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미인곡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전문


1. 개요[편집]


정철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속미인곡()은 정철의 장편가사이다.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의 3콤보 장편가사 중 가장 문학성이 높은 가사로 손꼽힌다. 문학성은 높으나 학생 입장에서 해석하고 외우자면 충공깽도 이런 충공깽이 없으며 보는 순간 갑갑함이 밀려온다. 그래도 한자 무쌍을 찍는 관동별곡, 사미인곡보다는 덜 어려운 편. 구운몽의 저자인 김만중은 그의 저서 서포만필에서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이 우리나라 최고지만 그 중에서도 속미인곡이 최고'[1]라고 평가하기도 했다[2]. 사미인곡에 비해 어려운 한자어나 미사여구보다 순우리말을 더 많이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더 좋은 작품이 되었다고 한다. 또 홍만종은 자신의 저서 순오지에서 속미인곡을 "출사표에 견줄 수 있을 정도의 작품"이라고 극찬하였다.

이름처럼 사미인곡의 속편으로 제작되었는데, 사미인곡과 마찬가지로 '지극한 연군의 정을 임을 이별한 여인의 애달픈 심정에 비하여 표현한 작품이라고 해석한다.'[3]라고 되어있는데, 앞부분만 빼고 보면 사랑타령하는 유행가 가사랑 내용이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충신연주지사로 분류됨에도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 꽤나 인기를 끌었다니, 예나 지금이나 사랑 노래가 인기있는 건 비슷한 듯.

이 가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사미인곡이 독백체인데 반해 속미인곡은 2명의 여인(갑녀(甲女),을녀(乙女))[4]이 등장해서 대화를 주고받는다. 우리나라 최초의 대화체 가사이다. 사실 정철은 최초의 사설 시조도 쓴 사람이라 알려져 있으니...
  • 소박한 순우리말 어휘를 다량 사용했다.
  • 사대부 문학의 특징이던 중국 고사 인용이 등장하지 않는다.
  • 마지막 구절인 '각시님, 달은 커녕 궂은 비나 되십시오'에서 소극적인 사미인곡의 화자[5]와는 달리 궂은 비가 되어 임께 다가가리라는 적극적인 태도가 보인다. 참고로 마지막 궂은 비가 되어 임께 다가간다는 말은 소극적 태도를 지닌 을녀가 한 것이 아니라 이 이야기를 들은 갑녀가 덧붙인 것이다.

화자의 성격으로는 다음과 같다.

  • 갑녀 : 을녀의 하소연을 유도, 보조적 위치
  • 을녀 : 갑녀의 질문에 응하여 하소연을 하면서 작품의 정서적 분위기 주도, 작가의 처지를 대변하는 중심화자.

2006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출제되었으므로 한동안 안 나올지도 모르지만 고전 문학 이해에 있어 필수적인 코스로 취급되고 있다.

허나 2022학년도 수능특강 문학에 수록되어 수능에 나올 확률이 높아졌다.

정철의 왕에 대한 사랑을 잘 알 수 있는 가사라고는 하지만 그냥 아첨 떠는 것일 뿐이라는 의견도 있다. 간단히 말해서 여기에 담긴 진짜 의미는 은거 끝내고 다시 뵙고 싶어요 잉잉 이라는 것. 그런데 사실 관동별곡, 사미인곡을 읽고 나면 이건 양반 수준이다. 그나마 정철의 3대 가사 중 가장 임금에 대해 직접적으로 찬양하는 부분이 적다. 그런데 사미인곡 역시 은거 시기에 지은 것이었기 때문에, 속미인곡은 더 세게 나가거나 전략을 바뀌어야 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 2편의 가사가 성공했는지 정철은 조정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6]. 여하튼 정철이 정치적 행보로는 별로 긍정적 평가를 받는 인물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사실을 알고서 보면 좀 정 떨어지는 글이기도 하다.

천재교육 고등학교 2학년 교과서에 실려있다. 2019년에 변경된 2015년 개정 교육과정 비상교육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문학 교과서에 실려있다. 그에 이어 동아출판[7] 문학교과서에도 실리게 되었다. 창비 문학 교과서와 좋은책 신사고 문학교과서에도 실려있다.

2. 전문[편집]


원문
현대어 풀이
뎨 가ᄂᆞᆫ 뎌 각시 본 듯도 ᄒᆞᆫ뎌이고
ᄇᆡᆨ을 엇디ᄒᆞ야 離ᄒᆞ고
ᄒᆡ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러 가시ᄂᆞᆫ고
어와 네여이고 내 ᄉᆞ셜 드러보오
내 얼굴 이 거동이 님 괴얌즉 ᄒᆞᆫ가마ᄂᆞᆫ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ᄉᆡ
나도 님을 미더 군ᄠᅳ디 전혀 업서
이ᄅᆡ야 교ᄐᆡ야 어ᄌᆞ러이 ᄒᆞ돗ᄯᅥᆫ디
반기시ᄂᆞᆫ ᄂᆞᆺ비치 녜와 엇디 다ᄅᆞ신고.
누어 ᄉᆡᆼ각ᄒᆞ고 니러 안자 혜여ᄒᆞ니
내 몸의 지은 죄 뫼ᄀᆞ티 ᄡᅡ혀시니
하ᄂᆞᆯ히라 원망ᄒᆞ며 사ᄅᆞᆷ이라 허믈ᄒᆞ랴
셜워 플텨 혜니 造의 타시로다
글란 ᄉᆡᆼ각 마오.
ᄆᆡ친 일이 이셔이다[8]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믈 ᄀᆞᄐᆞᆫ 얼굴이 편ᄒᆞ실 적 몃 날일고
은 엇디ᄒᆞ야 디내시며
은 뉘라셔 뫼셧ᄂᆞᆫ고
뫼 녜와 ᄀᆞᆺ티 셰시ᄂᆞᆫ가
기나긴 밤의 ᄌᆞᆷ은 엇디 자시ᄂᆞᆫ고
님다히 消을 아므려나 아쟈 ᄒᆞ니
오ᄂᆞᆯ도 거의로다. ᄂᆡ일이나 사ᄅᆞᆷ 올가
내 ᄆᆞᄋᆞᆷ 둘 ᄃᆡ 업다. 어드러로 가쟛 말고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ᄒᆡ 올라가니
구롬은ᄏᆞ니와 안개ᄂᆞᆫ 므ᄉᆞ 일고
이 어둡거니 日을 엇디 보며
을 모ᄅᆞ거든 千ᄅᆞᆯ ᄇᆞ라보랴
ᄎᆞᆯ하리 믈ᄀᆞ의 가 ᄇᆡ 길히나 보쟈 ᄒᆞ니
ᄇᆞ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샤공은 어ᄃᆡ 가고 븬 ᄇᆡ만 걸렷ᄂᆞ니.
의 혼자 셔셔 디ᄂᆞᆫ ᄒᆡᄅᆞᆯ 구버보니
님 다히 消이 더옥 아득ᄒᆞᆫ뎌이고
ᄎᆞᆫ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은 눌 위ᄒᆞ야 ᄇᆞᆯ갓ᄂᆞᆫ고.
오ᄅᆞ며 ᄂᆞ리며 헤ᄯᅳ며 바자니니
져근덧 力ᄒᆞ야 픗ᄌᆞᆷ을 잠간 드니
이 지극ᄒᆞ야 ᄭᅮᆷ의 님을 보니
ᄀᆞᄐᆞᆫ 얼구리 半이 나마 늘거셰라
ᄆᆞᄋᆞᆷ의 머근 말ᄉᆞᆷ 슬ᄏᆞ장 ᄉᆞᆲ쟈 ᄒᆞ니
눈믈이 바라 나니 말ᄉᆞᆷ인들 어이 ᄒᆞ며
을 못다ᄒᆞ야 목이조차 몌여ᄒᆞ니
오뎐된[9]의 ᄌᆞᆷ은 엇디 ᄭᆡ돗던고
어와, 虛ᄉᆞ로다. 이 님이 어ᄃᆡ 간고
결의 니러 안자 窓을 열고 ᄇᆞ라보니
어엿븐 그림재 날 조ᄎᆞᆯ ᄲᅮᆫ이로다
ᄎᆞᆯ하리 싀여디여 落이나 되야이셔
님 겨신 窓 안ᄒᆡ 번드시 비최리라
각시님 ᄃᆞᆯ이야ᄏᆞ니와 구ᄌᆞᆫ 비나 되쇼셔
갑녀: 저기 가는 저 각시 본 듯도 하구나.
천상 백옥경[10]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해가 다 저문 날에 누굴 보러 가시는고?
을녀: 아아, 너로구나. 내 이야기 들어 보오.
내 몸과 이 거동이 임께서 사랑함직 한가마는
어쩐지 날 보시고 너로구나 여기시기에
나도 임을 믿어 다른 뜻이 전혀 없어
아양이며 교태며 어지럽게 굴었던지
반기시는 낯빛이 옛날과 어찌 다르신고?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리니
내 몸이 지은 죄가 산같이 쌓였으니,
하늘이라 원망하며 사람이라 탓하랴.
서러워서 풀어내 헤아리니 조물주의 탓이로다.
갑녀: 그것일랑 생각 마오.
을녀: 맺힌 일이 있소이다.
임을 모신 적 있어 임의 일을 내 알거니,
물같은 몸이 편하실 적이 몇 날일꼬?
봄날의 추위와 여름철의 무더위는 어찌하여 지내시며,
가을날과 겨울날은 누가 모셨는고?
아침 죽과 아침, 저녁 진지는 옛날과 같이 잡수시는가?
기나긴 밤에 잠은 어찌 자시는고?
임 계신 곳 소식을 아무렇게나 알자 하니,
오늘도 거의로다, 내일이나 사람 올까?
내 마음 둘 데 없다. 어디로 가자는 말인고?
잡거니 밀거니 하며 높은 산에 올라가니,
구름은 물론이고 안개는 무슨 일인가?
산천이 어둡거니 해와 달은 어찌 보며,
한 치 앞도 모르거든 천 리를 바라보랴.
차라리 물가에 가 뱃길이나 보자 하니
바람과 물결로 어수선히 되었구나.
사공은 어디 가고 빈 배만 걸려 있는가.
강가에 혼자 서서 지는 해를 굽어보니
임 계신 곳 소식이 더욱 아득하구나.
초가집 찬 잠자리에 한밤중이 돌아오니,
벽 가운데의 등불은 누굴 위하여 밝았는고?
오르며 내리며 헤매며 오락가락하니
잠깐 사이에 힘이 다하여 풋잠을 잠깐 드니,
정성이 지극하여 꿈에 임을 보니
옥 같던 모습이 반이나마 늙었어라.
마음에 먹은 말을 실컷 사뢰자 하니
눈물이 바로 나니 말인들 어찌하며
정을 못 다하여 목조차 메려 하니
방정맞은 닭소리에 잠은 어찌 깨었던고?
아아, 허사로다. 이 임이 어디 갔는고?
잠결에 일어나 앉아 창을 열고 바라보니,
가엾은 그림자만이 날 좇을 뿐이로다.
차라리 사라져서 지는 달이나 되어서
임 계신 창 안에 환하게 비치리라.
갑녀: 각시님, 달은커녕 궂은비나 되소서.

[1] 이유는 관동별곡사미인곡은 한자어가 많이 쓰였기 때문. 사실 서포 김만중 역시 자신의 모친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사씨남정기를 한글로 썼던 사람이니 이런 평가는 당연할지도 모른다.[2] 그런데 좀 비뚤게 보자면, 정철서인의 영수로 유명한데 김만중 역시 서인이었다. 그리고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은 정철이 동인과 대립하다가 은거해 있던 시기에 쓰였는데, 김만중 역시 정쟁 와중에 유배 가 있는 상황에서 서포만필을 썼다. 곡학아세라고 까지는 않겠지만, 당시 심정에 아주 필이 딱 꽂혔을 것이란 점은 확실하다.[3] 이를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라고 한다.[4] 갑녀와 을녀는 후세 연구자들이 임의로 붙인 명칭이다. 여인 1, 여인 2라고도 한다.[5] 범나비가 되어 님이 몰라도 따르려 한다[6] 문제는 복귀한 다음에 다시는 은거하기 싫었는지 권력의 화신으로 활동했다는 것이다. 정철 항목에 나오는 정여립 모반 사건 처리에 뛰어드는 것이 이 복귀시기이다.[7] 옛 두산동아[8] 임을 걱정하는 을녀가 스스로 맺힌 일이 있다고 토로한다는 해석과, 임과 을녀 사이의 방해꾼이 임과 자신을 멀어지도록 해 임의 가슴에 맺힌 일이 생겼을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9] 여기서 '오뎐된'은 '오전이 된', 즉 '새벽의 닭 소리'와 '방정맞은 닭 소리'의 2가지 뜻으로 해석된다. 이 문서에선 '방정맞은'의 뜻으로 해석하였다.[10] 임금이 계시는 대궐.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5:22:04에 나무위키 속미인곡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