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기억설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신빙성
3. 다른 종류의 세포 기억
4. 대중매체


1. 개요[편집]



Cellular Memory

장기 이식 수혜자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기증한 사람의 성격이나 습관이 수혜자에게 전이된다고 주장하는 유사과학.

이 유사과학의 증거로 보통 심장 이식을 받은 사람들의 사례가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전에 심장병을 앓던 사람이 화가의 심장을 이식받아 그림을 잘 그리게 되었다는류의 이야기이다.


2. 신빙성[편집]


결론부터 말하자면, 를 이식받았을 때라면 모를까 사실상 신빙성이 없다.

사람의 행동을 판단하는 데 영향을 주는 부분은 두뇌이다. 즉, 두뇌의 일부나 전체를 이식받았으면 모를까, 다른 신체부위를 이식받는다고 해서 그 기증자의 기억과 사고 방식을 그대로 이어받을 수는 없다는 뜻이다.

현대에는 신경과학의 발달로 기억과 사고 방식이 뉴런시냅스로 구성된 커넥톰 다시말해 신경망 회로를 통해 구성되고 저장됨이 밝혀졌기 때문에 다른 장기 부위, 심지어는 뇌세포를 이식한다고 해도 이식하기 전의 신경세포 회로 구성도와 동일한 구조가 아니면 기억이나 사고방식이 옮겨오지 않음을 알게되었다.

단, 수술 사전에 이러한 유사과학을 진심으로 믿고 있다면, 플라시보 효과 수준의 변화는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어디까지 플라시보이기에 재능, 지능 등이 바뀔 일은 없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리 뇌를 제어하는 호르몬이 뇌에서뿐만 아니라 우리 몸 장기속에서도 나온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이식 초기에는 약간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은 있다. 가령 세로토닌의 상당수는 장에서 나오기 때문에 장 이식후 평소보다 차분해진다던가 식욕을 느끼는 랩틴은 위에서 나오기 때문에 위 이식 후 식욕을 좀더 느낀다던가 할 수 있다. 그마저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이식받은 장기의 세포 상당수도 본인의 것으로 교체되어 그러한 현상이 옅어진다. 따라서 아직 현실화 되지 않았지만 뇌만 다른 신체에 이식한다면, 그 신체의 장기에서 나오는 새로운 호르몬에 영향을 받아서 뇌의 성격도 영구적으로 변할 것으로 뇌 과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3. 다른 종류의 세포 기억[편집]


본 문서의 내용과 전혀 다른 의미의 세포 기억이 존재하긴 한다. 여기서의 세포 기억이란 사람의 피부세포를 다른 곳으로 옮겨도 뇌는 그것을 원래 있던 부위의 세포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즉, 이때의 세포 기억은 '세포의 기억'이 아니라 '세포에 대한 (뇌의) 기억'이다. 뇌는 기억 기관이니 이 현상은 이상할 게 없다.

이 현상은 수지접합 시 종종 나타난다. 예를 들어 손가락 피부가 크게 절단되어 일반 봉합이 불가능해 환자의 뱃살에서 피부를 떼어내 손가락에 이식하였을 경우, 나중에 환자가 뱃살이 찌거나 하면 이식했던 부위의 피부도 똑같이 두꺼워 진다. 즉, 세포가 다른 곳으로 이동해 제대로 접합된다 해도 그 세포의 정보 자체는 바뀌지 않는다는 것.

그래서 성형, 수부외과 의사들은 피부 이식이 필요할 경우 가능하면 이식할 위치의 피부와 같거나 비슷한 부위의 피부를 골라 이식한다.


4. 대중매체[편집]


이 유사과학을 소재로 차용한 대표적인 작품
  • 갓핑크[1]
  • 나는 여기에 있다[2]
  • 디 아이
  • 분리 인간
  • 사우스파크[3]
  • 순정에 반하다
  • 식객 66화 '대구'편
  • 심슨 가족 할로윈 특집 에피소드 '지옥의 가발'
  • 엔젤하트
  • - M을 낙태할 때 쓴 수술칼로 태아인 주인공을 낙태하는 수술을 하다가 칼에 묻은 M의 세포가 주인공에게 묻으면서 M이 주인공에게 깃드는데, 이 때 M이 수술실 안에서 온갖 심령현상을 일으키는 바람에 낙태수술이 중단되고 주인공이 태어나게 된다. 그리고 M이 깃든 주인공을 의사로 만든 미국인 의사가 학회에서 이 유사과학을 주제로 한 실험 결과를 발표하는 장면도 나온다.
  • 여름향기
  • 우리가 사랑했던 모든 것
  • 월광천녀
  • 청춘 돼지 시리즈[4]
  • 키시베 로한은 움직이지 않는다 - 에피소드 8: D.N.A
  • 탐정은 이미 죽었다
  • 하루
  • 도박마
  • 보석의 나라[5]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7:34:32에 나무위키 세포 기억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극중에 핑크맨의 기억을 이어받은 노방희는 핑크맨의 뇌에서 태어난 아이다. 말하자면 잘린 머리에서 재생한 플라나리아같은 케이스로, 몸은 달라도 뇌는 동일하기 때문에 신경계와 상관없는 장기를 이식한다고 기억이 이어지는 경우와는 다르다.[2] 살인범의 장기를 이식 받은 평범했던 청년은 해산물을 혐오하던 식성이 변해서 해산물을 좋아하고, 게다가 성격이 변해서 연쇄 살인범이 된다는 설정이다. 이 청년과 이 청년을 쫓는 경찰도 살인범의 장기를 이식받았는데, 둘 다 살아있는 살인범의 어머니에게 실제 자신의 어머니와 같은 정을 느낀다는 설정도 있다.[3] 자세한 건 에릭 카트먼 참조.[4] 작중에서 연상 쇼코의 성격이 변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할 때 세포 기억설이 언급된다.[5] 해당 애니메이션의 등장인물들은 사람이 아니지만 거의 유사한 설정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