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호진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활동
2.1. 2021년
2.2. 2022년
2.3. 2023년
3. 연출
3.1. 장점
3.2. 단점
4. 종합편집
5. 연출작



1. 개요[편집]


영상 네트워크 소속 여성 PD. 주로 대원방송의 작품을 담당한다. 연출과 종합편집을 같이 하는 PD이다.[1][2]



2. 활동[편집]



2.1. 2021년[편집]


2021년 9월부터 2022년 4월 까지 파워레인저 젠카이저의 연출을 맡았다.

2.2. 2022년[편집]


2022년 1월부터 2022년 4월 까지 가면라이더 세이버의 종합편집과 연출을 맡았다.

2.3. 2023년[편집]


2023년 1월부터 가면라이더 리바이스의 종합편집과 연출을 담당하고 있다.

3. 연출[편집]


성우 캐스팅과 CG 처리는 호평을 받았으나 일관성 없는 로컬라이징이 비판을 받고 있다. 한편 가면라이더 세이버에서 배역 연기에 대해서는 여지없이 호평이지만 중복 캐스팅이 김세중 시절보다 심해졌다는 점을 추가로 지적받고 있다.

3.1. 장점[편집]


  • 성우 캐스팅
연출작 중 이민규, 오민혁, 한만중 등을 부른 적이 있는 것을 보면, 장경희, 김보민, 천지선, 진정일, 한만중[3] 등을 부르거나 부른 적이 있는 김세중 PD와 같이 EBS 성우 기용에 꽤나 적극적인 듯 하다.[4] 그리고 대교 성우[5]박민기황태훈 PD 정도가 아니면 보기가 정말 드문 이상헌[6], KBS 성우 중 애니와 게임에서 출연이 굉장히 보기 힘든 전인배[7], 원호섭[8], 조민수 성우를 기용하는 등 캐스팅 폭이 꽤 넓은 편이다. 또한 성우진을 중복으로 돌리더라도 각 배역별로 확실한 연기색을 지정하고 있어, 성우 중복 캐스팅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한 가면라이더 세이버에서도 캐릭터별로 확실하게 연기색을 차별화하고 있다는 점도 호평을 받는다.
  • CG 처리
파워레인저 젠카이저, 가면라이더 세이버에서 작중 일본어 CG를 일일이 한국어로 편집해서 호평을 받고 있다.

3.2. 단점[편집]


  • 더 민감해진 예산 문제
전임인 김세중도 중복 캐스팅이 빈번해서 비판받았지만, 그 중복 캐스팅 빈도가 가면라이더 세이버를 기점으로 더 심해졌다는 비판을 받았다. 제로원과 비교해 외부 성우는 좀 더 신경써서 기용했고 중복 배역마다 연기를 확실히 차별화하고 있지만, 1차 성우진 공개 이후로 추가 성우진을 단 한 명도 기용하지 않았다. 시청자들이 가장 아쉬워했던 배역이 바로 가면라이더 세이버의 바하트인데, 시청자들은 외부 성우가 기용되리라 대부분 예상했지만 레지엘을 담당했던 원종준이 그대로 담당했다. 작중에서 레지엘이 퇴장한 이후였고 또한 레지엘과 완전히 다른 연기색과 실력을 보여줬기에 결과적으로 역량에 대한 비판은 가라앉혔지만, 연기색 자체를 바꾸기 어려운 성우들에게는 이 방법을 사용하기 어렵다는 명백한 한계가 있기에 해당 연출법에만 의존할 수는 없다.[9]
  • 로컬라이징
파워레인저 젠카이저에서 일관성 없는 로컬라이징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가면라이더 세이버와 리바이스의 로컬라이징은 괜찮은 편이다.
  • 상대적으로 부실한 팬서비스
파워레인저 돈브라더즈 26화에서 김세중이 가면라이더 리바이스 관련 에피소드를 자르지 않고 그대로 더빙해서 내보내자, 가면라이더 세이버를 방영할 당시 파워레인저 젠카이저의 세이버 콜라보 에피소드를 아예 잘라버리고 방영해주지 않았다는 점과 비교되어 부각된 비판점이다. 팬서비스가 매우 충실해 극찬을 받았던 황태훈이야 말할 것도 없고, 김세중도 황태훈만큼은 아니지만 팬서비스를 잘 챙겨주다 보니 아쉬울 수밖에 없다. 팬서비스를 수행하는 정도는 PD의 성향이라 쉽게 바꾸기 어렵다.[10]


4. 종합편집[편집]


  • 마징가 제트
  • 세계명작극장
    • 꼬마 너구리 라스칼
    • 빨강머리 앤[A]
    • 소공녀 세라[B]
    • 엄마 찾아 삼만리
    • 키다리 아저씨[A]
    • 플랜더스의 개
  • 조이드 와일드 제로[B]
  • 집단좌천!![B]
  • 가면라이더 세이버[B]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B]


5. 연출작[편집]


  • 듀비카2
  • 마루코는 아홉살
  • 미래소년 코난
  • 세계명작극장[C]
  • 에즈미와 로이
  • 역전재판 2기[11][12]
  • 요코!요코!
  • 조이드 와일드 제로[C]
  • 졸리와 포키-수상한 가족
  • 집단좌천!![C][13]
  • 탑건스피너
  • 호빵맨
  • 홀리의 신비한 여행
  • 파워레인저 젠카이저[C]
  • 가면라이더 세이버[C]
  • 가면라이더 리바이스[C]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1:14:58에 나무위키 성호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비슷한 예로 심정희 PD가 화면수정팀에 있다가 2007년을 기점으로 종합편집일을 거쳐 2008년 개구리 중사 케로로 극장판 2기 '심해의 프린세스'부터 더빙을 맡기 시작했으나 연출과 종합편집을 동시에 같이 하는 PD는 성호진 PD가 유일하다고 볼 수 있다.[2] 초기 같은 회사인 김도윤이 종합편집도 같이 했었으나 요즘엔 연출만 한다.[3] 유일하게 성호진하고 겹치는 EBS 성우이다.[4] 사실 이건 퇴사한 PD를 포함한 대부분의 대원 PD들의 공통된 부분이다. 단, 퇴사한 '이후'의 곽영재처럼 퇴사 '이전'과 달리 현재는 EBS 성우를 잘 기용하지 않는... 걸 넘어서 굉장히 무심한 경우도 있으며, 연출작이 극히 적은 김도윤이진영은 어떤지 불명.[5] 정확히는 6기의 민승우김하루, 8기의 오가빈처럼 현재진행형으로 출연이 활발하거나 이름을 꽤 날린 성우가 아닌 쪽 기준에서. 즉 다시 써서, 1~5기 성우처럼 과거에 비하면 현재는 출연이 극히 매우 적거나, 신인(무명)급(7기 이후) 성우가 이에 해당된다. 참고로 이건 전광주, 윤미나, 안현서조차도 예외는 아니며, 전체는 아니지만 현재 저 해당 대교 성우들을 일부 몇 명만이라도 비교적 그나마 높은 확률로 불러줄만한 가능성이 있는 곳으로는 전은정재능TV, 황태훈, 곽영재, 김세중 PD 정도가 있다.[6] 그래도 안현서, 윤미나와 같이 다른 대교 고참들보다는 출연 사정이 훨씬 낫긴 하다.[7]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보기 힘든 걸 넘어서 그냥 출연이 말랐다.[8] 애니메이션보다는 주로 다큐멘터리 등(대표적으로 동물의 왕국)에서 해설로 유명하다.[9] 다만 이는 성호진이 대원소속이 아닌 외주PD인걸 감안해야 한다.[10] 다만 이건 대원측이 명령한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세이버에서 중간에 가이무 등장인물들과 비슷한 캐릭터들이 나오는 씬에는 신경선권창욱을 게스트로 부른걸 보면 해당 에피소드에 무산은 성호진 보다는 대원측이 결정했을 확률이 높다.[A] A B 조연출까지 담당. 연출은 김도윤 PD가 담당.[B] A B C D E 연출까지 담당.[C] A B C D E F 종합편집까지 같이 담당.[11] 1기는 황태훈 PD가 담당.[12] 여담으로 정말 오랜만에 최석필을 캐스팅했다. 도라에몽만퉁퉁 역에서 하차한 이후 복귀한 대원방송 출연작.[13] 심상보 PD와 공동 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