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체

덤프버전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기본 모드
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전략적 팀 전투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
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기타
챔피언 관련
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
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
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식물
드래곤
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
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신화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
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시즌 킥오프 · 올스타전 · LCK · LCS · LEC · LPL · 세체 · 역체 논쟁 · 골든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
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팬 문화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
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1557 · 가붕이 · 럼자오자레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기타
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영상 · 감시단의 비상

1. 개요
2. 유래
3. 용법
4. 비슷한 용어
4.1. 한체
5. 기타


1. 개요[편집]


국내 리그 오브 레전드 계에서 널리 퍼져있는 속어. '세고(최고)의 OO'를 줄인 말이다.

'세체미'는 '세'계 '최(체)'고의 '미'드라이너, '세체원'은 '세'계 '최(체)'고 '원'딜러인 식으로 사용된다.

스타크래프트 리그가 활발하게 열리던 2000~2012년 시기까지 쓰이던 본좌라는 용어의 직접적인 후계 용어라고 보면 된다.


2. 유래[편집]


'최고'를 '체고'로 변형하여 쓰는 표현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유래의 기원은 명확하진 않으나, 분명한 점은 리그 오브 레전드가 유행하기 이전부터 야구 팬덤에서 흔하게 쓰던 은어였다. 체고드립의 기원에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당시 야구경기를 중계하던 허구연의 멘트 궁내 체고의 싱카볼투수에서 따온 '국내 체고의 XXX'라는 드립에서 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 또 다른 설로는 신경현의 응원가 가사가 '최고의 포수 신경현'이었는데 신경현이 뭐가 최고냐며 '체고의 포수'라고 부르는 것에서 시작했다는 말도 있고[1], 아예 김성모의 작품 럭키짱에서 '역시/전사독이/최고시다'라는 대사가 나온 바 있는데 이 대사와 결합하여 '역시 XXX이 체고시다'라는 표현이 시초라는 말도 있다. 다만 그 기원이 어찌되었든, 롤판에서 유행하게 된 유래는 다음과 같다.

2012년 리그 오브 레전드가 국내 첫 런칭을 시작했을 당시, 1세대 프로게이머로 데뷔한 '놀자' 이현진은 과거 북미섭에서부터 엄청난 실력을 선보이며 당시 세계구급 정글러였던 TSM의 세인트비셔스에게 '세계 최고의 정글러'라는 얘기를 들을 정도였으며 이를 자랑스럽게 본인의 캐치프레이즈로 사용했을 정도였다. 다만 프로 데뷔 당시 한국나이로 이미 28세라 에이징 커브로 인해 메카닉이 빠르게 쇠퇴했고, 놀자의 강점이던 맵 관리와 운영 능력은 어린 후배들이 빠르게 익혀 추월해버리면서 '최고'를 위의 야구 드립을 가지고 비꼬아 '체고'라고 표현을 직수입하여 '세체정 놀자'라고 비꼬기 시작한게 시초였다. 그리고 놀자 은퇴 이후 이러한 밈이 잊혀져 있다가. 다음 타겟으로 빠른별 정민성이 이어받게 된다.

파일:best_ap_in_the_universe.jpg
마찬가지로 1세대 프로게이머 중 하나인 레지날드는 트레이드 마크이자 흑역사라고 할 수 있는 인삿말인 "안녕 여러분? 난 세계 최고 AP인 레지날드라고 해(Hi guys, I'm Reginald, best AP mid in the world)."가 그를 대표하는 밈이었다. 헌데 이를 본 빠른별 정민성이 굉장히 깊은 감명을 받았는지 그걸 따라하기 시작했다. 심지어 빠른별은 자기는 레지날드보다 더 뛰어난 미드라는 표현을 위해 '우주에서 가장 뛰어난 미드(Best AP mid in the universe)'라고 더한 드립을 쳤고 여기서 안티들에 의해 조롱의 의미로 역빠체라는 단어가 탄생하게 되었다.

즉, 놀자의 '세체정' 드립에서 따와 일부 롤갤러들이 빠른별의 플레이가 별로일 때, '역시 빠른별이 체고'라고 비하와 조롱의 의미로 드립을 쳤던 것. 그리고 이게 드립으로 계속 남아있다가 2012 LCK 서머에서 빠른별이 절정의 기량을 보여주고 결승전에서는 패패승승승으로 우승까지 따내자 당시 아주부 프로스트 팬덤이 '체고'의 의미를 긍정적으로 사용하면서 상황이 바뀌게 되었다. 또한 당시 2012 롤챔스 서머는 온갖 롤 커뮤니티에서 크게 회자되었었고, 이후부터 각 롤 커뮤니티에서는 조롱의 의미였던 '체고'가 진짜 긍정적인 의미인 '최고'라는 의미로 빠르게 대체되기 시작했다.

3. 용법[편집]


보통 '최고' 라는 의미로도 쓰이고 최강이라는 단어로도 쓰이지만 사전적인 단어 뜻만 보면 세계 최고 혹은 최강의 선수를 딱 한명씩만 해서 총 5명만 있어야 될 것 같지만, 년 단위로 선수들의 기량이 들쭉날쭉하다는 점에서 현재 롤판에서 세체의 의미는 '해당 년도(시즌)' 의 최고의 팀과 선수를 가리키는 의미로 정착되었다. 따라서 롤판의 세체는 연도별로 나뉜다. 고로 일반적으로는 '13 세체미, 15 세체팀, 17 세체원, 18 세체탑,' 같은 식으로 앞에 연도를 붙여주는 것이 보편적이고, 과거~현재까지 세계와 역대 최고의 팀과 선수는 '역대 최고의 팀과 선수'라는 용어를 사용한 역체로 분화되었다.

연도별 세체의 조건은 한 시즌내에서 월즈 이외에도 자국 리그나 MSI 기록들 및 커리어 시즌을 기준으로 잘했던 기간과 행보로 근거로 주장하는 꾸준함, 대회나 상금 규모가 압도적인 월즈 아니면 다른 부수적인 대회에서도 우승 족적을 통해 결국 그 해 기록이 가장 중요하다는 주장하는 커리어, 선수별 최고점 실력과 캐리력에서 비롯된 퍼포먼스(임팩트) 등으로 각각 나뉜다. 허나 이러한 조건들이 존재함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무조건적인 정답과 공감을 얻어내거나 주기는 쉽지 않고, 팬과 전문가들과 상관없이 중요도와 생각의 가중치가 천차만별로 다르다는 점에 있다.

}}} ||


당연하지만 저 조건 중 커리어를 논할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각 시즌별로 마무리하고 가장 비중이 높은 대회 빅 이벤트 대회이자 월즈로도 불리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 한정하여 롤판의 마지막 대회를 장식하는 선수가 각 시즌의 세체로 인정받을 확률이 높다.

다만, 월즈가 딱 한달 남짓의 짧은 일정이고, 토너먼트 대회인 만큼 대진운도 어느 정도 작용하기 마련이며 무엇보다 롤이란게 버전에 따라서 OP 챔피언과 메타가 잘 맞냐 안맞냐로 선수들 경기력이 갈리는 경향이 크다는 게 문제이다. 스프링-서머와 같이 지역 리그에서 1년 내내 잘해서 우승컵을 들어올렸으나 갑자기 메이저 국제대회 패치 버전에서 본인이 강점을 가지고 있던 메타가 바뀌어 폼이 확 떨어지면서 우승하지 못한 선수 A와 정규 시즌 동안 이렇다 할 두각을 드러내지는 못했으나 월드 챔피언십에 적용된 버전부터는 본인의 주력 챔피언이 버프를 받거나 본인의 플레이 방식과 메타가 잘 맞아버려 우승한 선수 B가 있을 때, 이 둘 중 누구를 뽑더라도 그 한 명을 그 해에서 가장 잘했던 선수라 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A의 경우 세계최고였다고 하기에는 세계 각국의 팀들이 모여 기량을 펼치는 대회에서 우승하지 못했으며, B를 뽑더라도 "나머지 기간 동안 이렇다 할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못하다가 월즈 한달 잘했다고 1년 내내 잘했다는 듯이 취급하는 것이 맞는거냐" 같은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

또한, 리그 오브 레전드가 스타크래프트와 같이 주로 1대1로 맞붙어서 승패를 가리는 것이 아닌 5대5로 붙는 팀 게임이다보니 한 선수가 부진해도 다른 선수들이 그 선수 멱살잡고 억지로 끌고가서 우승을 차지하거나 혹은 반대로 한 선수가 미친듯이 잘하는데도 다른 선수들이 던져서 우승을 놓치기도 한다.[2] 이로 인해 팀원들의 도움을 받아 버스를 타면서 개인과 팀 커리어에 화려한 족적을 남긴 선수에게 세체를 줄건지, 비록 우승은 놓쳤지만 개인 기량의 꾸준함과 퍼포먼스가 돋보였던 선수를 세체로 뽑을건지에 대해서도 관점에 따라 또 의견이 분분하게 나뉜다.[3]

즉, '1년내내 잘한 선수를 더 높게 칠 것인가 월즈 딱 한달만 잘한 선수를 더 높게 칠 것이냐', '개인 퍼포먼스가 좋은 선수를 높게 칠 것이냐, 이전까지의 퍼포먼스는 좋지 않았어도 결국 국제대회와 리그 커리어를 쌓은 선수를 더 높게 칠 것이냐'를 비롯한 여러가지 관점에 따라 결국 세체 선수를 뽑는 과정은 어떠한 기준에 의거하거나 주안점을 잡느냐에 따라 평가가 달라지므로 세체를 뽑는데에도 이견이 분분하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피넛 / 벵기 / 스코어 / 블랭크에서 갈리는 16 세체정 논쟁과 스멥 / 큐베 / 듀크로 나뉘는 16 세체탑 논쟁. 이와 관련하여 때에 따라 팬들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그 당시부터 현재까지 대표적인 논쟁 토론거리 중 하나이기도 하다.

  • 16 세체정
    • 피넛은 16년도 정규시즌 MVP 포인트에서 정글 포지션으로 스프링 5위, 서머 3위를 기록하고 두 시즌 모두 팀을 정규시즌 1위로 올려놓으며 패왕같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스프링 결승전에서 블랭크를 누르지 못했고, 대혈전 이후 우승을 기록한 서머 결승전에서도 스코어에게 약간씩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월즈 4강전에서 각성한 벵기에게 패배함에 따라 시즌을 마무리했다.
    • 벵기는 니엘킨그로 대표되던 당시 캐리형 정글 메타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스프링에는 블랭크에게 밀려 자주 나오지도 못했으며, MSI에서는 우승을 했다지만 출전이 없는 무전우승이었고, 이후 서머에서도 부정적인 모습이 부각되는 경우가 많았다.[4] 하지만 월즈에 들어와서 폼이 크게 상승하기 시작하더니 4강과 결승에서 각각 선보인 니달리, 리 신으로 엄청난 캐리를 보여주며 우승까지 거머쥐었다.
    • 스코어는 피넛과 함께 당시 자국 리그 내에서 정글 캐리 메타를 주도했던 선두 주자였으며 LCK 스프링에서는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정규 리그 내내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었고, 이후 서머 플옵 2R에서는 블랭크를 압살하고 역스윕을 이뤄내며 '위대한 정글러'라는 칭호까지 받아냈다. 하지만 이후 결승전에서 피넛 상대로 약우위를 점했다곤 쳐도 결국 패배하였고 월즈 선발전에서 엠비션에게 밀리면서 월즈 진출이 좌절되었다.
    • 블랭크는 벵기가 부진한 초반 주전자리를 꿰차며 스프링 우승, 이어진 MSI까지 우승하면서 기대를 모았지만 서머 시즌 급격히 부진하더니 플옵 2R에서 스코어에게 압도당하며 역스윕을 당했다. 또한 월즈에서의 다전제 승률이 좋지 않은 만큼[5] 세체정 여론도 많지 않다.
  • 이처럼 정글쪽은 1년 내내 가장 꾸준했던 스코어를 제외하면 모두 크게 부진한 시기가 있었고 그 스코어도 결국은 월즈에 가지 못하면서 큰 결점이 생겼으며 정규시즌 패왕의 피넛, 그 피넛을 각각 스프링과 섬머 결승에서 우세를 점했던 블랭크와 스코어, 이 3명에게 밀려 월즈를 제외한 모든 대회에서 부진하다가 결국 월즈에서 팀을 우승시킨 벵기까지 모두 물고 물린 경우가 굉장히 많았다.
  • 16 세체탑
    • 스맵은 LCK 스프링 준우승 및 정규시즌 MVP, 이후 서머에서 우승 및 정규시즌 MVP를 기록하고 직후에는 월즈 파워 랭킹 1위에 등극하면서 당시 전 세계 최고의 선수 및 탑솔러로 거론되었으며 실제 2016년도 내내 꾸준히 잘했던 선수였으나, 월즈에서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4강이라는 성적을 기록하면서 시즌 전체 커리어 기록상에서는 듀크에게, 퍼포먼스는 월즈에서 초각성한 큐베에게 밀리게 되었다.
    • 큐베는 LCK 스프링때는 6위, 서머때는 4위를 기록하며 LCK 리그 중위권 탑솔러 중 한명이었으나 월즈 선발전부터 KT의 대표 캐리라인 중 한명인 썸데이를 5연솔킬을 내며 완파하더니, 월즈에 이르러서는 총 17게임 중 솔킬만 17번을 내면서 대오각성한 수준의 미친 경기력을 선보이면서 역대급 기록을 쏟아내었으나 결국 당해 대회 및 개인 커리어가 전무하며 리그에서의 꾸준함이 부족하다는 점이 발목을 잡았다.
    • LCK 스프링, MSI, 월즈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한 듀크를 밀기도 하는 경우도 있다. 실제로 스프링 결승전에서는 스맵을 완벽히 억제하며 포스트시즌 MVP를 수상하기도 했으며 MSI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전체적으로는 기복이 큰 편이었고 월즈 4강전 스맵과 결승전 큐베와의 맞대결에서 솔킬을 따이고 주도권을 내주는 등의 밀리는 모습이 큰 약점으로 꼽혔다.
  • 고로 당시 시즌을 기준으로 1년 내내 나가는 대회마다 매번 꾸준한 모습을 선보였던 스맵, 월즈라는 큰 무대를 기준으로 엄청난 캐리력을 선보였던 큐베, 거론된 이들 중 가장 좋은 커리어를 기록한 듀크로 나눌 수 있다. 고로 팬들의 경기를 해석하는 시각과 선호도에 따라서 수없이 많은 의견들이 도출되었고, 후대에 들어와서도 시기별 의제로 나올때마다 지속적인 토론과 치열한 논쟁거리로 대두되고 있다.

이 두 떡밥을 비롯하여 매년 시즌 결산을 통해 세체 선수를 가려낼때마다 "결국 해당 시즌 월즈에서 우승한 팀원 5명이 세체다." 와 1년동안 잘했던 이 선수가 세체다라는 명제는 늘 던져질때마다 논쟁에 논쟁을 낳는 롤 커뮤니티의 풀리지 않는 떡밥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4. 비슷한 용어[편집]



4.1. 한체[편집]


포지션별 한국 최고의 5명 선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롤 e스포츠의 프로 리그가 전 세계 많은 곳에 분포되어 있기에 중국(LPL)의 중체, 유럽(LEC)의 유체, 북미(LCS)의 북체, 대만(前 LMS)의 대체, 일본(LJL)의 일체, 터키(TCL)의 터체 등과 같이 지역에 따른 단어로도 분류된다.

가장 최근 LCK를 우승한 팀과[6], 보통 그 팀의 주전 5명의 포지션별 선수를 각각 한체 타이틀을 붙여서 부른다. 그러나 우승자뿐만 아니라 우승에 실패한 선수 중에도 MVP[7], Player of the Split을 수상하거나 ALL-LCK 1st Team에 선정된 선수를 한체로 주장하는 의견 역시 볼 수 있다.

과거 LCK가 국제대회에서 독주하던 시절에는 우승한 팀과 선수를 곧장 한체이자 세체로 평가했었고, 실제로 당시 리그 우승을 달성하는 팀과 선수들이 곧장 글로벌 파워 랭킹 최상위권에 도배될 만큼 엄청난 고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그 위상이 어느 정도였냐면, 한국 6위 팀이 곧 세계 6위로 평가되었을 정도. 하지만 리그간 실력차가 줄어들게 된 2010년대 후반부터는 각 리그마다 최강팀과 그 지역의 대표 선수들을 구분해서 평가하고 있다.

마이너 지역에서는 서머 우승팀이 월즈에 진출하는 만큼 자동적으로 월즈에 출전하는 팀이 그 해와 지역의 최강팀으로 분류된다.

4.2. 역체[편집]


자세한 내용은 역체 문서 참조.

5. 기타[편집]


  • 유래는 리그 오브 레전드지만 옆동네로 수출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오버워치에서의 경우 역시 각기 포지션에 따라 세체탱, 세체힐, 세체딜로 부른다. 혹은 세체, 세체, 세체, 세체, 세체, 세체과 같이 영웅 이름을 집어넣기도 한다.

  • 롤과는 전혀 무관한 아이돌 팬덤에서도 'OOO이 체고시다', 'XXX 체고ㅜㅠ' 가 활용되었는데 이러한 기원이 롤에서 퍼져나가 쓰이기 시작했다고 알고 있는 사람들도 있다. 허나 상술한 바와 같이 '체고', '체고시다'라는 표현은 이전부터 사용되어왔다.

  • 세체는 최고와 최강의 뜻만이 아닌 '세계 최악'의 뜻으로도 자주 쓰인다.

  • 여자친구가 있다거나 유명 연예인과 얽힌 선수들의 경우에는 근본론에 따라 세계 최고가 아닌 세계 최악이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이 경우에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풀어서 쓴다. (Ex. 세계 최악의 미드 루키, 세계 최악의 원딜러 뱅, 고스트, 결혼한 앰비션, 코어장전, 도인비는 제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5:30:21에 나무위키 세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응원가를 부르는 목소리의 발음 때문에 생긴 몬더그린이라는 말도 있다. 비슷하게 들린다는 이유로 엄한 가사를 붙인 패러디가 있기도 했기 때문.[2] 다만 일부 전문가들과 팬들 중 월즈 우승에는 팀원 모두가 자기가 해야 할 일(1인분)을 분명하게 다해야되는 것으로 여기거나, 우승과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선수들 모두가 각자 1인분만이 아닌 그 이상의 플레이를 보여줘야 이뤄낼 수 있다라고 여기는 경우도 있다.[3] 2019년을 기준으로 참가한 대회마다 결승전에 오르면서 맹위를 떨친 G2의 주전 선수들(원더, 얀코스, 캡스, 퍽즈, 미키엑스) 대부분을 비롯하여 그간 시즌별 월드 챔피언십에서의 우승 커리어가 비록 하나도 없을지라도 팀별 세체급에 가까운 포스를 선보인 선수들(16 스맵, 18 우지, 18 캡스 & 레클레스, 21 쵸비) 이전까지 세체였으나 우승에 실패한 선수들(17 페이커, 19 더샤이와 21 쇼메이커 등등)이 때에 따라 거론되는 경우도 있다.[4] 당시 8위를 기록하며 강등권 경쟁을 하던 롱주의 크래쉬에게 박살나기도 했다.[5] 큰 경기 특히 4강 이후부터 0%의 승률을 기록했다.[6] 물론 역대로 따지면 한체팀이라 불릴 수 있는 팀이 많지만 되도록이면 최근 팀을 한정적으로 부르는 경향이 더 큰 상황이다.[7] 대부분 우승팀이나 1위 팀에서 나오는 것으로 여겨지만, 정규 시즌 MVP를 비롯한 꼭 그렇지만은 않은 선례들도 얼마든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