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절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신분당선의 신사역에 대한 내용은 신사역 문서
신사역번 문단을
신사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새절(신사)
파일:Seoulmetro6_icon.sv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Saejeol (Sinsa)
한자
새절(新寺)
간체자
赛折(新寺)
가나
セジョル
주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지하400 (신사동 337-5)
운영 기관
6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개업일
6호선
2000년 12월 15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2면 3선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버스
6.1. 1, 2번 출구
6.2. 3번 출구
6.3. 4번 출구
7. 기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6호선 616번.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지하400 (신사동 337-5) 소재.

병기역명은 신사(新寺)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서초구에 걸쳐있는 신사역의 신사(新沙)와는 한글이 같고 한자가 다르다. 물론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신사(紳士)와도 한자가 다르다.


2. 역 정보[편집]



파일:새절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6호선 계획 당시 임시역명은 '북가좌역'이고 1991년에 지정된 정식 역명도 북가좌역[1]이지만, 역의 실제 행정구역(은평구 신사동)과 맞지 않기 때문인지 1994년에 은평구에서 '신응'으로 개정할 것을 요청했다[2]. '신응'(新鷹)은 신사와 응암에서 각각 한 글자씩 따온 이름이며, 불광천을 건너는 인근 다리에 '신응교'라는 이름이 붙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수용되지 않았고, 대신 개통 전인 1995년에 새절역으로 바뀌었다.[3] 은평구 신사동에 있지만, 동명이동(同名異洞)인 강남구 신사동에 있는 신사역이 먼저 지어지는 바람에 신사(新寺)를 순 한글로 풀이한 새절을 역명으로 정하였고 대신 신사는 병기역명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다음 역인 응암역이 있는 곳은 신사오거리이고, 새절역에서 불광천 다리만 건너면 응암3동이고 응암오거리가 나온다.

새절역의 역명까지 된 은평구 신사동의 어원이 된 새절이 어느 것인가 하는 것은, 현재 새절이라고 이름의 절이 역세권 부근에는 남아있지 않으므로, 정확하게는 알 수는 없다. 다만 서울역사편찬원에서 저술한 서울지명사전의 신사동 항목에서 신사동 200번지에 절터가 있었다고 한다. [4] 그러나 불광천에 있는 '신사동의 유래' 비문에 의하면, 꽃산(대덕산) 너머에 있는 서오릉의 원찰인 정인사라는 설도 있고, 은평구 갈현동의 수국사라는 주장, 그리고 서울지명사전의 신사동 항목에서도 언급된 신사동 200번지에 있었던 절이라는 주장이 있으나 어느 것도 사실로 인정하기 어렵다고 한다. 다만 이 새절에서 기도를 드리면 소원이 성취된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규모가 크고 영험이 있는 절이라는 것만 짐작할 수 있다고 한다. 한편 아주 멀지는 않는 서대문구 봉원동 1번지에 있는 봉원사가 새절이라는 이칭으로 불리고 있고, 언제부터 봉원사가 새절로 불리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새절역의 어원이 된 신사동이라는 동명은 1663년에 작성된 한성부 북부장호적(漢城府 北部帳戶籍)이라는 문헌에 '신사동계(新寺洞契)'라고 표기되어 있을만큼 오래된 지명이다.'신사동의 유래' 비문 물론 봉원사 역시 19세기 제작된 경조오부도나 대동여지도의 도성도에서 신사(新寺)라고 표기되어 있으며, 서재필의 회고록에서 봉원사를 새절이라고 칭한 사례가 있어서 19세기부터 신사 또는 새절이라고 불렸음은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보다 더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한성부 북부장호적에서는 신사동계가 한성부 북부 12방중 연은방(延恩坊, 현재의 은평구 전역 및 서대문구 홍은동, 홍제동, 종로구 구기동 일대)의 관할권에 있다고 하고, 봉원사 일대는 이 연은방의 관할권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현재의 은평구 신사동과 새절역이라는 지명과는 동명이칭으로 보인다.

새절역 근처에 있는 개신교계 학교인 숭실중고등학교에서 역명에 "절 사(寺)"가 들어간다고 하여 1998년 역명 확정 전 학생들에게 강제 반대 서명을 하게 했다고 한다.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평일 막차 시간대와 출퇴근 시간대에는 응암방향으로 각 1대, 주말에는 신내 방향으로 1대가 존재한다. 막차 2대는 주박한 후 모두 봉화산행 첫차로 운행된다.

이 역과 증산역 사이 선로에 비상용 열차 1편성이 대기하고 있다. 은평구 쪽에 차량기지가 없어서 차량 고장 시 대처가 어려워 비상용 편성을 대기시켜 둔다.

지하1층 대합실에서 지상으로 연결되는 에스컬레이터가 전혀 없어서 1번, 2번 출구 사이에 있는 엘리베이터가 항상 터져나간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나가는 곳 Exit 出口
파일:지하철 출구_1.png
응암3동주민센터
응암3치안센터
응암동우체국
응암시장
은평문화예술정보학교
서울응암초등학교
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구립응암노인복지관
파일:지하철 출구_2.png
응암3동
응암4치안센터
대림시장
불광천산책로
불광천작은도서관
파일:지하철 출구_3.png
신사2동
연서중학교
상신중학교
서울서신초등학교
숭실중·고등학교 방면
미성아파트
파일:지하철 출구_4.png
신사1동
신사초등학교
신사동고개
새절역현대아파트

역 출구는 북쪽으로 치우쳐 있다.

  • 응암역부터 월드컵경기장역 까지는 불광천을 따라 역이 지어졌는데 은평구, 서대문구, 마포구민에게 있어서 중요한 하천이다. 자연 공간을 별로 찾을 수 없는 서울시에서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운동기구, 자연 경관이 어울러 있는 곳이며 홍제천과 합류하여 한강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로인해 자전거를 타는 사람과 산책하는 사람이 밤낮을 불구하고 상당히 많다. 또한 응암역부터 증산역 구간은 벚꽃나무가 심어져 있어 봄만 되면 벚꽃축제가 열린다. 여름 장마기간만 되면 뉴스에도 자주 등장하며 출입금지 되는 일도 부지기수다.

  • 새절역에서 내려서 서쪽으로 산비탈을 올라가면 숭실고등학교가 있다. 숭실대학교와는 원래 한 뿌리였으나 모종의 사유로 재단이 분리되었다.

  • 새절역에서 불광천을 건너 응암오거리 방향으로 직진하다 보면 충암고교와 충암초중교, 명지초중고교, 명지전문대학,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가 있다. 언덕이 많아 경사가 있다. 인접역인 증산역의 부역명이 '명지대앞'이지만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에 가려면 새절역에서 7017번, 7018번, 7021번, 7611번을 타는 게 더 빠르다.

  • 새절역에서 명지전문대학 방향으로 쭉 올라가면 바로 서대문구 홍은2동이고, 서대문구청 및 연희동과 이어지는 길목이기 때문에 서대문구청 쪽에서 신촌과도 7017번을 통하여 연결된다.

  • 특히, 궤도교통의 악명높은 사각지대인 서대문구 홍은2동에서 그나마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으로 이 역이 없으면 홍은2동에서는 지하철 타러 7734번을 타고 녹번역 또는 7713번이나 7021번을 타고 홍제역으로 가야하며 현대교통 차고지 및 명지대 인문캠퍼스 쪽이라면 악명높은 헬게이트 노선인 7612번 또는 7734번을 타고 홍대입구역으로 가야 한다. 또는 명지대입구 쪽이면 7611번을 타고 가좌역으로 가야 한다.

  • 백련산 부근에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고 있다. 2011년의 백련산힐스테이트 1~3차를 시작으로 2019년 힐스테이트4차, 백련산파크자이, 2020년 백련산sk뷰아이파크, 백련산해모로아파트의 입주가 완료되었다. 백련'산'이기 때문에 힐스테이트와 자이아파트 부근은 경사가 특히 심하다. 이곳의 응암동 주민들은 대부분 녹번역이나 새절역을 이용한다. 6호선 응암역과 새절역 중간에 아파트 단지가 자리잡고 있으나 응암역으로 한 번에 향하는 버스가 없기 때문.

  • 4번 출구로 나와 북쪽으로 조금 걸어가면 김영삼 전 대통령이 생전에 즐겨 찾았던 단골집 중 하나인 '봉희설렁탕' 본점이 있다.

  • 2017년 11월 7일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향동동 및 원흥지구와 은평구 신사동을 잇는 봉산터널의 개통으로 고양시를 오가는 차량이 많아지면서, 새절역 사거리의 정체가 일상이 되고 있다. 2019년 2월 15일부터 7728번이 새절역 - 봉산터널 구간을 직통 운행하며, 봉산터널을 통해 이케아 고양점에서 가까운 도래울 6,7 단지 정류장에서 내려 5분 정도 걸어가면 된다. 새절역이 아니라 증산역에서 내려야 한다. 왜냐하면 대화동 방향 새절역 정류장은 급차로 변경등 안전상의 이유로 정차하지 않기 때문이다. 정 새절역에서 내려서 가고 싶으면 하차 후 도보로 신사초등학교 정류장에서 이용 가능하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6_icon.svg
비고

[ 2000년~2009년 ]
2000년
8,770명
[1]
2001년
13,788명

2002년
17,889명
비고
2003년
20,294명

2004년
22,310명

2005년
23,122명

2006년
23,736명

2007년
23,905명

2008년
23,727명

2009년
23,118명


2010년
23,725명

2011년
24,192명

2012년
25,202명

2013년
26,181명

2014년
27,193명

2015년
27,018명

2016년
27,133명

2017년
27,048명

2018년
26,906명

2019년
27,318명

2020년
20,543명

2021년
20,664명

2022년
22,094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27,000명이 찾아 6호선에서 9위로 상위권의 수요를 보이는 역이다. 새절역은 증산로와 가좌로가 만나는 곳에 있으며, 가좌로고양시 향동동 입구에서 연희동 서대문구청까지 연결하는 동서축 도로이다. 이러한 도로조건을 기반으로 마을버스나 지선버스를 타고 새절역으로 넘어올 수 있어 시내버스와의 환승 수요가 많은 곳이다. 신사동과 응암동, 북가좌동 및 홍은동을 배후지역으로 두고 있다.

불광천 너머 남쪽으로 400m 떨어진 곳에 이 곳의 교통/상업 중심지였던 응암오거리와 대림시장이 있다. 개통 초기에는 유동 인구가 많은 응암오거리를 두고 불광천 건너 외딴 곳에 역을 지었다며 지역 사회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높았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결국 자리잡았다.

개통 초기인 2003년에 이미 하루 이용객이 2만 명을 넘어섰고, 2000년대 중후반에 잠시 정체기를 보였지만, 2011년 역에서 1.1km 거리에 떨어져 있는 백련산힐스테이트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다시 이용객이 늘기 시작해 2011~2014년까지 한해 천 명씩 승객이 늘었다. 2014년부터 27,000명의 수요를 꾸준히 유지하여 지금에 이른다. 백련산파크자이아파트와 백련산sk뷰아이파크, 해모로 아파트 단지가 입주가 완료되었고, 백련산 힐스테이트 1~4차 부근에 백련산 e편한세상의 완공이 코앞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saejeol.jpg

6호선 승강장

승강장 구조는 강동역, 광명사거리역, 3호선수서역과 비슷한 1상대 1섬식이다.

응암






증산


위의 승강장 구조를 보면, 가운데 선로는 새절역까지 가는 막차가 종착 후 주박하거나 평일 출근시간대에 1회 운행하는 새절행 열차의 회차선로로 쓰이며, 동시에 RH에 봉화산행 열차가 1편성 출발한다. 정상적으로는 나머지 바깥 선로로 운행한다. 그리고 이 주박선로는 응암역 유치선 방향으로 나 있다. 그래서 응암역 방면 열차는 오른쪽 출입문이 열리고, 신내역 방면 열차는 평상시에 왼쪽 출입문이 열린다. 신내 방향이 섬형, 응암 방향이 상대형인, 1상대 1섬형 승강장이다.

새절역 승강장 중에서 섬식부분(신내 방면)승강장의 맨 끝쪽이 상당히 어두우며, 승강장이 1상대 1섬식이기 때문에 응암순환 방면 승강장은 섬식 역명판(=<<= 형태)을 사용한다.

이 역에서 봉화산/신내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7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상수역이다.

파일:セジョル.jpg
응암순환 승강장 맨 앞쪽의 역명판은 날개가 떼어진 채 역명 표시만 남아있다. 자세히 보면 날개를 뗀 자국이 선명히 보인다. 아마 2009년경 스크린도어 설치 때 떼어버린 후 지금까지 방치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새절역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6. 연계 버스[편집]



6.1. 1, 2번 출구[편집]




6.2. 3번 출구[편집]



안디옥교회.새절역(12860)
마을



6.3. 4번 출구[편집]





7. 기타[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은평구 CI.svg 서울특별시 은평구 관내 철도역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파일:Seoulmetro3_icon.svg
구파발(320), 녹번(323)
파일:Seoulmetro6_icon.svg
응암(610), 역촌(611), 독바위(613),
구산(615), 새절(616), 증산(617)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GJLine_icon.svg
수색(K317)
파일:삼태극.svg
연신내(321,614) | 불광(322,612)
3호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618,K316)[공항철도]
6호선, 경의선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1:40:05에 나무위키 새절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