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천

덤프버전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강

[ 한반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시아 ]
아시아
중국
황하 · 장강 · 회하 · 황푸강 · 주강 · 송화강 · 요하 · 한수 · 위수 · 타림강 · 펀허강 · 하이허 · 호타하 · 목단강
일본
도톤보리강 · 요도가와강 · 아라카와강 · 시나노강 · 도네강 · 덴류강 · 모가미강 · 기타카미강 · 테시오가와 · 이시카리가와 · 쿠즈류가와
대만
아이허
동남아시아
다강 · 카강 · 마강 · 홍강 · 메콩강 · 바싹강 · 세콩강 · 세레뽁강 · 살윈강 · 이라와디강 · 똔레쌉 · 카푸아스강 · 뱅완솔로 강 · 마하캄강 · 무시 강 · 맘베라모강 · 바리토강 · 칠리웅 강 · 바탕하리강 · 캄파르강 · 미미카강 · 타리쿠강 · 모요강 · 모마츠강 · 와아포강
남아시아
갠지스강 · 인더스강 · 그레이트자브강 · 베이루트강 · 바라다강 · 카베리강 · 브라마푸트라강 · 고다바리강 · 나르마다강 · 크리슈나강 · 마하나디강 · 크시프라강 · 만잘라르강 · 야무나강 · 참발강 · 간다키강 · 비야스강 · 코시강 · 페니강 · 바나스강 · 바그마티강 ·
서아시아
요르단강 · 티그리스강 · 유프라테스강 · 자얀데강 · 자이루드강 · 카르케흐강 · 세피드강 · 아라스강 · 톤레산강 · 무라트강 · 크즐으르막강 · 예실으르막강 · 하부르강 · 리타니강 · 오론테스강 · 디얄라강 · 카지르강 · 헬만드강
중앙아시아
추 강 · 일리 강
북아시아 · 몽골
예니세이강 · 아무다리야 강 · 시르다리야 강 · 출림강 · 포로나이강 · 투라강 · 토볼강 · 타즈강 · 콜리마강 · 캄차카강 · 칸강 · 오논강 · 레나강 · 카툰강 · 아무르강 · 제야강 · 뉴야강 · 니즈나야퉁구스카강 · 바르구진강 · 실카강 · 인디기르카강 · 안가라강 · 오브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유럽 ]
유럽
다뉴브강 · 드네스트르강 · 라인강 · 뫼즈 강 · 마른 강 · 마인강 · 암스텔강 · 엠스강 · 볼가강 · 센강 · 루아르 강 · 론 강 · 가론 강 · 에브로 강 · 템스강 · 에덴강 · 테이강 · 에이번 강 · 웰랜드강 · 디강 · 스페이강 · 아디제 강 · 엘베강 · 오데르 강 · 비스와 강 · 이손초 강 · 부크 강 · 테베레강 · 돈강 · 과달키비르 강 · 다우가바 강 · 드니프로강 · 네바 강 · 모스크바 강 · 바트강 · 베저 강 · 포강 · 하펠강 · 피아그돈강 · 피사강 · 프루트 강 · 프레골랴강 · 폰탄카강 · 포노이강 · 페초라강 · 파흐라강 · 테레크강 · 클랴지마강 · 쿠반 강 · 쿠마강 · 쿠디마강 · 코토로슬 강 · 케티강 · 카마강 · 츠나강 · 쳅차강 · 나라강 · 나르바강 · 네만강 · 니바강 · 데스나강 · 라마강 · 로바티강 · 메자강 · 소지강 · 스비리 강 · 옴강 · 레크 강 · 인달스벤강 · 달라벤강 · 토르네강 · 클리어강 · 미뉴 강 · 제제레강 · 도우루강 · 할리아크몬강 · 에우로타스강 · 스트루마강 · 네스토스강 · 바르다르 강 · 남부크 강 · 사바 강 · 이르티시강 · 산강 · 우아즈강 · 엔강 · 우랄강 · 무어 강 · 블타바 강 · 빌렌 강 · 피아베강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 티서 강 · 마리차 강 · 머지 강 · 메드웨이강 · 세번 강 · 트렌트 강 · 네카어강 · 모젤 강 · 타구스 강 · 과디아나 강 · 도루 강 · 후카르 강 · 알리에 강 · 도르도뉴 강 · 샤랑트강 · 드라바강 · 비그강 · 부옥시강 · 탈리아멘토강 · 솜강 · 루비콘강 · 볼호프강 · 아켈루스강 · 라우마강 · 누메달강 · 오트라강 · 포스강 · 그레이트우즈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아메리카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오세아니아 · 남극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지방하천
수원천

水原川 | Suwoncheon River


파일:external/www.heritagechannel.tv/108911424817.jpg

위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수계
안성천 수계
발원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상광교동 (광교산)
하구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대황교동 (황구지천)
유입
광교천, 복골천, 창사하천, 창사천
유출
황구지천
길이
15.77km
유역면적
25.80㎢²
하천코드
1120720

1. 개요
2. 상세
3. 역사
4. 수원천의 교량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경기도 수원시를 지나는 지방2급하천, 광교산이 기점이다.


2. 상세[편집]


수원시 장안구 광교산에서 발원해 광교저수지를 지나 수원시의 도심을 가로지른다. 특히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수원화성의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흐르는데 북쪽 화홍문에서부터 남쪽 남수문까지 물길이 잘 이어져 있다. 이어 수원비행장을 지나 권선구 곡선동화성시 진안동의 경계 지점에서 황구지천으로 합류한다.


3. 역사[편집]


수원화성 축조 당시에도 있었는데, 당시에는 대천(大川)이라고 불리었다.

광교대천이 전체를 가로로 자르며 흐르고 있어, 여름 장마 때마다 범람하는 환난이 있었다. 그래서 성을 쌓기 시작할 때에 물길을 내는 일을 먼저 하였다.

화성성역의궤 권수 도설


축성 당시에 매해 수원천이 범람하여 1794년(정조 18년) 3월에 개천을 파는 준천 작업을 하였다. 수원화성의 수문인 화홍문과 남수문의 자리를 정하고 준설작업을 하였다고 한다. 준천작업은 화홍문 밖 600보에서 시작되어, 광교산에서 흘러오던 물을 화홍문을 지나 화성 안으로 흐르게 하였다. 개천의 한가운데에는 95척의 오교(午橋)라는 나무다리를 놓아 천을 건널 수 있게 하였다.[1]

수백년이 지나 1991년에는 수원화성 성곽 내의 교통난을 해소하고 남문상권을 위해 하천의 일부 구간을 시멘트로 복개하였다. 이에 수질이 매우 나빠져서 물에서 악취까지 나기 시작했다. 1994년 화성 성 밖의 지동교에서 매교다리까지 약 780m의 구간을 수원 시민 94%의 찬성으로 복개되었다. 1995년에 상류 부분의 공사를 시작하였는데, 15개 시민단체가 ‘수원천되살리기운동본부’를 만들어[2] ‘수원천 복개 반대 및 남수문 복원 촉구’운동을 하여 복개 공사가 취소되었다. 1996년부터는 직선화와 복개로 오염된 수원천을 살리기 위해 복개를 걷어내고, 자연형 하천으로 변화시켰으며, 생태복원사업을 추진하였다. 2010년이 되어 남은 780m의 복개 구간을 마저 복원 하였으며 그 후 남수문을 복원하여 전구간 복개를 걷어내고 생태복원을 하였다.

최근에는 수원천 주변에서 강아지 산책을 다니는 사람들이 많이 보이고 강물에는 오리도 많이 보인다. 가끔씩 살찐 비둘기들도 몰려서 쉬는 것을 볼수 있다.


4. 수원천의 교량[편집]


황구지천에 합류
권선구
새터
방면

새터교
(정조로495번길)

세류동
방면
수원역
방면

세류대교
(덕영대로)

세류
사거리
세류중
방면

버드내교
(세권로36번길)

신곡초
방면
수원역
방면

유천1교
(세권로)

유천
사거리
세류시장
방면

버들교
(세권로43번길)

버드내
방면
동립말
사거리

유천2교
(권선로)

정조
사거리
팔달구
해모로
방면

유천교
(정조로623번길)

성원A
방면
세곡
삼거리

세천교
(효원로)

매교역
사거리
여성회관
사거리

매세교
(매산로116번길)

수원고
삼거리
이춘택병원
방면

새마을교
(수원천로)

연향A
방면
교동
사거리

매교
(정조로)

팽나무고개
삼거리
구천동
방면

구천2교
(인도교)

인계동
방면
교동
사거리

구천교
(매산로)

수원공고
방면
중동
사거리

수원교
(중부대로)

영동
사거리
영동시장
방면

영지교
(인도교)

못골시장
방면
영동시장
방면

영동교
(인도교)

미나리광시장
방면
팔달문
로터리

지동교
(팔달문로)

지동
방면
남수문
통닭거리
방면

남수교
(정조로800번길)

수원사
방면
종로
삼거리

매향교
(창룡대로)

팔달구청
방면
신풍동
방면

매향1교
(정조로860번길)

매향중
방면
화홍문
장안구
장안문
방면

방화교
(인도교)

방화수류정
방면
거북시장
방면

방화2교
(팔달로292번길)

연무동
방면
영화동
방면

연무교
(팔달로316번길)

동공원
방면
교육청
사거리

영연교
(경수대로)

창룡문
사거리
창훈
사거리

삼희교
(월드컵로)

퉁소바위
사거리
보훈지청
방면

연화교
(연무로)

연무시장
방면
보훈원
방면

창훈교
(창훈로)

창용중
방면
창훈
사거리

경기교
(광교산로)

경기대
방면
북수원
IC


광교교
(영동고속도로)

동수원
IC

조원
IC


수원교
(수원북부순환로)

광교
IC


광교천
농원
방면

수루레미다리
(광교산로)

광교산
방면
복골천

창사하천
로컬푸드
방면

상광교신다리
(광교산로509번길)

광교산
방면
상광교종점
방면

사기막다리
(광교산로509번길)

광교산
방면

창사천
창성사
방면

창성교
(광교산로)

하광교
방면
광교산에서 발원


5. 관련 문서[편집]


  • 안성천 / 황구지천 : 수원천과 합류하는 하천이 황구지천이고 황구지천은 남쪽으로 흐른 뒤 평택시에서 진위천과 만난다.
  • 염태영 : 제26·27·28대 수원시장. 수원천 복원을 주도한 인물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0:50:13에 나무위키 수원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화홍문과 남수문 사이에는 총 5개의 크고 작은 다리가 있으며 매향1교와 매향교는 차량 통행도 가능하다. 그 다리 옆에는 화성행궁, 팔달구청, 수원화성박물관, 매향중학교, 삼일상업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2] 이 당시 수원천 되살리기 운동을 주도했던 인물 중 1명이 훗날 3선 수원시장이 되는 염태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