪(숙질)이라는 말도 쓰인다.
  • 宿 (묵을 숙): 주로 "묵다"의 의미로 쓰이나, "오래 묵은, 운명적인"의 의미로도 쓰인다. 1의 의미로는 宿泊(숙박), 宿職(숙직), 寄宿舍(기숙사), 宿主(숙주), 宿所(숙소), 露宿(노숙), 合宿(합숙), 旅人宿(여인숙) 등이 있고 2의 의미로는 宿題(숙제), 宿命(숙명), 宿敵(숙적), 宿便(숙변)이 있다.
  • (맑을 숙): 淑女(숙녀)가 대표적이다. 직접 배우진 않았으나 존경하여 따라감을 뜻하는 私淑(사숙)이란 표현도 있다. 한글 고전소설 淑香傳(숙향전)도 이 글자를 쓴다.
  • (누구 숙): 교육용 한자이나 한자어로 쓰이는 예는 거의 없다.
  • (익을 숙): '익다, 익히다, 여물다'의 의미로 횔용되며 한자어로는 숙달(熟達), 원숙(圓熟) 등이 존재한다.
  • (엄숙할 숙): "숙연함"을 뜻하는 글자. 한자어로는 靜肅(정숙), 自肅(자숙), 嚴肅(엄숙), 肅淸(숙청), 肅然(숙연) 인명/종족명으로는 肅宗(숙종), 肅愼(숙신)이 있다.

일본의 상용한자로는 孰이 없고 "학원"의 의미로 쓰이는 塾이 들어가 있는 것만 빼면 위와 같다. 塾, 熟만 ジュク이고 나머지는 シュク로 음도 거의 동일하다.

그밖에 잘 쓰이지 않는 글자로 菽, 夙, 潚, 琡, 璹가 있다. 전산으로 등록된 '숙'으로 읽는 글자는 이들 5자를 포함하여 12자뿐이다.


3. 인명[편집]


주로 여자 이름으로 '-숙'이 자주 쓰인다. 한자는 대개 淑이 쓰이며, 간혹 肅을 쓰기도 한다.[1] 주로 70년대생 여성들의 이름에 자주 들어가고 90년대부터는 잘 쓰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아주 옛날 사람 중에는 남자 중에도 '-숙' 이름을 가진 이들이 좀 있다.

공부에 집중하려고 '정숙'(靜肅)이라고 써놨더니 다른 사람이 보고서는 여자 이름인 줄 알았더라는 좀 예전 유머가 있다.

외자 이름 '숙'도 간간히 쓰이는 편이다.

4. 시호 [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숙(시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1:10:3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게 항렬자로 들어가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안동 권씨연안 이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