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카타거북

덤프버전 :

설카타거북
Sulcata tortoise


파일:ㅅㅋㅌㄱㅂ.jpg

학명
Centrochelys sulcata
Miller, 1779
분류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파충강 Reptilia

거북목 Testudines

땅거북과 Testudinidae

설카타거북속 Centrochelys

설카타거북 C. sulcata
언어별 명칭

[ 펼치기 · 접기 ]
한국어
설카타거북, 아프리카가시거북, 민며느리발톱거북
영어
Sulcata tortoise, African spurred tortoise
중국어
苏卡达象龟
일본어
ケヅメリクガメ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기.svg
1. 개요
2. 상세
3. 사육
3.1. 사육시설등록
4. 그 외
4.1. 크기 체감 영상



1. 개요[편집]


파일:설가타900.jpg

거북땅거북과에 속하는 파충류. 야생에서는 초원지대의 풀을 뜯고 먹는다. 지구상의 모든 대륙 통틀어 가장 거대한 육지거북이며, 세계에서 3번째로 거대한 육지거북이다.[1]

영어로는 African spurred tortoise라고도 한다. 이는 설카타거북 앞발과 배갑 윗부분에 있는 돌기 때문인데, 앞발의 돌기의 경우는 땅을 파는 역할을 하며, 배갑 윗부분에 난 돌기들은 수컷끼리 경쟁할 때 무기로 사용된다.

때문에 한국에서는 해당 영명을 직역한 '아프리카가시거북'이라 부르기도 하기 때문에 주타이쿤2에선 아프리카가시거북으로 번역되기도 하였다. 참고로 이름에 있는 'sulcata'란 단어는 라틴어로 '경작된, 쟁기로 파인'이라는 뜻인데, 등갑이 쟁기로 밭을 간 것처럼 생겼다는 의미로 붙였다.


2. 상세[편집]


지구상에서 가장 척박한 생태계를 자랑하는 아프리카에서 탄생한 종으로, 엄청난 생명력을 자랑한다.



심지어 등갑이 너무 견고해서 아프리카 최상위 포식자인 사자도 설카타거북을 못 죽인다.

물론 이런 무적들은 어디까지나 성체 기준이며, 새끼 땐 육지거북답게 개복치이기 때문에 새끼 때는 정말 세심하게 키워야 한다.

파일:sulcata.jpg

어렸을 때 모습이 동글동글하니 귀엽게 생겼고, 성격 또한 전형적인 까불이로 거북이라는 이미지답지 않게 활동성이 무척 좋아서 풀어놓으면 여기저기 마구 돌아다닌다. 네이버 웹툰 선천적 얼간이들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하면 크면 고지라가 된다고 말할 정도로 성체와 크기 차이가 확실히 체감된다.

원산지는 중앙 아프리카 일대이다. 알이 탁구공만해서 새끼 때는 손바닥에 들어올 정도로 작고 귀엽고 올망졸망해서 아주 사랑스럽지만 성장속도가 장난이 아니다. 성체는 평균 몸길이는 70~80 cm 최대 몸길이 1 m에 평균체중 80~90 kg, 최대체중 120 kg까지 자라는 괴물이 된다.[2] 쉽게 말하자면 어른 설카타의 등갑은 드래곤볼 무천도사가 등에 멘 그 등갑을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

파일:z5buxv2twye11.jpg
심지어 벽까지 뚫는다. 파충류계의 마동석

야생 개체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IUCN 적색목록에서 "위기"종으로 분류되었다.


3. 사육[편집]


새끼 분양가가 육지거북중에서 저렴한 편이지만,[3] 그것만으로 고르지 말자.식사량이 엄청나서 어른이 되면 한끼 식사가 배추 몇 포기. 먹이값만으로도 이 녀석을 키우는 데 드는 비용이 장난이 아니게 들어간다. 게다가 먹이관리하려면 웬만한 학교 영양사 저리 가라 할 정도로 까다롭다. 야생 거북이 먹는 먹이는 말 그대로 잡풀인데 집에서 주는 먹이는 사람들이 먹는 개량된 채소다. 질병 예방을 위한 비타민과 칼슘 보충제 가격과 양은 보너스다.

게다가 이 녀석의 덩치와 몸무게가 일반적인 가정집에서 반려동물로 키우기는 힘들고 미국 교외 지역처럼 뒷마당이 있는 동네에서도 힘들다. 설카타거북은 야생에서 땅굴을 파 생활하는데, 이 습성이 남아 정원을 박살내는 파괴자 거북으로 악명이 높아 땅덩이가 넓어 가정들이 웬만하면 애완동물을 키우기 좋은 환경인 미국에서도 파양률이 높다.

다만 저온만 조심하면 탱크같은 강인함덕에 병원에 데려갈 일은 거의 없고 갑자기 폐사하는 경우도 드물다.

설카타의 수명은 100년 이상으로 인간 이상으로 오래 산다. 그런 관계로 한번 키우면 평생 혹은 대를 이어 키워야 한다. 여러모로 반려동물로서는 고난도의 거북이다.

습도가 낮거나 단백질이 많으면 등갑의 각 갑판이 울퉁불퉁하게 솟아오르는 피라미딩 이라는 등갑 기형이 되므로 단백질이 있는 먹이를 주지 말고 습도를 60~70%로 유지해야 한다.[4]


3.1. 사육시설등록[편집]


대한민국 자연 생태계 방출 시 생태계 교란의 우려로 인한 사육시설등록 대상인 종[5]이기 때문에 사육시에는 환경청에 사육등록 및 사육시설등록을 해야한다. 최소 2.4 m * 1.5 m 넓이 사육환경이 필요하다.

2023년 상반기에 사육시설등록이 폐지될 예정이라고 한다.2023년 4월쯤에 폐지되었다.

4. 그 외[편집]


파일:설가타시바.gif

육지거북이 다 그렇긴 하지만 덩치가 있어서 기본적으로 힘이 엄청 세다. 가구를 밀고 다닐 정도(...) 항상 등에 등갑을 이고 다녀야만 하기 때문에 힘이 안셀레야 안셀 수도 없다.

많은 사람들이 키우는 거대거북중 대부분이 바로 이 설카타거북이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도 1마리를 사육중이며 알다브라땅거북과 합사중이다.

근육조선에선 한명회가 거북이 등껍질이 비싼 약재라 눈독들이고 키우기 시작했다가 수백마리의 거북이 탈출해 왕실 직할령 멜론밭을 망치는 대형 사고를 치기도 했다. 이후 대한공화국 시기에는 애완동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4.1. 크기 체감 영상[편집]


아카이브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9:16:12에 나무위키 설카타거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 2위는 각각 섬에 서식하는 육지거북인 갈라파고스코끼리거북알다브라코끼리거북이다. 이렇기 때문에 '대륙 내에선' 설카타가 명백한 최대가 맞다.[2] 설카타는 세계에서 세번째로 크게 자라는 육지거북이다. 첫번째는 갈라파고스땅거북(1.2~1.5 m)이고 두번째는 알다브라코끼리거북(1 m 내외) 두종은 섬 거대화로 거대해진 것인데, 체격이 저들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3] 사실 그닥 저렴하진 않다. (원래는 엄청 쌌지만 시설등록종 지정 이후 가격이 올라서) 해츨링 기준 33만 원 안팎으로, 33만 원 자체는 분명 그렇게 비싸진 않지만 여기에 시설등록비 10만 원을 추가해서 총 43만 원대로 봐야 한다. 이는 알다브라땅거북이나 마다가스카르방사거북 같은 미친 가격대의 육지거북에 비하면 거저 수준이긴 하지만, 10만 원대 호스필드거북그리스거북, 헤르만거북이나 20만 원 안팎의 표범무늬거북, 레드풋거북과 비교하면 아주 싸다급은 아닌 정도. 물론 이래도 테구보다 싸다[4] 피라미딩은 설카타 외에도 모든 육지거북에게 생길 수 있는 기형이다.[5] 사이테스에 등록된 종 중 사육시설 등록대상인 종은 극히 소수이다. 허가를 받아야만 인공 증식을 할 수 있거나 생태계 교란 우려가 있거나 하는 등의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한 해 사육시설 등록대상이 되는 것이고, 사이테스에 등록되었다는 점만으로는 사육시설 등록대상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설카타거북은 인공증식 증명서만 떼면 되는데다가, 아프리카에서 높은 기온에 살기 때문에 우리나라 환경에서 생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